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09 죽청저수지에서 望하는 방장산 입간판 보니 1978년에 만들었다. 2020. 10. 31. 고창 문수사는 단풍으로 발광한다 고창 문수사다. 걸거치는 사람 다 사라지고 독거노인이랑 둘이서 살모시 왔다. 귀한 건 농구지 않는다. 독식해야 한다. 절경이다. 비경이다. 고로쇠 뚫고 싶다. 우화이등선할 듯 싶다. 넋을 잃는다. you made me speechless. 2020. 10. 31. 고창읍성高敞邑城 맹종죽림孟宗竹林에서(2) 2020. 10. 31. 고창읍성 맹종죽림孟宗竹林에서 카드깡 하듯 대나무를 긁어봤다. 고창읍성 맹종죽림孟宗竹이다. . 죽통밥이 땡긴다. 대나무는 밥이다. 2020. 10. 30. 2015년 창녕 교동송현동고분 발굴 *** 이하는 2015년 9월 3일 문화재청 보도자료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의 숨겨진 고분, 빛을 보다 - 가야 고분 21기 신규 확인 / 9.4.(금)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박왕희)는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있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사적 제514호)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가야 고분 21기를 새롭게 확인하고,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오는 4일 오전 11시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 * 발굴현장: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산5(창녕박물관 옆)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창녕군 교동과 송현동 일대에 걸쳐 있는 고분군으로, 217기(2014년 기준)에 달하는 고분이 분포한 비화가야(非火加耶) 최고(最高) 집단의 묘역으로 알려져 있다. 고분 3기.. 2020. 10. 29. 습지에 세운 황룡사 황룡사지 남쪽 담장 경계 전면을 팠다. 사진이 확연히 드러내는지 자신이 없으나 왼편 절터에 견주어 파제끼고 갓빠로 덮은 지점이 고도가 뚝 떨어진다. 기록을 존중한다면 황룡사는 경주 분지 저습지를 메꾸고 세웠다. 발굴성과로 볼 적에도 그렇다. 황룡사 구역만 자연 둔덕 형태였을 가능성은 있다. 주변이 늪지였을 것이다. 하지만 절터 전체 혹은 일부를 판축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번 발굴조사가 이런 점들까지 확인하는데 주력했는지는 모르겠다. (2017. 10. 29) 2020. 10. 29. 이전 1 ··· 212 213 214 215 216 217 218 ··· 35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