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09

Statue of General Douglas MacArthur in Incheon, South Korea There is no boundary in justice, nor is there any obstacle to struggle, mountain or sea. A man who executed such a struggle in the spirit of justice, to the triumph of the cause of the free world and to the gratitude and admiration of mankind is the man whom this statue represents. General Douglas MacArthur was bor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n January 26, 1880, the second son of General A.. 2023. 9. 3.
용인 보정동 고분군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2021. 12. 10 김충배 선생 글이다. [용인 보정동 고분군에 대하여] 용인시 보정동 고분군 발견 20년 즈음에 개최된 학술회의에 발표한 유적에 대한 소개문입니다. 유적 홍보차 소개합니다. 사진은 현재 이 일대의 유적 조사와 정비를 담당하고 진행 중인 한국문화유산연구원에서 제공해 주셨습니다. ----------------------------------- 용인 보정동 고분군이 세상에 나오기까지 김충배(국립고궁박물관) 1. 들어가며 최근 문화재청은 모든 국가지정문화재의 지정번호를 없앴다. 이와 관련된 법령이 고시되기 전까지 용인 보정동 고분군은 사적 제500호로 불렸다. 지금은 “사적 용인 보정동 고분군”이다. 그런데 무슨 이유로 이 번호를 없앴을까. 그 근본 취지는 이렇다. 유적 번호는 단순한 행정.. 2023. 8. 30.
일타사피, 벼락 같았던 어느날을 반추한다 오늘 선친 소분을 했다. 어제 청주에 일 땜에 들린 일을 기화로 저녁 늦게 김천으로 냅다 달렸다. 청주는 서너번 갔지만 제대로 둘러본 적 없어 일을 핑계로 이곳저곳 돌아봤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 새벽 서울을 출발할 무렵 서울은 비가 그치는 기운이 완연했으나 비구름이 나랑 같이 남하했다. 남쪽으로 갈수록 폭우로 돌변해 두어시간만에 닿은 정북동토성은 강풍까지 몰아쳤다. 정북동토성은 두 가지 점에서 나는 주목한다. 그거야 앞으로 차근차근 말할 기회가 있을터이고 우산이 소용이 없었다. 기온까지 뚝떨어졌다. 사진기는 젖어서는 안된다는 일념으로 버텼지만 여의치 않았다. 예서 진을 다 뺐다. 비가 그칠 기미가 없어 이럴 땐 우선 실내로 피신해야 한다. 청주박물관으로 향하다 중앙공원에 멈췄다. 주변 풍광 중에서도 내가.. 2023. 8. 27.
양평 사나사舍那寺 원증국사圓證國師 석종비石鐘碑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양평 사나사는 용문산 자락에 있는 사찰이다. 고려 초기 크게 활약한 대경大鏡 대사가 제자 융천融闡 등과 함께 창건한 것으로 전한다. 보우가 중창한 사찰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거치면서 소실되었다가 다시 중건되었다. 경내 동편에 있는 비각 안 석종비는 석종이 나란히 있다. 비는 규모가 작고 비좌-비신-개석을 결구하여 세웠다. 비좌는 상면이 고른 자연석을 활용한 것으로 보이며, 그 위에 올린 비신은 좌우에 별도 보조 기둥을 세워 고정했다. 비신 상부에도 개석을 올렸다. 비신은 좌우 보조 기둥과 개석 하부에 마련된 별도 좁은 홈에 끼워서 고정했다. 이처럼 비신 좌우에 보조 기둥을 세우는 것으로 신륵사 보제존자 석종비와 대장각기비 등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 2023. 8. 26.
양평 사나사舍那寺 원증국사탑圓證國師塔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Sanasa Temple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 양평군 옥천면 용천리 304번지 태고화상太古和尙 보우普愚(1330~1382)의 사리탑이다. 보우는 본관이 홍주洪州, 속성은 홍씨洪氏, 첫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로 홍주(현재 홍성) 출신이다. 13세에 출가해 회암사 광지廣智의 제자가 되었고, 가지산迦智山에서 수행했다. 공민왕 5년(1356) 왕의 청으로 봉은사에서 설법하였고, 같은해 4월 왕사로 책봉되어 광명사에 머물렀다. 1371년 공민왕은 스님을 국사로 봉한 뒤 영원사營原寺에 머물기를 청하였으나 사양하였다. 1381년 양산사陽山寺로 옮겼는데, 우왕은 다시 국사로 봉하였다. 1382년 소설산으로 돌아와서 12월 17일 입적하였다. 이 탑은 보우 스님 입적 다음 해인 우왕 9년(1383) 건립되었다. 방형 기단과 종형 탑신.. 2023. 8. 26.
총알 구멍 숭숭한 양평 용문산 기슭 사나사 불량비 사나사 불량비 舍那寺佛糧碑 소재지 : 경기 양평군 옥천면 사나사길 329 사나사 불량비는 사나사 경내 남쪽 주차장 옆 풀숲에 위치하고 있다. 팔작지붕 옥개석ㆍ비신ㆍ자연석 비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고 총탄 흔적이 여러 곳에 남아 있다. 1775년(영조 51년)에 양근군에 경내의 당상관 이상을 지낸 사람들이 당상계를 결성하고, 주사酒社를 열어 태평한 시대에 사는 것은 임금의 은혜이며, 이것을 주관하는 것은 부처이니 시주를 하여 부처의 자비심을 구하고자 각각 약간의 논을 마련하여 사나사에 말겼다. 부처님께 시주하는 밭이라는 뜻으로, 절에 소속되는 발을 의미한다. 불향답佛餉沓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 일을 기록하고자 사나사 불량비를 세웠다. 비문은 전면ㆍ후면 두 곳에 새겨져 있다. 전면에는.. 2023. 8.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