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15 제주 오미자 임금님 바쳐 점수 따려다 개쪽 당한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 를 만들어 18세기 제주 사회를 우리에게 보여준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1653~1733), 그는 얼마 안 되는 임기 동안 제주에 크나큰 발자취를 남겼다. 절과 신당을 때려부수고 심방들로 하여금 농사를 짓게 한 일은 제주 노인들에게 '영천 이목사' '영찰목사'가 지금껏 회자되게 만들었다. 그런 그가 제주에서 행한 일 중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있다. 권38, 숙종 29년(1703) 5월 20일자 기사를 보면.... 처음에 제주 목사 이형상이 치계馳啓하기를, "본도本島의 오미자五味子는 세상에서 뛰어난 맛이 있다고 일컬어서 어공御供에 합당하므로 분의(分義, 의리)로 보아 숨겨 둘 수 없기에, 먼저 다섯 말을 주원(廚院, 왕실 부엌)에 올리고, 명년부터 진헌進獻하기를 청합니다." 라고 하였으므로 사옹원司饔院에서.. 2023. 4. 13. 한라산 나무와 풀, 바람에서 배웠다는 소암素菴의 글씨 1. 당근밭에서 보물을 캐다 혼자 사는 처지에 당장 필요한 물건은 왜 그리 많은지, 당x마x이 그럴 때 꽤 유용합니다. 뭐가 되었든 검색해서 직접 거래하는 일이 가능하니까요. 예전 x고x라도 비슷했지만, 어쩐지 사람들은 여기 더 열광하는 것 같습니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서도. 그러다보니 쉬는 날, x근x켓 앱에 뭐든 검색어를 넣어서 뜨는 걸 찾아보는게 낙 아닌 낙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상당히 놀라운 걸 발견하게 됩니다. 제주 명필 소암 현중화(1908-1997) 선생(이하 인물 경칭 생략)의 소품 하나가 싼값에 올라와 있던 겁니다. 서귀소옹이라 했으니 70-80년대 이후 만년 작품인데, 도연명의 한 구절을 적어놓았군요. 구름은 무심히 봉우리에서 나오고 / 새가 천천히 날으니 돌아감 알겠네 표구를 하지 .. 2023. 4. 9. 무자비無字碑엔 어떤 곡절이? 지워진 것도 아니고, 새기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새길 수 없는 것이다. *** 편집자주 *** 글씨가 없는 비석을 무자비無字碑 혹은 몰자비沒字碑라 한다. 또 백비白碑라고도 한다. 비석은 본래 무엇인가를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무자비 혹은 몰자비는 그에다가 무엇을 기록하고자 했을 테지만 어떤 이유로 적지 못하거나 적었다 해도 후세 무슨 이유로 글씨가 지워진 것을 말한다. 저런 무자비가 흔하지는 아니하나 드물지도 않다.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비석 암질이 글자를 새기기 어려워 폐기한 경우지만 그렇다고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강군이 제시한 무자비는 차마 적을 수 없다 해서 부러 저리 만든 것이니 제주4.3백비白碑다. 2023. 4. 3. 제주목사가 진상한 말馬, 평지풍파를 일으키다 예비로 남겨둔 것은 누구 물건인가 자고로 어떤 물건을 확보할 때 수량을 딱 맞추어서 준비했다가는 곤란한 일이 생길 때가 많다. 약간 넉넉히 확보해 두어야 돌발상황에 대비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돌발상황이 없다면, 예비로 남아도는 물건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시곗바늘을 돌려서 400여 년 전으로 가보자. 인조 9년(1631) 10월 23일, 제주목사 이진경(李眞卿, 생몰년 미상)이 보낸 말[馬]로 인해 조정에 한바탕 풍파가 일었다. "제주목사 이진경이 예차마預差馬를 아울러 바치니 돌려 주도록 명하였다. 옛 예에 목사와 판관 및 두 고을의 수령이 도임到任하면 어승마(御乘馬, 임금님 전용 말)로 합당한 말 두 필을 취하여 한 필은 가려 바치고 남은 말은 예차預差라고 일컬었다가 체직되어 올 때 사사로이 점유하.. 2023. 4. 2. 붉은 이파리 마을길을 밝히고[赤葉明村逕] 맑은 샘물은 돌뿌리를 씻는다 淸泉漱石根 - 이숭인(李崇仁, 1347-1392) 임신년(1992) 늦은 가을에 동원東園이 썼다고 하였다. 낙관을 보면 동원은 현병찬(玄昞璨, 1940-현재) 선생이다. 한글서예로 일가를 이룬 분임은 익히 알고 있었는데 한문서예는 처음 본다. 서풍書風에 소암素菴 현중화(玄中和, 1907-1997) 선생 느낌이 완연하다. 2023. 4. 1. 18세기 유배객 아들이 증언하는 제주성 구사당九思堂 김낙행(金樂行, 1708~1766)이라는 어른이 계셨다. 경상도 안동 내앞 분으로 평생 벼슬한 적은 없었으나 효행과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다. 30세 되던 해, 그의 아버지 제산霽山 김성탁(金聖鐸, 1684~1747)이 그 스승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을 변호하였다가 의금부에 잡혀가 국문을 받고, 제주 정의현으로 유배된다. 이에 김낙행은 아버지를 모시고 제주까지 따라가 1년 남짓 같이 지낸다. 이때 제주성 정경을 장편시로 남겼는데, 제목이 "제주성의 모습을 기록하여 돌아와서 아버님께 올리다〔記濟州城形 歸呈大人〕"이다. 18세기 중엽 제주읍성 내외의 모습을 제법 구체적으로 그린 내용이 재미있어 소개한다. 번역은 우선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종합DB의 것을 옮기나, 추후 다듬어보고자.. 2023. 4. 1.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8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