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333 [연구소식] 두 편 논문 출판 예정 두 편 논문이 조만간 출판 예정이다. 『東海道中膝栗毛』と『赴北日記』における街道と伝染病拡散の一考察: 한국과 일본의 전염병과 여행, 그리고 유흥업에 대한 이야기이다. 양국 소설과 일기에 비친 정경을 비교하였다. 일본학술지에 일본어로 논문이 작성되었다. 아무도 보지 못한 치사 사건의 조사 - 대한제국 광주부 정구갑 치사사건의 검시기록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검토: 조선시대 검시 자료에 대한 법의인류학적 연구, 그 여덟 번째 논문이다. 한국학술지에 국문으로 출판될 예정이다. 9월 말까지는 두 편 모두 출판될 것으로 본다. 추후 진행 상황을 전달해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 2025. 7. 31. 한국이 갈 길을 묻거든 유럽고고학회를 보라 https://www.e-a-a.org/ EAA HomePublications EAA publications include a journal, two monograph series, and an e-newsletter. Read morewww.e-a-a.org 유럽 고고학계도 당연한 이야기지만나라마다 고고학회가 따로 있었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전 유럽이 하나의 고고학회를 공유한다. 유럽고고학회다. 이 고고학회에서는 기관지 European Jouranl of Archaeology를 낸다. 회원수는 15,000명이다. 유럽 학회들이 하나로 모인 것은 이 고고학회만 그런 것이 아니고, 분과별로 많은 학회가 이런 식으로 만들어졌다. EU라는 것이 정말 하나의 나라를 지향한다는 것은이런 유럽 전체를 베이스로 한.. 2025. 7. 30. 반감기가 긴 역사 논문 vs. 휘발성 강한 과학 논문 필자는 고고과학 관련 일을 하기 전에는 다른 연구자들처럼 의학 관련 연구를 하고 논문을 썼는데지금까지도 그 논문 중에 계속 읽힐 만한 것은 한 편도 없다. 그 당시에는 그래도 읽을 만하니 소위 말하는 SCI 학술지에 실렸을 텐데이미 20년 훨씬 넘게 세월이 흘러버리니의학논문이란 것은 그 세월을 버텨 약발을 유지할 만한 논문이라는 것이 별로 없다. 이건 필자만 그런 것이 아니고 다른 자연과학자, 의학자들도 거의 비슷하다. 자연과학과 의학 연구자들 중에 평생 연구로 정년 때쯤 연구서 한 편 내기가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이미 정년 때 쯤되면 한참 활동할 무렵 논문들이 모두 약빨이 다해서 책으로 써 봐야 전부 옛날 이야기에 굳이 책으로 쓰기도 민망해 지는 까닭이다. 의학자나 자연과학자들 사이에는 인문학.. 2025. 7. 28. [고고학 국제저널] Antiquity 계속 학술지 소개를 이어간다. 이 학술지는 계량화한 학술지 지표인 impact factor에서 드러나는 것보다는연구자들 사이에 꽤 유명한 잡지다. https://antiquity.ac.uk/ Welcome | Antiquity JournalRadiocarbon fating of ritual structures across East Polynesia indicates distant Rapa Nui was the source of many several new ideas that spread from east to west, questioning the narrative that, following its initial colonisation from the west, Rapa Nui remaantiqui.. 2025. 7. 28. [고고학 국제저널]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국제 학술지를 하나씩 소개할까 한다. 물론 필자가 출판한 적도 없는 학술지를 아는 척 소개할 생각은 없고 그래도 한 번은 출판해 본 곳 위주로 소개할까 한다. 국내 연구자들의 해외 출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약칭으로 JAS: Reports라고 부르는 이 잡지는원래 앞에서 소개한 JAS에 포함되어 있는 짧은 발굴보고 위주의 연구를 별도 학술지로 독립시키면서 나온 잡지다. 따라서 출판되는 논문들이 대개 단편이며 한두 케이스 위주의 발굴보고가 중심으로 되어 있다. JAS라는 잡지가 고고학계에서 힘 좀 쓰는 잡지라출판이 그렇게 만만하지는 않다. 이름부터가 jouranl of Archaeological Science 아닌가? 거기다 출판사가 Elsevier라 출판이 만만치는 않다. 하지만 자신의 연.. 2025. 7. 27. [고고학 국제저널]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과 그 인연 앞서 이원준 박사와 함께 나간 논문을 서칭한다고 하다가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실린 필자 연구실 논문을 확인해 본 바, 그간 총 6편이 나간 사실을 새삼 확인했다. 2009년에 최초의 논문이 나갔고, 마지막 논문이 2014년이다. 내가 이 잡지에 이렇게 많이 냈나 싶다.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는 고고과학계에서는 그래도 flagship journal이라 할 수 있다. Science Nature 같은 명성의 잡지는 아니라 해도 각 분야에서 기본적으로 먹고 들어가는 학술지들이 있는데JAS가 바로 그런 잡지다. 필자가 한참 투고하던 당시만 해도 JAS 하나만 있었는데 그 중 짧은 케이스 보고는 학술지가 독립하여 Journal of Ar.. 2025. 7. 2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5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