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漢詩 & 漢文&漢文法553

저런 놈과 살아본다면 쫓겨나도 원이 없겠다? 사제향思帝鄕 위장韋莊(836~910) 봄날 노니는데 살구꽃 날려 머리 가득 떨어지네 길가 저 도련님 뉘집 자식이기에 저토록 훈남인가 내가 저이한테 시집가 한평생 함께하면 원이 없겠네 그리 살다 무정하게 버림받아도 미워하지 않으리 春日遊杏花吹滿頭 陌上誰家年少足風流 妾擬將身嫁與一生休 縱被無情棄不能羞 화무십일홍이라 한때 마른 장작 붙은 불길 같은 정념도 잿가루가 되어 뀌다논 보릿자루에 지나지 아니하고 식어버린 사랑이 새사랑 찾아떠나면 이 쓉쉐 가만두지 않으리 하고는 지구촌 끝까지 좇아 패가망신을 주고 살쩜을 도려 씹어도 분이 풀리지 않는 법이다. 고통 회한 분노 복수 없는 별리別離 있던가? 별리는 두 번 세 번 네 번 겪는다고 단련되지 아니한다. 연습도 실전도 경험도 소용없는 데가 별리요 배신이다. 2023. 5. 29.
유비 사당에서[蜀先主廟, 촉선주묘] by 유우석劉禹錫(772~842) 유비 사당에서 [蜀先主廟 촉선주묘] 유우석(劉禹錫. 772~842) 天地英雄氣 천지에 영웅의 기개 있어 千秋尙凜然 천년 흘러 여전히 늠름하네 勢分三足鼎 형세는 나뉘어 세발솥 되어 業復五銖錢 공업은 오수전을 회복했네 得相能開國 재상 얻어 나라 열었건만 生兒不象賢 못난 자식 어짐 닮지 않았네 淒涼蜀故妓 처량한 촉나라 옛 무녀들은 來舞魏宮前 위나라 궁전에서 춤추었네 촉을 개창한 유비 사당에 들렀을 적에 그에 감발한 바를 저와 같은 시로 읊었으니 그 사당에 들어서니, 漢 왕실 재건을 표방하며 촉을 창건한 유비의 기개가 살아있는 듯 하지만 곰곰 생각하니, 그 창건주 유비가 재갈량이라는 훌륭한 재상을 얻어 그런 대로 잘 다스리기는 했지만 못난 아들 유선이 대권을 이어받아 사직을 말아먹고 말았으니, 그 결과 나라가 .. 2023. 5. 14.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1439~1504)이 증언하는 괴뢰희傀儡戲 괴뢰잡희를 구경하다〔觀傀儡雜戲〕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 번쩍이는 금빛 띠에 현란한 붉은 의상 / 煌煌金帶耀朱衣 휙휙 날듯 몸 구르고 물구나무 서는구나 / 跟絓投身倏似飛 줄타기며 공놀리기 희한한 재주 많고 / 走索弄丸多巧術 나무 깎고 줄을 꿰어 신기를 자랑하네 / 穿絲刻木逞神機 송나라 곽독이 어찌 독보였겠는가 / 宋家郭禿奚專美 한 고조의 평성 포위 풀게 할 수 있었으니 / 漢祖平城可解圍 중국 조정 공경하여 성대한 예 진설해도 / 爲敬朝廷陳縟禮 안목 높은 사신들이 틀림없이 비웃으리 / 皇華眼大定嘲譏 [주-D001] 괴뢰잡희傀儡雜戲를 구경하다 : 괴뢰잡희는 꼭두각시놀음이다. 중국 사신들을 접대하는 연회에 꼭두각시놀음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성현이 이를 미리 구경하고 시를 .. 2023. 4. 29.
늙어도 팔팔한 그대가 부럽구려, 친구 허백당虛白堂 성현成俔이 증언하는 유자광柳子光 장난삼아 부사 유 우후 자광에게 주다〔戲呈副使柳于後 子光〕 성현成俔(1439~1504), 《허백당집虛白堂集》 제13권 시詩 호탕한 기운 온 천지 뒤덮고 / 豪氣堂堂蓋八埏 일찍 공 세워 능연각 들었네 / 早年功業畫凌煙 삼백근 활 손수 당겨 겨누고 / 手挽弓滿斤三百 붓 들면 바로 시 만편 이르네 / 筆落詩成首十千 기자땅 잔치판 다시 얼굴 대하니 / 箕壤笙歌重會面 연산 눈보라 뚫고 다시 입조하네 / 燕山風雪再朝天 부럽구려 그대 기력 아직 팔팔해 / 羡君氣力猶强健 자주 옷깃 당겨 비단자리 더럽히네 / 屢把衣裳衊錦筵 [주-D001] 유우후柳于後 : 유자광柳子光(1439~1512)은 본관은 영광(靈光), 자는 우후이다. 건춘문建春門을 지키던 갑사甲士로 이시애李施愛 난이 일어나자 자원 종군하여 세조에게 발탁되었으며,.. 2023. 4. 28.
인생 살아서 즐길 뿐 언제 부귀해지길 기다리겠는가? 저 남산 밭을 일구는데 잡초 무성해 뽑지 않네 한 이랑에 콩 심었지만 떨어져 콩대만 남았네 인생은 살아서 즐길 뿐 언제 부귀 기다리겠는가 田彼南山,蕪穢不治 種一頃豆,落而爲萁 人生行樂耳,須富貴何時 한서漢書 권 제66 공손유전왕양진정 전 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 제36이 채록한 양운楊惲 열전에 보이는 한나라 말기 때 민가民歌다. 저 열전에 의하면 저 노래를 양운 집안 노복들이 딩기딩가하며 부른다 하니 당시 대중가요인 셈이다. 한대漢代 시를 보면 유독 저런 식으로 인생 유한을 회한하며 오늘을 즐기자는 Carpe diem 정서가 판을 치는데 이 역시 그 부류라 할 만하다. 구경의 자리에 올라 권세를 구가하다 면직되고서는 상업으로 떼돈을 벌어 호사하다 결국에는 황제를 비방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된 양운은 사마천의 외손자이.. 2023. 4. 15.
나는 꽃 보며 노래 부를 테니, 스님은 줄 없는 거문고나 한번 타시오 가정집稼亭集 제16권 율시律詩가 채록한 이곡李穀(1298~1351) 작품 중 하나로 연경燕京 체류 중에 연성사라는 사찰을 갔다가 그곳 옥잠화를 보고 썼다. 이곡은 물론이고 한국 한시를 대표하는 명편 중 하나로 나는 꼽는다. 연성사延聖寺 옥잠화玉簪花 시에 차운하다[次韻延聖寺玉簪花] 돈 주고 사서 심은 그 뜻 얼마나 깊은지 비바람 몰아치면 정을 가누지 못하네 어찌 국색 뽐내는 화왕에 비기겠소만 천녀 따라 선심 시험하는 듯싶소이다 향 사르며 문 닫고서 누구랑 감상할까 지팡이 짚고 문 두드리며 혼자라도 찾아야지 나는 꽃 마주하여 이 노래 부를 테니 스님은 줄 없는 거문고나 한번 타시오 靑錢買種意何深。雨打風翻不自任。豈比花王誇國色。似隨天女試禪心。燒香閉閣誰同賞。拄杖敲門擬獨尋。我欲對花歌此曲。請師一撫沒絃琴。 [주-D00.. 2023.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