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34 남대문 불타기 직전 이란 동굴의 추억 2008년 2월 한양대 문화재연구소가 기획한 이란 페르시아문명 답사 과정에서 들른 이란 북부 길란지방 어느 험산 중턱 동굴유적을 찾아가는 길이며, 그에서 실제로 유물을 수습한 장면이다. 오늘 그 답사반을 이끈 작은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이 이에 대한 포스팅을 했으므로, 그것을 보완하고자 이들 사진을 꺼내어 정리한다. 이중 몇 장은 이미 간헐적으로 소개한 적이 있다. 길란지방 고고학도 2명이 안내를 해서 이 답사반 기뤠기 일원들인 나와 경향 이기환, 서울 서동철이 이 답사반 큰대장 배기동 교수 수하인 심광주 당시 토지박물관 부장, 그리고 역시 한양대 동문인 김충배 현 LH 차장, 당시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재직 중인 신희권 서울시립대 교수를 휴대하고서 현장을 찾았다. 당시 답사반은 중장년 중심이었거니와, .. 2020. 7. 5. 중국에서 발견된 세종시대 경연본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완질 세종조 경연본 '자치통감강목‘ 완질 발견 - 국외소재문화재단 보도자료 [2014.12.30] -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재위 1418~1450)대 경연(經筵)에서 사용됐던 ‘자치통감감목(資治通鑑綱目)’ 완질(59권 59책)이 중국 상하이(上海)도서관에서 발견됐다. 상하이도서관 소장본은 1420년(세종 2)에 만들어진 동활자인 경자자(庚子字)로 간행한 ‘자치통감강목’으로, 조선에서 처음 간행된 판본인데다 동일한 인쇄본의 전래가 드문 귀중본(보물급 문화재)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경자자본(庚子字本) ‘자치통감강목’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하 재단)이 지난 10월 16일부터 24일까지 진행한 중국 상하이도서관 및 푸단(復旦)대학도서관 소장 한국전적 조사과정에서 확인됐다.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과 청주고.. 2020. 7. 5. Sarira reliquary from Wangheungsa Temple Site in Buyeo The Sarira reliquary from Wangheungsa Temple in Buyeo-gun County, Chungcheongnam-do Province, is the oldest sarira artifact found in Korea to date. A sarira reliquary is a container of pearl or crystal-like bead-shaped objects that are purportedly found among the cremated ashes of Buddha and other Buddhist spiritual masters. The Sarira Reliquary was found in 2007 by the National Buyeo Research I.. 2020. 7. 4. 학예사들의 백태百態 2018년 9월 10일 17시 58분. 공식 퇴근 개시 정확히 2분 전 ○○시청 학예사 ○○○한테 전화가 걸려온다. 천연기념물로 보이는 새가 한 마리 낙오했으니, 와 보란다. ○○시청 공무원 중에 천연기념물을 취급할 사람은 오직 한 명이다. 새가 문화재라니? 그 새가 천연기념물이라면 다르다. 문화재는 학예사가 취급하기 때문이다. 다만, 야근 때문에 현장으로 출동하지는 못했다. 보니, 문제의 낙오한 새는 천연기념물 황조롱이었다!!!! 설악산 보호구역을 사는 산양. 천연기념물이다. 이 놈들이 근자 보호구역을 탈출해 서울 용마산 공원에 출현하는 일이 있었거니와, 이 놈들이 태백산맥을 따라 남하해서는 원주 산기슭에 출현하기도 한다. 그런 산양이 어찌 된 셈인지 원주에서 죽었다!!! 새는 들고나 다니지, 박종수를.. 2020. 7. 2. 용산역 인근 하자마구미[間組] 경성사무소 경부선 한강철도교와 한강인도교를 공사한 하자마구미[間組] 경성사무소 건물이다. 현재는 주식회사 광일光一이란 데서 쓴다. 지번은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42길 13 블로그 같은 데를 보면 이와 다른 지번이 소개되던데 알 수 없는 노릇이다. 이하는 근대건축을 하는 김란기 선생 전언을 문맥에 따라 약간 내가 손질한 설명이다. 하자마구미[間組]는 러일전쟁 발발 전인 1903년 경성영업소를 설치하고 식민지 인프라를 구축한 기업이다. 1990년 하자마구미가 펴낸 《하자마구미 100년사》에 따르면 이 회사는 1940년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발주한 당시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에 경성조차장 건설에 참여했다고 한다. 당시 철도국은 한반도 철도 물동량이 크게 증가하지만 경성역(현 서울역)과 용산역은 규모가 협소하고 확장할 여지가.. 2020. 7. 2. Ten story Pagoda at Wongaksa Temple Site, Seoul 대원각사탑大圓覺寺塔 Wongaksa Temple whose precincts once housed this stone was established in 1465 at the current location of Tapgol Park in Downtown Seoul. The temple continued to thrive as a state institution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hich adopted Confucianism as its ideological foundation and suppressed Buddhism. It was in 1504 when Joseon was under the rule of Yeonsangun, .. 2020. 7. 1. 이전 1 ··· 242 243 244 245 246 247 248 ··· 35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