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아일랜드 감자 대기근이 세상에 퍼뜨린 할로윈 축제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2.
반응형
으스스한 불빛을 띤 잭오랜턴Jack o Lanterns이 있는 할로윈 밤 풍경. 출처: Jenifoto/Adobe Stock

 
by Raúl Rivas González / The Conversation

아일랜드 미생물 감염이 현대의 잭오랜턴을 탄생시킨 과정
할로윈의 가장 큰 상징은 단연 잭오랜턴jack-o’-lantern이다.

속을 파내고 그 안에 기괴하고 웃는 얼굴을 새겼으며, 안에는 촛불이 든 호박 말이다.

깜빡이는 불빛은 유령 같은 그림자를 드리우고 새긴 얼굴에 생기를 불어넣어 할로윈 특유의 신비로움과 축제 분위기를 더욱 돋보이게 한다.

할로윈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호박은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로, 일반적으로 코네티컷 필드Connecticut field 호박이나 잭오랜턴 품종으로, 색깔과 둥근 모양, 그리고 단단한 껍질 덕분에 조각하기에 이상적이다.

하지만 호박이 항상 이 전통에 사용된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다른 채소, 특히 순무turnips를 조각했다.

인색한 잭Stingy Jack의 영혼

할로윈 채소 조각 전통과 관련된 가장 유명한 전설은 18세기 아일랜드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전설은 잭 더 스미스Jack the Smith, 드렁크 잭Drunk Jack, 플레이키 잭Flaky Jack, 잭오랜턴Jack O'Lantern으로도 알려진 아일랜드 민담 속 인물인 인색한 잭Stingy Jack과 관련이 있다.

잭은 악마를 두 번 속였으니 이야기는 이렇다. 먼저, 잭을 지옥으로 데려가기 전에 마지막 한 잔 값을 지불하기 위해 악마한테 자신을 동전 모습으로 바꾸도록 설득한 다음 나무 꼭대기에다 악마를 가두어 버렸다. [무슨 맥락인지? 암튼 악마를 속여서 골탕 먹였다는 뜻이다.]  

풀려나기 위해 악마는 잭한테 다시는 네 영혼을 뺏지 않겠다고 약속해야 했다.

하지만 잭은 죽어 그의 죄악된 삶 때문에 천국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악마는 약속을 존중해 그가 지하 세계로 가지 못하게 하고 잭은 결국 천국이나 지옥 어디에서도 쉴 수 없는 영원한 어둠 속에서 지상을 떠돌아다니는 저주를 받았다.

사탄은 잭한테 지옥에서 타오르는 불씨를 던져 길을 밝히라고 조롱했고, 잭은 그 불씨를 속이 빈 순무 안에 넣어 등불로 썼다. 그리하여 그는 잭 오 랜턴Jack O'Lantern, 즉 등불의 잭Jack of the lantern이 되었다.

모닥불bonfire은 삼하인Samhain에서 오랜 전통이다. (셰릴/어도비 스톡) 달집태우기?


삼하인Samhain, 켈트족의 할로윈 기원

할로윈의 오랜 뿌리는 대부분 수확기의 끝과 켈트족의 새해를 기념하는 삼하인Samhain 축제와 연결된다.

18세기 아일랜드 많은 사람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음식과 음료를 구하는 의식으로 삼하인을 기념했다. 이것이 바로 현대의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ing이 시작된 곳이다.

산업화 이전 아일랜드의 가을은 어둠으로 가득 찼고, 많은 사람이 순무, 감자, 그리고 다른 뿌리채소들을 조각하고 석탄이나 양초를 채워 임시 가로등을 만들어 삼하인을 기념하는 사람들을 인도했다.

때로는 가로등에 얼굴을 새기기까지 했다.

할로윈 밤에는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가장 약해져 선한 영혼과 악한 영혼이 모두 돌아온다는 오래된 믿음도 있었다.

