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라 이야기397 연어 잡아먹고 탱자탱자하다 압사한 5만년전 늑대새끼 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송고시간2020-12-22 11:22 엄남석 기자 영구동토층서 "눈만 빼곤 100% 온전하게 발굴"…털 한올까지 생생 www.yna.co.kr/view/AKR20201222074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 연합뉴스생후 7주만에 죽은 5만년전 새끼 늑대 미라로 세상과 다시 만나, 엄남석기자, 사회뉴스 (송고시간 2020-12-22 11:22)www.yna.co.kr 이 늑대새끼가 발견된 경위라든가 그 의미는 앞대가리 첨부한 우리 공장 관련 기사를 참조하기로 하고, 저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못한 대목들을 집중 보강하기로 하거니와, 우선 가장 궁금한.. 2020. 12. 22. [신간소개] 시베리아 미라에 대한 종설 가장 최근에 출판된 저희 연구실 논문으로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미라에 대한 최초의 영어권 종설 논문일 것입니다. 지금까지 시베리아, 특히 북극지역에서 이루어진 각종 과학적 연구에 대해 종합하여 서술하였습니다. 해당 논문은 내년 초에 출간된 Springer 출판사 단행본: The Handbook of Mummy Studies: New Frontiers in Scientific and Cultural Perspectives에 수록되었습니다. 2020. 9. 7. 러시아 북극권 발굴: 세번째-귀환 러시아 북극권 발굴 세번째-. 발굴을 마치고 Salekhard시로 귀환하는 과정입니다. 2020. 9. 5. 2019년 러시아 북극권 발굴 동영상 (첫번째) 지난번에 사진클립으로 한번 올렸었는데 동영상클립을 찾아서 새로 편집하여 올립니다. 우리 연구실은 러시아 북극권 지역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를 러시아과학원 북극문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시행해오고 있습니다. 이 동영상 파일은 2019년 7월 시베리아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살레하르트시에서 배를 타고 발굴장까지 접근하는 과정을 담은 것입니다. 북극권 7월이라 밤 10시가 넘었습니다만 해가 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발굴장은 도착한 선착장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선착장 바로 옆에는 발굴단의 숙소 캠프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열정으로 버티고 있는 러시아 고고학자들의 모습을 잘 볼 수 있습니다. 원래는 올해 (2020년) 발굴에 참가했어야 했는데 코로나바이러스 방역관계로 뜻을 이루지 못.. 2020. 8. 29. 잉카의 미라들 (1) 매듭 문자를 쓴 제국 신동훈 (서울의대 생물인류학 및 고병리학 연구실) 앞서 우리는 구대륙의 미라와 이들이 살던 사회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사실 "미라의 발견"이라는 현상은 전 세계적인 것이므로 신대륙에도 꽤 많은 숫자의 미라가 확인되고 연구되었다. 신대륙에 존재하는 문명은 유명한 것이 아즈텍, 마야, 그리고 잉카 문명이 있지만 이 중에서도 미라와 더 많은 연관이 있는 것은 중미에서 번성했던 아즈텍과 마야보다는 남미의 잉카 쪽이 되겠다. 신대륙의 고대문명. 중미 지역에 아즈텍, 올멕, 마야가 있고 남미지역에는 잉카가 있다. 오늘날 페루와 칠레 북부, 태평양 연안의 해안지대와 안데스 고산지대를 포함한 광대한 영역에는 잉카 문명이 있었는데 잉카 제국 자체는 역사학적으로 확인되는 내용만 본다면 1438년에 성립되어 피사로의 침.. 2020. 2. 2. [새연재] 잉카의 미라들 신대륙에도 미라는 있다-. 잉카 제국과 인신공희, 그리고 미라에 얽힌 이야기. 2월 2일 부터. 2020. 1. 27.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6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