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6

서남득명西南得朋, 서남쪽에서 얻은 벗 《주역》 〈곤괘(坤卦) 괘사(卦辭)〉에 “서쪽과 남쪽은 벗을 얻고, 동쪽과 북쪽은 벗을 잃을 것이니, 안정하여 길하다.[西南得朋; 東北喪朋. 安貞, 吉.]”라고 하였다. 시문에서 西南과 得朋이 나오면 벗이 서남쪽에 산다는 게 아니라 벗을 사귄다는 뜻이다. 이를 나침반으로 서남쪽 찾아 누구라고 추정하지 마시라. 그런 글을 보아서 드리는 말씀임. 2020. 11. 18.
요리조리 살피다가 cooking이 되어버린 料理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stdict.korean.go.kr [料理] 음식을 만드는 요리를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고전에 나타나는 料理는 음식을 만든다는 뜻은 없다. 일제강점기 이후 소자(燒煮) 팽조(烹調) 등의 일본식 표현인 요리라는 말이 들어와 쓰인 것이다. 《표준대국어사전》에서 요리(料理)를 찾으면 「명사」 「1」 여러 조리 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주로 가열한 것을 이른다. 「2」 어떤 대상을 능숙하게 처리함을 속되게 이르는 말. 이 설명이 되어 있다. 사실 속되게 이르는 말이 원래 우리가 쓰던 뜻이다. 고전에 나타나는 요리는 마땅한 대치어를 찾기 어려워 번역할 때 고민스런 글자이다. 《한어대사전》에 나타나는 고전에서의 뜻은 다음과 같다. 1.照顧;照料。고려하다. 주의하다. 생각하.. 2020. 11. 18.
비슷한 초서 한 번 꼼꼼하게 봐두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2020. 11. 17.
파자破字, 쪼개 글자로 그린 상징 [파자(破字] 한문에는 글자를 나누어 표기하는 파자라는 게 있다. 조(趙)를 주초(走肖)라고 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번역하다가 뜬금없는 8인(八人)으로 전전긍긍했다. 八人은 火를 파자한 것이다. 그것은 아래와 같다. 3행의 書灰는 화롯불 재에 글자를 끄적이는 것을 말한다. 해 저무는 세밑에 늙어빠진 이 한 몸 歲暮窮陰一老身 옷에 한기 스며 더욱 가난함 깨닫소 衣寒尤覺此生貧 한밤중 산창 아래 재에 글씨 쓰면서 書灰半夜山牕下 무한한 품은 생각 불사르고 있노라 無限心懷付八人 2020. 11. 16.
김우급金友伋 가을날 즉흥시 즉흥시[即事] 갈댓잎 을씨년스럽고 단풍잎 졌거니 蘆葦蕭蕭楓葉衰 올해 가을날 다시 처량하고 슬프구나 一年秋氣又凄其 한없이 자욱한 물안개 저녁해 지는데 烟波十里斜陽盡 백사장 거닐며 읊자니 사무치는 생각 沙上行吟有所思 김우급(金友伋, 1574~1643) 《추답집》 권5 2020. 11. 16.
물푸레나무 윤행임(尹行恁, 1762~1801)의 《석재고(碩齋稿)》 권17, 〈金石隨錄(금석수록) 청탄지(靑灘誌)〉에서 물푸레나무를, ‘물푸레’는 심목(樳木)을 세간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도경》에서 찾아보니 침피(梣皮)나무라고도 부르고, 석단(石檀)이라고도 부르고, 번규(樊槻)라고도 부르고, 진피(秦皮)나무라고도 부른다.[水靑者樳木之俗稱也。考諸圖經, 或稱梣皮, 或稱石檀, 或稱樊槻。或稱秦皮。] 라고 하였다. 물푸레나무는 약재, 가구재 말고도 이 나무로 만든 숯으로 쇠를 제련하였고, 활의 재료이기도 하였으며, 껍질 우린 물은 먹을 대신하기도 했는데, 탈색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자 이름은 이것 말고도 계화(桂花), 청피(青皮), 목서(木樨) 등이다. 사진은 파주 무건리 물푸레나무(천연기념물 제286호)로 사진은 파주시.. 2020. 1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