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호철의 잡동산이雜同散異285

헛된 메아리, "면신은 처벌한다" 《전록통고(典錄通考)》 형전(刑典) 중 금제(禁制) 受敎輯錄 [免新禮] ○ 서울 각 관사 관원의 면신(免新)은 벌례(罰禮)의 목(木)과 허참례목(許參禮木)을 바치고 물건을 바치며 분축(分軸)을 하고 회자(回刺)를 하는데, 관사의 하인들이 신래(新來)라는 구실로 새로 온 사람에게 술과 안주·납부하라는 물건·술값을 갖가지로 요구한 경우에는 『대명률』의 「관리수재불왕법(官吏受財不枉法)」 조에 의거하여 장물을 계산하여 처단한다. 1관(貫) 어치 이하일 때 장 60을 치는 죄부터 1백 20관 어치에 해당하는 경우에 이르기까지 죄가 장 1백을 치고 유 3천리에 처하는 데 그친다. 그리고 하인들의 일을 관사의 관원이 만약 자세히 살피지 못하면 무거운 쪽으로 논죄한다. ○ 각 아문의 군관(軍官)·장교(將校)·서리(書吏.. 2020. 10. 18.
미국버클리대학교 소장 《준천계첩濬川稧帖》 관련된 자료로 규장각에 《준천시사열무도濬川試射閱武圖》가, 리움에 《준천첩濬川帖》이, 부산박물관에 《어전준천제명첩御前濬川題名帖》이 있다. 2013년에 규장각에서 이 자료들을 참고로 모사본을 만들었다. *** 조선 영조가 자신의 최고업적 중 하나로 내세운 청계천 준설 관련 요약 정리 보고서다. *** related articles *** 영조어제준천명英祖御製濬川銘 영조어제준천명英祖御製濬川銘 영조어제준천명英祖御製濬川銘 영조英祖란 조선 제21대 임금(재위 1724~1776)이 죽고 나서, 종묘에 그 신주를 봉안할 적에 얻은 이름이요 어제御製란 임금이 손수 지으셨다는 뜻이며 준천濬川이란 historylibrary.net 준천계첩浚川稧帖, 청계천 준설을 향한 영조의 위대한 여정 준천계첩浚川稧帖, 청계천 준설을 향한.. 2020. 10. 17.
《좌해여지左海輿誌》가 포착한 한양도성도 《좌해여지左海輿誌》에 실린 이 한양도성도는 입체감이 있어서 쓸만하네. 2020. 10. 16.
1791년 류문검柳文儉 면신례첩免新禮帖 1791년 류문검(柳文儉) 면신례첩(免新禮帖) 將仕郞儉文柳 龍頭鳳尾 鵝凰竹葉 卽刻進呈者 辛亥九月初九日" 장사랑 검문류는 봉두와 봉미와 아황과 죽엽을 즉각 바칠지어다. 신해년 9월 초9일 류문검을 부러 거꾸로 썼다. 봉두 이하가 무엇인지는 앞에서 설명했다. 아래글 참조. *** related article *** 신출내기 공무원 임백현 신고식과 수습졸업기임백현 면신첩 林百鉉免新帖 Myeonshincheop to Lim Baek-hyeon 새내기 관리 임백현의 신고식이 끝나고 선배가 작성해준 연신칩이다. 간단히 말해 공무원 수습기간이 지났음을 증명한 문건이다. 면신첩��historylibrary.net 2020. 10. 16.
교과서로만 공부했어요 《서경집전(書經集傳)》은 주희의 제자이며 사위인 채침(蔡沈)이 주석한 것인데, 엉성하여 그대로 보기 어려운 지경이다. 〈우서(虞書) 요전(堯典)〉 첫 머리에 “옛날 요 임금을 상고하건대, 방훈이시니, 공경하고 밝고 문채 나고 생각함이 편안하고 편안하시며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시어 광채가 사표에 입혀지며 상하에 이르셨다.[曰若稽古帝堯 曰放勳 欽明文思安安 允恭克讓 光被四表 格于上下]” 는 구절이 있다. 언해본도 이 비슷하게 번역되어 있어 보통은 방훈(放勳)을 “방(放)은 지(至)의 뜻이고, 훈(勳)은 공(功)의 뜻이니, 요(堯)의 공업(功業)이 이르지 않은 데가 없음을 찬미한 말”로 풀이한다. 조선 시대 과거시험 답안지에는 이렇게 써야 합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에 “.. 2020. 10. 15.
최천약이 만들었다는 개구락지 [어떤 개구리였을까?] 숙종~영조 때 조선의 과학기술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자명종 개발로 이름을 날린 사람으로는 전라도 동복의 나경적(羅景績)과 서울에 거주하던 최천약(崔天若)과 홍수해(洪壽海)가 두드러진 사람이었다. 최천약의 기록을 보면 그가 전주에서 희안한 개구리를 만들었던 모양인데 이게 뭔지 도저히 상상을 못하겠다. 황윤석(黃胤錫, 1729~1791)의 《이재난고(頤齋亂藁)》에 실린 부분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진주(晉州)의 풍수가(風水家) 문재봉(文再鳳)의 말이, 최천약(崔天若)은 웅천(熊川) 사람이고 홍수해(洪壽海)는 기장(機張) 사람인데 모두 공교한 기능을 지녀 왜관(倭館)에 들어가 금속, 목재, 흙, 돌을 공야(攻冶)하는 방법을 전수 받아 익혀서 갖가지 것에 정밀하고 기발하였는데, .. 2020.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