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136 늘그막에 사람을 위험에 빠뜨리는 글귀들 "A ship in harbor is safe, but that is not what ships are built for." John A. Shedd “The biggest risk a person can take is to do nothing” Robert Kiyosaki 젊었을 때는 이런 글귀에 따라도 문제가 없다. 체력이 있고 실패가 용서받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생이 수확기로 들어가면서부터다. 위험을 무릅쓰라는 소리는 젊은 시절처럼 들리지 않는다. 배는 항구에 있으면 안전하지만 그래서야 배라고 부를 수도 없다는 글귀. 당연한 소리이고 또 그만큼 유혹도 강하지만 바로 그런 소리에 끌려 태풍이 불어오는데도 몰고 나간 얼마나 많은 배가 침몰했을까. 히틀러를 꼬셔서 파탄으로 이끈 프리드리히 니체는 우리에게.. 2023. 7. 13. 달라지는 시대 달라지는 노년 나이든 세대가 착각하는 것의 하나는, 앞으로 노동력이 부족하니 정년연장이 될 것이다 그러면 더 일할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낙천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물론 노년에도 일하는 상황이야 앞으로 오겠지만, 그 모습은 지금 50-60대가 그리는 모습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1. 연금의 지급연령 조정 ; 연금지급액수의 조정 : 당연한 이야기지만 정년이 늦어진다는 것은 연금지급연령이 뒤로 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금지급액수도 무슨 명분을 붙여서든간에 줄일 것이다. 노년층이 반대하더라도 이것은 젊은 층 때문에 결국 이렇게 갈 것이다. 2. 정년연장이 지금 하고 똑같이 몇년 더 일하라고 놔두는 것이다? : 흔히 착각하는 것의 하나가 지금 일하는 그대로 몇년을 더 일하게 놔둘 거라는.. 2023. 7. 11. 연구실 새 논문: First archaeoparasitological data on the Russian rural population https://www.jstage.jst.go.jp/article/ase/advpub/0/advpub_230314/_article/-char/en The first archaeoparasitological data on the Russian rural population in Western Siberia in the 18th–19th centuries Abstract The life of the long-established Russian inhabitants of Western Siberia has been well described. In fact, archaeological, ethnographic, and other information on its various aspects is abundan.. 2023. 7. 7. 연구실신간: 무원록無寃錄 시장屍帳의 용어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 최근 홍성욱, 홍승직, 이숭덕, 기호철, 김창영 제 선생님들과 무원록 시장屍帳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바, 시장에 나와 있는 용어에 대한 해부학적 분석 결과가 이 논문의 내용이다. 국문논문이며, 아래에서 볼 수 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69487 조선 후기 증수무원록언해 시장기록에 기술된 해부학용어의 검토검험 (檢驗)이라고 불리는 변사자 조사작업 기법은 중국 송대 (宋代)가 되면 크게 발전하였는데 우리나라도 여말선초 (麗末鮮初)에 도입된 무원록 (無寃錄)이 전통 법의학적 검시 기법의 확립에 www.kci.go.kr 서지사항은 .. 2023. 7. 4. [연구실 새논문] 중국 화북지역 사육 소의 역사적 확산 과정 연구실 새 논문을 하나 소개합니다. 근간 인문학연구에 실린 것으로 최근 중국 황하유역 소에 대한 고고학 및 유전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소의 확산과정에 대해 쓴 논문입니다. 경희대 홍종하 교수가 제 1 저자입니다. 홍종하, 이양수, 고아라 and 신동훈. (2023). 고고학 및 유전학적 연구성과로 본 화북지역 사육 소의 역사적 확산과정. 인문학연구, 55, 83-122. 이 논문은 몇년째 계속하는 동아시아 소의 기원과 한국소의 전개에 대한 연구의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전에 발표한 논문보다 중국 고고학, 유전학적 보고에 대해 훨씬 깊게 들어가 있는 것이 이번 논문의 특징입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 2023. 6. 8. 연구실 소식 인도와 우리의 공동연구 과정을 담은 글이 인도현지 출판 단행본에 실렸습니다. 우리로 치면 정년 기념 논총입니다. 다음은 예전 러시아와 공동작업으로 얻은 결과를 출판한 것입니다. 시베리아 미라 관련의 두번째 논문입니다. 다음은 서울시내에서 조사된 일제시대 화장실 유구의 기생충검사 결과를 출판한 논문입니다. 일제시대 화장실 유구조사로는 첫번째 고고기생충 논문입니다. 다음은 현재 홍승직 교수님 등과 공동작업 중인 조선시대 무원록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영어 논문입니다. 2023. 6. 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