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384

17-19세기의 역사를 바라보며 우리나라 조선 후기의 역사는, 17-18세기 근대화의 맹아, 화폐경제, 자본주의의 싹이 자라다가 19세기 들어 삼정문란 등으로 난맥상에 빠지고 구한말 제국주의의 침탈을 입어 자생적인 발전이 분해된 그런 과정이라기 보다, 18세기 후반부터 근대화의 여명이라 할 싹이 보이고19세기 들어 활발한 사회의 변화가 뒤따랐지만,주변국보다 너무 늦게 변화가 시작되었고, 이 변화를 능숙히 다룰 만한 역량이 당시 정부가 부족하여 불행히도 식민지에 빠져버린 사례가 될 것이라 본다. 17-18세기에 자본주의가 자라다 19세기에 정체, 혼란에 빠진 것이 아니고, 17-18세기에는 그런 것이 없다가 19세기부터 뭔가 변화가 시작된 참이었다는 말이다. 이런 변화를 추동한 것은 18세기 이후부터 자라 나온 소위 학계에서 "유학 모칭.. 2025. 9. 4.
조선후기: 어떻게 양반으로 위장하는가 족보는 호적과 상호보완성도 갖지만 어쩔수 없는 한계가 있다. 조상을 현창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니 후대의 위조와 추숭이 계속 위에 더해져원래보다 훨씬 대단한 사람으로 그려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족보만으로는 과거를 제대로 들여다 볼수 없으며 호적이 여기에 더해지면 비로소 당시의 정확한 실상을 보게 된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어떤 이는 호적 자료에 17세가 말~18세기 초반 직역이 업무나 업유로 기록되었다. 17세기에 직역이 업무라면 어쨌건 말단이라도 양반은 양반 혹은 상급의 중인 직역으로비록 군역은 면제받지만 이 자체는 완전한 양반이라고는 할 수 없어 주로 하급 양반들, 특히 서자들 자손에게 많이 부여되었다. 조선 후기 정부에서 "양반을 모칭하며 놀고 먹는자들"이라고 하면백프로 이 계층을 말한다. 이 사람.. 2025. 9. 4.
일본을 사랑했다는 한국 연구자라는 말은 없다 일본인들 논문에일본을 사랑했다는 한국연구자라는 말과 함께 소개되는 것 봤는가. 왜 없을까. 이런 말을 하는 쪽이 약자라서 그렇다. 이런 이야기는 이제 더 이상구질구질하게 하지 말고 오직 팩트만 보자. 아닌 것 우길 필요도 없고, 또 맞는 것을 내줄 필요도 없고, 오직 팩트로 싸울 것은 싸우고인정할 것은 인정하면 되는 그런 시대가 왔다고 본다. 조선을 사랑했다는 일본 연구자 조선을 사랑했다는 일본 연구자일제시대 조선사를 연구한 연구자들에 대한 설명에서 이 사람은 실제로 조선을 사랑했다던가 이런 글을 본다. 이런 이야기는 사석에서 술을 먹으며 할 수 있을지는 모르곘는데그 사람이 조선을historylibrary.net 2025. 9. 4.
조선을 사랑했다는 일본 연구자 일제시대 조선사를 연구한 연구자들에 대한 설명에서 이 사람은 실제로 조선을 사랑했다던가 이런 글을 본다. 이런 이야기는 사석에서 술을 먹으며 할 수 있을지는 모르곘는데그 사람이 조선을 사랑했건 아니건 그건 필자 입장에서는 치지도외다. 중요한건 팩트가 아니겠는가. 조선을 우습게 봤건 사랑했건 미워했건 존중했건 간에 팩트를 응시하고 이야기 해야지조선을 사랑했는데 그래서 어쩌라는건가. 논문에는 그런 잡소리는 적으면 안 된다. *** [편집자주] *** 뭐 하도 사랑받고 싶어 그러는 게 아니겠는가?사랑받고 싶으니, 사랑해주는 이 없으니 굄을 받고 싶어 사랑 타령 아니겠는가?조선을 사랑하면 조선을 더 잘 안다는 착각이 있지 않겠는가?글쎄 그럴까? 나는 조선을 악랄히 미워한 사람일수록 더 조선을 폐부를 자刺하는 .. 2025. 9. 3.
70년째 극복하자는 연구들 일제시대 연구들, 물론 그 중에는 일본인 뿐 아니라 우리 한국인의 논문도 포함되어 있지만, 해방 이후 우리 학자들에 의해 비판 혹은 찬상 받으며 70년째 버티고 있는 논문과 연구 작업들이 각 분야에 있다. 필자가 알기로 정통 사학계 외에도 경제사에도 그런 양반의 작업이 있고, 의학 및 질병사에도 그런 일본 학자의 연구가 남아 있는데 이 사람들 작업은 지금 70년째 붙잡고들 있지만 여전히 "극복"이 제대로 된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리송하다. 이들 연구에 대해서는 물론 우리의 입장에서 보자면제 3자가 들어와서 남의 역사를 맘대로 재단했다는 사실, 그리고 썩 맘에 안드는 결론을 내리고 가버렸다는 점에서 불쾌한 점을 제외하고 나면학문적 방법론이나 엄밀성, 그 주제의 포괄성, 그리고 무엇보다 그 연구자가 한평생을 .. 2025. 9. 3.
홍길동은 왜 항복하지 않는가 흔히 대동보를 통해 자기 문중을 보는 근대적 시각 때문에 문중의 구성원은 모두 평등하며 한 조상의 자손이라는 생각을 요즘은 누구나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그렇지 않았다.같은 문중 안에도 많은 다른 경제적 사회적 상황이 형성되며이에 따라 후손들 사이에 서로간에 층서를 형성하게 된다. 위로는 문중의 장손으로 사마시 대과 급제자를 대대로 낳는 집안이 있는가 하면서자도 아니고 얼자라 아예 자손 취급도 못받고 호적에 노비로 숨겨져 있는 자손도 나오게 된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같은 집안이라 해도 위로는 명문 벌열부터 아래로는 노비까지 층서를 형성하며굳이 노비가 아니라 해도 적자와 서자, 장손과 지손간에 구별이 생겨 꼭대기에서 아래까지 층층으로 배열된 집단이 형성되니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 후기.. 2025.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