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09 Head of a Bodhisattva 菩薩頭像 보살두상 Head of a Bodhisattva 菩薩頭像 보살두상 Tang dynasty period (618 ~ 907 AD) Unearthed in Quionglai City, Sichuan Province, China 邛崃 邛崍 공래 Housed at the Sichuan University Museum 四川大学博物馆 사천대학박물관 소장 Location: Sichuan University, Wangjia Campus 四川大学望江校区 2021. 1. 5. 금으로 꼰 실 금사金絲, 그 기능은 오리무중 금사金絲. 금실이란 뜻이다. 사진은 부여 능산리 고분군 출토품이다. 기능은 오리무중이다. 까닭은 모조리 도굴된 상태에서 저리 남은 것만 건지기 때문이다. 맥락을 모른다. 저 금실이 어떤 상태로 어딘가에 착장된 것인지를 안다면야 기능 접근의 단서를 마련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선 그것이 불가하다. 나는 내심 짚이는 게 있다. (2017. 1. 5) 2021. 1. 5. 손질 필요한 부소산성 백제금동광배 전시 부소산성 출토 사비백제시대 금동광배다. 2017년 전시 모습인데 이리 하면 곤란하다. 현재도 이런 모습으로 전시가 계속 중인 듯 하다. 이게 불상 뒤꼭지에 박히는 전면인데 이거 백제공예기술을 잘 보여주는 명품이라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한데 이 광배가 더욱 중요한 대목은 그 조성자가 저 광대 뒷면에 적혀있다는 사실이다. 저에 못 같은 걸로 긁어 쓴 글씨가 何多宜藏治佛(하다의장치불) 이다. 하다의장이 불상을 만들었단 뜻이다. 한데 전시는 명문을 보기가 심히 곤란하게 해 놨다. 또 하나 보존처리에 문제가 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마지막 글자를 안 보이게끔 반창고를 붙여버렸다. 다행히 부여박물관 윤형원 관장한테 문의하니 재처리할 계획이 있다 한다. 반창고는 떼어내고 전시는 앞뒤가 다 보이게끔 해주리라 .. 2021. 1. 3. 유리구슬로 구현한 유리장세계 미륵사지 석탑 사리공 수습 유리구슬이다. 유리장세계를 구현한 상징물이다. 모르겠다. 서동왕자가 구슬치기로 선화공줄 꼬셨는지는.. (2017. 1. 3) 2021. 1. 3. 호랑이에서 비롯하는 발병부發兵符 이걸 국립고궁박물관이 이번 군사의례 특별전에 출품하면서 발병부發兵符라 했는데 저 나무 판대기에 군사를 발동하라는 발병發兵이라는 글자가 있는 까닭이다. 이를 검색하면 간단히 병부兵符라고도 한다는데 글쎄 발병부나 병부가 당시 용어인지 모르나 저건 애초 호부虎符라고 부르는 군사발동 증명서다. 애초엔 호랑이 모양을 본뜬 까닭에 호부라 했거니와 중국에선 저런 호부 실물로 진한시대 유물이 현전한다. 虎는 가장 용맹한 동물이라 해서 그 자체 武를 의미했거니와 이 경우 武란 곧 兵이다. 그래서 신라 문무왕文武王을 고려시대에 언급할 적에 고려 2대 혜종 휘가 武인 까닭에 문호왕文虎王이라 한 이유가 이에서 말미암는다. 그런 까닭에 저런 군사발동 증서는 후대에는 그 모양과 관계없이 다 호부라 한 것이다. 저건 항상 절반을 .. 2021. 1. 2. Bangsangssi wooden mask 방상씨方相氏 가면 Bangsangsi Mask for Exorcism Age : Joseon Period Bangsangsi Mask was worn by a clown with the title Bangsangsi to drive away evil spirits at a funeral or a narye (annual exorcism) in a royal court. This mask was also used during events in the royal court, such as King's outings, receptions of foreign envoys, or other major occasions. Four Bangsangsi wearing red costumes and masks drove away evil.. 2020. 12. 26. 이전 1 ··· 202 203 204 205 206 207 208 ··· 3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