창문과 출입구에 식물성 램프를 두어 잭 오 랜턴을 포함한 떠도는 영혼들을 쫓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람들은 악령을 쫓기 위해 순무에 무서운 얼굴을 새기기 시작했다.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브리짓 오도넬Bridget O'Donnell과 그녀의 두 자녀를 묘사한 1849년 작품


미생물이 순무를 호박으로 바꾼 과정

"감자 기근Potato Famine" 또는 "대기근Great Hunger"으로도 알려진 아일랜드 대기근Great Irish Famine은 1845년부터 1849년까지 아일랜드에 영향을 미친 기근, 질병, 이주로 인한 파괴적인 시기였으며, 그 여파는 1852년까지도 여전히 느껴졌다.

정확한 수치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록에 따르면 최소 110만 명이 사망했고 백만 명이 추가로 대규모 이주했다.

그 결과 아일랜드 인구는 거의 30%나 감소했다.

기근은 여러 측면에서 재앙이었다. 정치적, 종교적, 경제적,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생물학적 요인들이 얽히고설킨 결과였다.

이 기근은 흔히 입마름병late blight으로 알려진 난균류oomycete 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로 발생했는데, 이 병은 아일랜드 빈민들 주식인 감자 작물을 파괴했다.

이 미생물은 매우 공격적이며, 감자와 토마토와 같은 중요 작물에 여전히 위협적인 존재다.

불행히도 아일랜드인들에게는 Phytophthora infestans가 토양을 휩쓸었다. 그 후 몇 년 동안은 병원균이 계속 남아 감자 작물이 망가지거나 완전히 사라지는 참담한 상황이었다.

당시에는 이 병을 퇴치할 화학적 또는 유전적 방법이 없었다. 기근과 그에 따른 질병은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휩쓸었고, 영양실조는 장티푸스, 결핵, 디프테리아, 콜레라와 같은 심각한 질병의 확산을 촉진했다.

할로윈을 미국으로 가져오다

운이 좋은 사람들은 새로운 기회를 찾아 이민을 떠났지만, 많은 사람이 열악한 환경에서 이주하다 도중에 목숨을 잃었다.

가장 큰 규모의 아일랜드 디아스포라는 주로 개신교 국가인 미국에 정착했다. 그러나 아일랜드 이주민 90% 이상이 가톨릭 신자였고, 이는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일랜드 이민자들은 대서양을 건너면서 많은 전통을 가져왔지만, 할로윈을 기념할 때가 되자 난관에 부딪혔다.

미국에서 순무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다. 다행히도 그들은 훨씬 크고, 더 눈에 띄고, 가을에 풍성하고, 속을 파내고 조각하기 쉬운 토종 채소, 호박을 발견했다. 호박은 순무와 다른 채소들을 즉시 대체했다.

으스스한 얼굴을 새긴 호박은 할로윈 축제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처음에는 잭의 영혼과 다른 떠도는 영혼들을 쫓아내는 데 사용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잭오랜턴은 단순한 축제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잭오랜턴은 10월 한 달 동안 공포와 재미를 동시에 선사하며 집을 장식한다.

썩어가는 호박은 위험할 수 있다! (Sirena Designs/Adobe Stock)


썩어가는 호박의 위험성

오늘날에도 호박은 위험을 품고 있다. 2006년 한 연구는 2005년 10월 북아일랜드에서 할로윈 호박Halloween pumpkins (Cucurbita pepo)의 급속한 곰팡이 분해를 분석했다.

잭오랜턴을 조각하여 일정 기간 전시한 후, 상당한 미생물 변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최소 다섯 종 곰팡이(페니실리움Penicillium, 지베렐라Gibberella, 무코르Mucor, 넥트리아Nectria, 푸사리움Fusarium)가 존재하며, 그중 세 가지는 면역 저하 환자에게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위험은 이전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조각한 호박이 할로윈 축제에서 사라져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취약한 환자가 있는 의료 환경에서는 포자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한다.

곰팡이 오염 징후가 처음 나타나면 즉시 폐기해야 한다.

이상은 Raúl Rivas González가 The Conversation에 기고한 '아일랜드의 미생물 감염이 현대판 잭오랜턴을 탄생시킨 과정'을 기반으로 삼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