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Shinan Shipwreck 신안선 해저유물 新安船海底遺物 Shinan Shipwect Undersea Remains (Reproduction) It is a reproduction of a part of underwater relics discovered from the Shinan Shipwrect. Since the 3rd survey in 1977, the Shinan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Research Group had been continuing the excavation work by installing grids centered on the shipwreck for a systematic investigation. A grid, which is 6m x 4m in size, has 6 cells divided int.. 2020. 1. 7.
A Sunset 6 years ago 짜가 다보탑으로 해가 넘어간다. 짜가라서 더 아름다운 일몰이다. 사자 어깨죽지 너머로 통증이 왔다. 선도산 우로 해가 곤두박질한다. 6년전 어느날 해는 저리 졌는데 오늘도 저리 졌으리라. 2020. 1. 5.
사우나에서 괄약근까지, 가야토기의 세계 가야시대에는 오리도 사우나를 다녔다. 사우나에 갓 들어갔다 온 땀으로 범벅인 사람들은 거개 머리에 수선을 뒤집어 쓴 모습인데 그 모습을 가야 오리토기에서 관찰한다. 그런가 하면 사슴토기라 해서 근자 발표된 함안 말이산고분 출토 토기는 궁댕이가 무척이나 인상적이라 이 분 속이 안 좋으신 듯 꼬랑이 콱 내린 채 괄약근에 힘을 꽉 준 폼이다. 순록을 장식한 토기를 보면서 나는 가야문화가 아메리카 구대륙에서 유래했다는 신설을 제기했다! 2020. 1. 5.
베제클릭동굴 천불도 천불도千佛圖 Thousand Buddhas 투루판 베제클리크 석굴 제18굴 Bezeklik Cave 18, Turpan 6~7세기 6th-7th century 흙벽에 채색 Color on clay 본관4054 bon 4054 housed at National museum of korea 베제클리크 석굴사원 제18굴에서 가져온 천불도 일부다. 제18굴은 석굴 중앙에 큰 기둥을 배치한 중심 주굴主窟이며, 천불도는 석굴의 회랑을 장식했다. 천불도에 표현된 각 부처는 가는 흰색 선으로 구획된 사각형 안에 통견通肩 법의 法衣를 입고 선정인禪定印을 취한 모습으로 그렸다. 부처 눈은 비교적 크고 콧날이 뚜렷하다. 얼굴과 목, 손 윤곽선에 붉은색을 더해 음영을 주고, 배경에는 짙은 색을 칠했다. 음영의 표현, 어두운 .. 2020. 1. 4.
따개비 잡고 룰루랄라하는 중국 고양이 불쌍한 놈 고양이 체면 말이 아니다. 따개비 한 마리 잡곤 좋댄다. 멧돼지까진 바라지 않는다. 고양이라면 쥐 정돈 잡아얄 거 아닌가? 어디서 눈 먼 따개비 한 마리 얻어걸려서는 헤벨레헤벨레 한다. 방아깨비 잡은 고양이[猫捕螞蚱圖] Cat Catching Grasshopper 심전沈銓 (1682-1762년 이후) 1733년 축軸 구5695 2009년 구입 비단에 먹과 채색 絹本彩色 Ho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Shen Quan (1682-after 1702) Qing Dynasty 1733 Hanging scroll Ink and color on silk koo 5006 Purchased in 2000 심전은 저장성折江省 오흥吳興(지금의 호주湖州) 출신.. 2020. 1. 4.
경산 소월리유적 출토 신라 인면토기人面土器(동영상편) 5~6세기 신라시대 토기다. 세 면에다가 각기 다른 얼굴 표정을 표현했다. 일명 펭수토기다. 2020.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