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25

근원 김용준(1904-1967)의 병풍 속에서 그의 붓이 지나면 가지의 감은 어느새 익고 팔백 년 전 청자가 나툰다 거기에 꿈틀대는 게 한 마리 어디선가 기어온다 2021. 2. 21.
나손 김동욱(1922-1990) 선생의 글 창의創意가 없는 글은 쓰지 마라 정묘丁卯 원일元日 라손羅孫 당연한 듯 싶으면서도 참 어려운 목표 2021. 2. 20.
고청 윤경렬(1916-1999)의 손길 "마지막 신라인"이라 지금까지도 칭송받는 경주의 큰 어른 고청 윤경렬 선생, 그는 누구 못지않게 빼어난 공예가였다. 젊은 시절 토우 만드는 기술을 배우러 일본에 갈 정도로 흙 굽는 일을 천직으로 여긴 그는 일제 말과 해방 전후 혼란기에도, 전통을 도외시하던 1950년대 이후에도 우리의 문화와 역사 풍속을 담은 인형을 흙으로 빚어 구워내곤 했다. 그것은 물론 팔아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이었지만, 그만큼 '불타오르는' 예술혼을 갖고 있었다는 얘기도 되겠다. 그의 회고록 을 보면 토우를 제작하며 만난 이들과 겪은에피소드가 여럿 보인다. 한 예로 그가 경주에 내려오고서 곧 경주박물관에 무상으로 드나들게 되는데 그 계기가 토우 제작이었다(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오래 산 만큼 작품이 많이 남.. 2021. 2. 20.
명도 선생의 교훈, 겐또는 처음 끌린 게 맞다! 북송의 성리학자 정호가 어느 날 창고에 앉아 있었는데, 심심풀이로 뒤채 행랑의 기둥 수를 세어 두었다. 그런데 다시 세어보니 맞지 않는 것이다. 할 수 없이 다른 사람을 불러다 소리내가며 세게 했더니 처음 센 게 맞았다. 이에 정호는 '집착할수록 안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시험 칠 때 처음 찍은 게 맞는다는 것을 900여년 전에 알아차리신 위대한 명도 선생이시여. 2021. 2. 19.
교정의 기쁨과 고통 한때는 교정, 교열을 보면서 밥 먹을 돈을 벌었다. 요즘도 글을 교정할 일이 많다. 그럴 때는 열일 제쳐놓고 빨간펜의 흔적이 역력한 교정고를 돌려주곤 한다. 아직 세상에 나오지 않은 글을 먼저 본다는 독자의 기쁨이 있고, 틀린 글자나 어색한 표현을 찾아내는 교정자로서의 기쁨이 있다. 하지만 문득문득 회의감이 들기도 한다. 교정보았던 것이 다 반영이 되지 않기도 하고, 자칫 교정으로 인해 글의 주인과 나 사이에 앙금이 생기기도 하기 때문이다.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에서 감정싸움이 되면 피곤한 일이다. 예전부터 교정을 볼 때, 네 글도 아닌데 뭘 그렇게 정성스럽게 보느냐고 한소리 듣는 일이 있었다. 교정만 보면 되는데 어디서 월권을 행사하느냐는 듯한 어조가 "고마워요"라는 답에서 느껴지기도 한다. 어쩔 수 없.. 2021. 2. 16.
제주풍토록을 읽다 중종 15년인 1520년, 충암 김정(1486-1521)이 제주에 발을 디뎠다. 이때 충암의 나이 서른다섯. 촉망받던 관료였으나 조광조(1482-1519)와 정치적 입장을 같이했다는 이유로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제주에 오게 된 것이다. 그는 제주에서 어떤 일을 겪었을까. 그를 기다리는 것은 무엇이었을까. 틈틈이 그는 붓을 들어 외조카에게 서찰을 썼다. 아니 그것은 서찰이라기보다 제주 리포트였다. 그것이 지금까지 남아 전하는 이다. 거기에 그가 겪은 일, 그가 본 제주가 담겨 있다. 2021. 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