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와 함께한 나날들342

촬영에 심혈을 기울이고 고혈을 짜낸 김제 벽골제 발굴현장 내가 본 발굴현장 중에 강렬하게 남은 데가 많지만, 개중 이 김제 벽골제 발굴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물론 내가 직접 본 데가 아무래도 그렇지 아니하는 데보다 더 강렬할 수밖에 없겠지만, 이건 내가 그 촬영에 나름으로는 심혈에 심혈을 기울 데라 더 기억에 남을 수밖에 없다. 현장 공개 당일 서울에서 현장으로 날아간 나는 보통 내 일하는 스타일이 관련 기사는 미리 쓰고 현장을 가니, 이날도 이리했다고 기억하거니와, 그런 까닭에 나는 비교적 느긋하게 현장을 음미하면서, 또, 그런 까닭에 더 느긋이 이 현장을 어떤 방식으로 기록에 남길 것인지를 고민하게 되거니와, 막상 현장을 마주하고선 진짜로 잘 담고 싶었다. 그만큼 벽골제 현장은 나한테 깊은 인상을 남겼다. 당시 나는 현장 사진을 흑백과 컬러 두 가지로 번.. 2023. 4. 9.
아무도 박으려 하지 않은 천마총 말뚝 “실측을 하려면 그 중심점이 되는 나무 말뚝을 박아야 합니다. 가장 높은 곳에서 사방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하니, 당연히 봉분 제일 높은 곳에다가 말뚝을 박지요. 나중에야 그 이유를 알았지만, 당시 발굴단에선 아무도 말뚝을 박으려 하지 않았어요. 그래서 제가 했지요. 왜 남들은 나서지 않았는가? 무덤에다 말뚝 박으면 부정 탄다 해서 아무도 나서지 않았던 것입니다. 저야 그런 사정을 알 턱이 없었지요.” 김태식, 「한국고고학 최초의 실측가 남시진」, 연합뉴스, 2006. 6. 22 누가 무덤에다가 말뚝 박는 일을 좋아하겠는가? 그래서 아무도 안 한다고 나 자빠졌다. 이럴 때 총대는 항상 막내가 매기 마련이라, 막 공고 졸업하고서는 당시 한국일보 주재 우병익 기자 백, 곧 낙하산으로 경주고전발.. 2023. 4. 8.
기자들이 개무시한 2014년 천마총 천마도 추가 공개 천마총 특별전을 준비 중인 국립경주박물관이 그것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것을 선전하고자 할 요량으로, 그리고 성과가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므로 새로운 천마도 장니를 공개했다. 천마도라 하지만 엄밀히는 천마를 도안안 문양이니 천마문天馬文이라고 표현해야 하며 실제 경주박의 관련 보도자료에도 그리 돼 있다. 경주박물관에서 전시회 개막에 앞서 언론에 미리 공개한다는 사실은 그런 프리뷰 행사가 있기 5일 전쯤 담당 기자들에게 통보한 것으로 안다. 나는 관련 통보를 동남아 휴가 중에 받았다. 그와 때를 같이해 이와 관련한 정보가 다른 데서도 속속 들어왔다. 프레스 프리뷰는 지난주 월요일 오후 2시 경주박물관 현지에서 할 예정이었다. 그 중요성에다가, 또 경주가 부쩍 생각나 나는 출장을 끊었다. 한데 막상 현지에 가 보니.. 2023. 4. 7.
광주풍납리토성에 얽힌 일화 한 토막 월간 《신동아》 2000년 7월호에는 내가 기고한 이 실렸다. 그 첫 대목에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이 편찬 준비 8년, 출판 작업 4년 만에 만들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본책 25권, 부록 3권)에 ‘풍납토성’이 표제 항목으로 없다는 논급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내 오류였다. 당시 연합뉴스 자료실에는 이 백과사전 전질이 있었으니, 이를 수시로 내가 들여다보았지만 놓치고 말았다. 이에는 나름 곡절도 없지 않아, 표제 항목을 '광주풍납리토성'(맞나?)이라고 수록했기 때문이었다. 이 사전은 표제항목 선정에 기준이 있어 문화재의 경우 그 등재 표제어를 기준으로 삼아 이렇게 편성했다. 풍납토성은 처음 사적 지정 당시에 경기도 광주군 소재라 이렇게 되고는 행정 구역이 서울 송파로 재편되었음에도 여전히 이리 항목 .. 2023. 3. 31.
나로서는 모든 걸 쏟아부은 직설 무령왕릉 무령왕릉에 현재까지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걸 쏟아부었다 첫째 발굴비화..발굴단 일원인 조유전 선생이 일전에 이를 초抄한 적 있지만 이를 토대로 나는 2001년에 그 완결편 전초를 이미 선보였다. 작금 한국사회에서 통용하는 발굴 일화는 그때 15회 분량으로 정리한 내 기사가 뼈대다. 나는 발굴단장인 김원룡이 이 발굴을 자아비판했다 해서 그걸로 모든 것을 용서하고픈 생각은 추호도 없다. 외부에서의 진짜 충격을 그는 받은 적이 없다. 간담을 서늘케 하고 싶었다. 둘째, 설계자를 남조南朝 양梁나라 사람들로 확정했다. 이는 종래 梁官瓦爲師矣로 판독한 송산리 6호분 전돌 명문을 끌어엎음으로써 가능했다. 瓦는 어처구니없는 오독이었다. 나는 볼펜 똥으로 보아 그것을 쳐냈다. 이렇게 됨으로써 이 문구는 양나라 관리를 .. 2023. 3. 26.
논문 같은 기사 기사 같은 논문 내가 모름지기 그리하지도 않았고 또 이것도 관련 기자질하면서 서서히 체득한 것이라 초반기에는 그리 철저하지 못했을 것이다. 고고학 발굴 소식에서 지번을 꼭 밝혀야 하는 이유를 나는 해당 유적 성격을 가늠하는 데 그것과 그것을 둘러싼 환경이 결정적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해당 유적이 바다나 강을 연접한 곳이라면 그와 연동하는 마을 혹은 건물일 것이요 그곳이 산상이라면 망루 같은 흔적일 수 있다. 그에 더불어 근자엔 지번 하나로 그 주변 환경을 한 눈에 조망하는 지도 서비스가 이뤄지는 중이라, 그 서비스엔 위성지도까지 포함하니 우리는 현장을 가지 않고서도 지번 하나 클릭함으로써 안방에서 주변 환경을 들여다 보는 시대를 산다. 그래서 반드시 지번을 밝혀야 한다고 본다. 나는 또한 해당 발굴을 시행한 조.. 2023. 3.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