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6 서울시 문화재 행정 서울시는 홍지문, 탕춘대 그 이름 그대로 문화재 정비하고 세계문화유산 등재한다고 나선 걸까? 일반 명칭과 공식명칭이 있다. 남대문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숭례문이다. 마찬가지로 탕춘대는 일반명칭이고 연융대가 공식명칭이며, 탕춘대성은 일반명칭이고 공식명칭은 연융대성이다. 더군다나 홍지문은 1970년대 박정희가 지은 이름이고, 한북문(漢北門)이 제 이름이다. 먼저 이런 것부터 차근차근 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도성 방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남한 산성과 달리 도성, 연융대성, 북한산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방어 시스템인데 도성만 떼어서 논할 수 있을까? 일전에 올린 《좌해지도》에도 연융대로 되어 있고, 도성연융북한산합도가 그려지는 것은 그것이 하나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2020. 10. 23. 인조仁祖가 지은 이름 한북문漢北門 [최초 공개] 오늘날 홍지문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지은 이름이고 원래 이름은 한북문이라고 하였습니다. 그 한북문이라는 이름을 지은 분은 인조이셨습니다. 오늘날은 사라졌지만 한북문에 걸려 있었던 인조의 어제시가 다른 곳에 남아 있습니다. 그것을 번역하여 올립니다. 인조(仁祖) 《한북문에 올라[登漢北門]》 어제시(御製詩) 현판(懸板) 오래전 이 문에서 쉬었던 게 옛일인데 粤昔往年憇此門 오늘 또 문에 오르니 얼마나 다행인가 今辰何幸復登門 접때 일을 추억하니 내 마음 긴절하여 追惟曩日我心切 붓을 휘둘러 한북문이라고 명명하노라 走筆命名漢北門 때는 정묘년(1627 인조5) 10월 3일 峕丁卯孟冬初三日 2020. 10. 23. 이인상李麟祥 《보산첩寶山帖》 《보산첩(寶山帖)》 능호관(凌壺觀), 보산인(寶山人) 이인상(李麟祥, 1710-1760) 의 서첩 크기 : 32.0 X 22.8 cm 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2020. 10. 23. 민주적 절차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듣기만하고 내맘대로 결정하는 것. (2014. 10. 22) 2020. 10. 22. 학문, 육성보다는 경쟁 [경쟁] 학문은 정당한 경쟁이라는 바탕에서 투자가 있어야 한다. 단순히 육성이라는 명분으로 투자해서는 효과가 없다. 그간 지방대 육성 발전시킨다고 쏟아부은 돈이 얼마였나. 인문학 죽었다고 징징 댈 때마다 쏟아 부은 돈은 또 얼마나 되나. 그럼에도 지방대는 갈수록 고사하고 있다. 발전한 건 그 돈 빼먹는 기능뿐이었다. 인문학도 돈 투자된 분야는 제자리고 지원 없이 허덕허덕 이어간 분야는 오히려 성과가 있었다. 돈을 쓰기 전에 운동장을 편평하게 하는 일에 집중하라. 2020. 10. 22. [조선시대 품셈단가] 영조시대 연융대성의 경우 영조 때 연융대성[탕춘대성]을 쌓을 때 이를 석축으로 할 것인지 토축으로 할것인지 논란이 있었습니다. 이 때 품셈 단가가 나오네요. 영조 24년 10월 11일에 환경전(歡慶殿)에서 대신과 비국 당상인 인견하는 자리에서, 강화 유수 권혁(權爀)이 "돌로 쌓을 때 1步[약 1.2m]에 들어가는 물력은 돈으로 5냥 남짓이 되고 쌀로는 2섬 남짓이 되는데 지금 쌓지 못한 곳이 4천 여 보가 넘습니다. 만약 돌로 쌓는다면 이 물력을 어디서 어떻게 마련할 수 있습니까?[石築時一步所入物力, 錢爲五兩餘, 米爲二石餘, 卽今未築處, 至過四千餘步。若欲以石築之, 此物力從何辦出乎?]" 라고 한 기록이 보이네요. 나머지 축성 기록 들을 검토하여 축성 비용을 계산한다면 조선시대 축성의 품셈단가를 계산할 수 있을 듯. 2020. 10. 22.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