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73

쌍릉 관받침대에서 놀기 삼년전 오늘 독고노인과 갈곳없는 양모 사장과 이러구로 놀았다고 캘린더가 폭로한다. 이때는 복직해서 부장질할 때가 아닌가 싶기도 히거니와 현장은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발굴한 익산 쌍릉 중 덩치가 상대적으로 크다 해서 대왕묘로 일컫는 곳이다. 식민지시대 이래 재발굴이라 구조 확인이 주목적인 조사였다. 2021. 4. 12.
기지시줄다리기에 투신한 어느 학예사의 회고 정신없이 행사를 치르는 와중에 우리 박물관이 개관한지 10주년이 되었다. 2010년 2월에 발령받아서..(어쩌다 발령이 늦어져서 2009년 11월부터 들락거리긴 했다) 정말 많은 일이 있었다. 처음 인사하러 왔을때 담당 업무가 줄다리기라는 말에 그 황당함이란.. 이름도 생소한 기지시라.. 그래도 나의 20대와 30대를 쏟아부었다. 발령받고 다음해 2011년 박물관을 개관하고 같은 해 11월 박물관을 등록했다. 계속 줄다리기 축제도 담당해서 2012년에는 문체부 유망축제가 되었다. 13년부터 생생문화재와 전수교육관 활성화사업 공모에 선정되서 올해까지 끊임없이 진행하고 있다. 12년부터 유네스코 등재를 추진해서 13년 15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14년에는 오지랍넚게 나서서 한국전통줄다리기전승단체연합회 를.. 2021. 4. 11.
화살통? 활집? 이거 보면 지금껏 화살통 이른바 왜놈식 표현으로는 성시구盛矢具라 한 것 일부는 활집일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지 않을까 싶다. 2021. 4. 11.
아무도 찾지 않는 부여 군수리사지 | 扶餘軍守里寺址 사적 제44호 Historic Site No. 44 부여 군수리절터다. 발굴조사 이래 정비가 되었다 해도 여타 정비 유적과는 달리 깔끔한 편도 아니며 볼품도 없고 진입로를 비롯한 여타 제반 인접시설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한 까닭에 부여에 포진하는 백제시대 흔적 중에서는 지명도 제로에 가깝다. 그러니 파리 날리고 찾는 사람도 없다. 한 시간을 서성였는데도 인적 하나 없다. 철저히 버려진들 어떠리? 그래서 버려졌나 보다. 발굴소식 전할 적만 해도 그리 시끄러웠건만 그 남쪽엔 주차장이라 할 만한 빈터가 있지만 비포장이고 화물차 주차장으로 쓰이는 중이니 차량이 지날 때마다 먼지가 수북히 일어나니 예가 고비사막인갑다 한다. 그간 발굴한 지점은 모조리 수목은 베어버려 훼뎅그리 잔디밭이라 그런대로 이런 데는 풀도 깎고.. 2021. 4. 6.
신라 지방 유력가가 만든 무덤 양산 중부동 28호분 카카오맵 당신을 좋은 곳으로 안내 할 지도 map.kakao.com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 동산東山 북쪽 능선에 걸쳐 분포하는 양산 중부동 고분군(사적95호)은 신라가 이 지역을 지배한 6세기 무렵 공동묘지로 간주된다. 1920년 조선총독부 오가와 게이키치小川敬吉와 우마즈카 제이치로馬場是一郞가 지표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존재를 확인했으니, 이때 72기에 이르는 무덤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어 1972년 동아대학교박물관이 지표조사를 해서 대략적인 현황과 고분구조, 그리고 이들 무덤을 만든 시기에 대한 제시가 있었으며, 1996년 창원대학교박물관도 지표조사를 통해 현황과 구체적인 입지 설정을 했다. 2004년에는 통도사성보박물관이 다시 지표조사를 하고는 고분 위치와 규모, 분포범위를 밝히니, 대부분 도굴로 보.. 2021. 4. 3.
신라 석조 교량의 실체 확인- 효불효교(일정교)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2003. 3. 13) *** 최맹식 선생이 소장을 하던 시절이니 참 오래되었다. 벌써 18년이 후딱 지났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崔孟植)는 경주 효불효교지(孝不孝橋址, 일명 日精橋址)에대한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한다. ㅇ 일 시 : 2003. 3. 14(금) 14:00 ㅇ 장 소 :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921-1번지 발굴조사 현장 ㅇ 조사기관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ㅇ 조사기간 : 2002. 11. 14 ~ 현재 (2차)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경주시의 의뢰로 효불효교지(경상북도기념물 제35호)에 대해 지난 2001년부터 금년 2003년까지 시굴조사 및 2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라시대의 석조문화재 중 흔치 않은 교량유적에 대한 성격을 어느 정도 밝혀낼 수 있게 되었다. 효불효교(.. 2021.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