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문화유산 관리와 지속가능한 발전, 그 가능성을 향한 어떤 탐구 by Eugene Jo 2020년부터 사업 기획해서 2021-22 사이에 워크샵 운영하고 거기에서 나온 논의들을 결과물로 뽑아내 학술지 특별호 하나 출간할 수 있도록 각 세계유산 관리진 + 연구진 독촉하느라 또 한 해가 지나갔다. 그리고 드디어 완성.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고질적으로 불거지는 문제는 유산을 관리하다 뭔가 데이터가 필요해 연구 결과를 찾아볼 때가 많은데 하필 하고 많은 자료 중 내 유산을 직접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제일 중요한 부분의 연구자료는 늘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우리는 돈이라도 많으니 각 관리기관에서 입맛에 맞게 연구용역이라도 발주할 수 있다. 하지만 막상 관리자 관점에서 엮은 연구과제를 학술적인 입장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기관도 별로 없고 설령 한번은 어떻게 넘어가더라도 지속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 2023. 8. 10. Pottery cooking kiln sites kiln sites from the early Baekje period(the 3rd or 4th century A. D.) for cooking pottery ware, excavated at a housing development compound, Paju, Gyeonggido Province. (2016. 8. 9) 2023. 8. 9. 문중이 관리권을 이양한 소수서원, 행안부가 허가한 인삼박물관 전국 박물관 연혁과 현황 정리 차원에서 앞서 경북 영주시 소속 소수박물관과 인삼박물관 두 곳을 정리했거니와 거기에서 아주 요상한 대목들이 발견되어, 영주시 쪽에 공식 취재에 들어가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오늘 확인했으니 1.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이 소수서원이 있기에 소수박물관 성립이 가능함은 말할 나위가 없으니, 문제는 소수박물관과 소수서원 관계가 도대체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있다. 이를 위해 소수서원 운영 양태, 특히 그 법적인 주인이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일이 급선무인데 2023년 8월 현재, 소수서원은 법인과 같은 형태가 아니라 세무서에 단체등록을 하고 고유번호만 받아 활동한다. 이로써 보면 법적인 기반이 굉장히 허약한 셈인데, 그런 여러 가지 사정들이 있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곡절이 있었는지.. 2023. 8. 9. 소나무 숲 너머로 달 떠오른 월송정 by 신정일 강원도에 있는 관동팔경 중 가장 아래쪽에 있는 정자가 평해의 월송정越松亭이다. 월송정으로 들어가는 초입은 굵은 소나무들로 이루어져 운치가 있는데 이 소나무 숲을 성단송전城壇松田이라 하고, 이 솔밭에 평해·장수·창원 황씨 시조가 된 황낙黃洛을 기리는 비석인 황장군단비黃將軍壇碑가 있다. 중국 당나라 고종 때 학사였다는 황낙이 굴미봉 아래에서 살았는데, 그의 묘가 이 근처에 있었으므로 단을 쌓고 비를 세워 추모한다. 황장군단비 앞에는 황낙을 모신 사당 추원재追遠齋가 있다. 소나무 숲길을 한참을 따라가면 월송정이 나온다. 경북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바닷가에 위치하며 관동팔경 중 하나인데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5권 강원도江原道 평해군平海郡 ‘누정樓亭’ 조에 실린 글은 다음과 같다. 월송정越松亭: 고을 동쪽 7 리에.. 2023. 8. 9. 죽을 만치 더운 날 찾은 티볼리 로마 황제 별장 티볼리는 로마서 동쪽으로 대략 이십키로 떨어진 산간이다. 라틴평원에선 드물게 산이 있고 로마서 가차우니 이곳에다 토목황제 아드리아누스 Hadrianus 황제는 피서지 별장을 맹글었다. 이곳 빌라 데스테 Villa d'Este와 빌라 아드리아나 Villa Adriana[영어명 하드리안 빌라 Hadrian's Villa]는 세계유산이다. [라틴어나 이태리어 어두 H는 묵음이다.] 한국 중국인 없어 좋다. 이 두 민족이 없다는 건 이 역사도시가 아직은 복닥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내가 이곳을 찾은 까닭은 조만간 대전 복귀가 유력한 문화재청 강모 원장의 강력한 추천이 있었기 때문이다. 로마서 이곳으로 오는 과정이 좀 험난했으니 이곳을 찾은 한국인이 거의 없고 구글 맵 지침대로 했다가는 x되기 때문이다. 로마 지하.. 2023. 8. 9. 사천대학박물관 소장 당대唐代 보살 이들 唐代 보살 압권이다. 사천대학박물관에서 2013. 8. 7 #사천대학박물관 #중국불상 **** 사천성 성도 사천대학박물관이 두드러진 특징 몇 가지가 있는데 첫째 그 컬렉션 규모가 엄청난데 무엇보다 조각 보고이며 둘째 그 조각 중 불상과 셋째 화상석 화상전 보고라는 점이 그렇다. 특히 화상석 화상전은 우리가 아는 그 모든 것은 이 대학박물관에 있다고 보아 대과가 없다. 다만 대학 부설박물관인 까닭에 그다지 알려지지는 않은 듯하다. 10년 전 내가 부득부득 저기는 가야 한다고 답사 노선을 돌려 간 이유가 실은 화상석 화상전 때문이었다. 혹 사천을 가시는 분들은 모름지기 들려 주었으면 한다. 2023. 8. 8. 이전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3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