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67

모내기 없는 논은 무슨 장점이 있는가 우리가 아는 논은 모내기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이앙과 논은 일체라는 말이다. 적어도 지금은 그렇다. 그런데 논은 이앙과 함께 생긴 것이 아니다. 이앙이 있기 전부터 논은 있었다. 그러면 여기서 간단한 의문이 나온다. 논은 왜 필요했을까? 왜 밭농사하던 동네에 논이 생겨났겠는가 말이다. 쌀을 키우려고? 쌀은 논에서만 자라는 게 아니다. 논은 이앙이 보편화하기 훨씬 전부터 이미 한국땅에 있었다. 논은 왜 출현한것일까? 잡초 때문에? 원래 벼는 수생식물이라서? 그게 아니다.   논은 언젠가도 여기 썼지만, 화전으로 돌아다니며 간신히 농사 짓던 신석기시대 농사가 논이 도입되면서 매년 연작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대대적으로 도입된 것이다. 쉽게 말해서 매년 연작이 불가능할 정도로 척박하던 한반도 땅에 비로소 몇.. 2024. 10. 5.
농촌의 진화, 그것을 팽개친 역사가 무슨 역사리오? 우리가 알고 있는 농촌은 요즘 젊은 세대라면 경지정리 딱딱된 시골만 알 테고 필자 세대만 되도 그 이전의 농촌, 소위 "근대화" 이전 농촌을 아주 어린시절기억으로 경험한 바 있는 그 정도일 것이다. 그런데 70년대 이전 농촌만 해도 이미 20세기를 거치며 상당히 진화한 형태의 농촌이었고, 20세기 이전 농촌은 그와는 또 달라서 강아지 만한 돼지, 알을 간신히 낳는 닭, 도무지 귀염성이라고는 없는 개, 조랑말 만한 말 등이 홍수만 오면 무너지는 보로 논에 물 대가며 봄만 되면 모내기가 안 돼 농사망친다고 농민들이 울부짖는 그런 농촌이었다는 뜻이다.   그런데 그것이 끝이 아니다. 모내기 이전 농촌은 이와는 또 달랐고, 휴경이 극복되기 이전 농촌은 이와는 또 달랐으며, 도작이 시작되기 전 화전을 방불한 돌려.. 2024. 10. 5.
역사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욕망 우리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소리가 하도 많이 들려서역사를 대단히 많이 알고 있는 나라라고들 생각하지만 사실 한국처럼 역사의 기본 팩트도 제대로 조사 안 된 상태에서 자신의 욕망을 역사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내 놓는 나라도 없다. 당장 20세기 이전에 소, 돼지, 말, 개, 닭이 어떤 품종이 길러지고 있었는지, 쌀, 기장, 조, 수수 콩, 보리는 도대체 어떻게 재배되고 있었는지 하나도 제대로 모르는데 이것과는 별개로 역사를 잊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단다. 소, 돼지, 말, 개, 닭, 쌀, 기장, 조, 수수, 콩, 보리는 모르는데 다른 역사는 제대로 알까. 필자가 보기엔 우리모두가 입에 달고 사는 역사를 잊는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고 할 때그 역사는 욕망의 다른 말이다. 팩트가 아니라. 그 잊.. 2024. 10. 5.
어떤 박물관 도서실에 대한 생각 필자가 다닌 대학은 80년대에 이미 커리큘럼이 빡빡해서 도대체 휴강도 공강도 없고 시간표가 기계처럼 물려 여름방학 한달 겨울방학 두달을 빼고는 일년 내내 아침부터 저녁까지 빈 시간 없이 돌아갔다. 아무리 빡빡한 스케줄이라도 사람은 살아야겠는지라 필자도 틈틈이 강의 땡땡이를 쳤는데 그때 주로 도망가 한숨 돌린 곳이 지금도 대학로에 있는 학림이라는 카페, 그리고 또 하나는 의대 도서관이었다. 2층에 올라가면 그때까지만 해도 전자도서관이란 게 없던 시대인지라 도서관 장서가 전 건물을 가득 채우고 있었는데 정말 여기 가면 별의별 책들이 다 있었다. 필자의 기억으로 대한제국시대까지 올라가는 의대 학술저널이 있는가 하면 의학사와 인문학 관련 책까지 있어 장서실에 들어가면 정말 압도당하는 기분이었다. 학술지도 해방 .. 2024. 10. 4.
학술논문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글쓰기 1996년 경 필자의 첫 번째 학술논문이 출판된 이래, 지금까지 320편 정도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펴냈는데 필자가 마음속에 담아둔 생각을 뜻대로 다 펴내서 쓴 논문은 단 한 편도 없었던 것 같다. 항상 심사를 거쳐 출판하다 보니 자기 검열 기제가 작동하기 마련으로, 심사에서 지적될 만한 근거가 완벽하지 않은 논리는 알아서 쓰지 않고, 그 와중에서도 조금 무리해서 글로 나간 것들은 예외없이 심사과정에서 삭제를 권유받아 출판을 하고 나면 논리적으로야 더 탄탄할지 모르겠지만 논문이 뼈다귀만 남고 살점은 다 뜯긴 기분이라고 해야 할까. 그러다 보니 논문이 수백 편이라고 한들 내놓을 수 없는 스토리 하나 변변히 짜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 항상 아쉬웠다고 하겠다. 이제 60을 넘어서며 이 블로그에 선언하였듯이 학.. 2024. 10. 3.
전공도 아닌 동식물을 열심히 파는 이유 필자가 요즘 전공도 아닌 동식물을 열심히 파는 이유는 시간이 남아서가 아니다. 그리고 동물고고학, 식물고고학. 필자는 이런 데는 관심이 없다. 이 분야는 하는 분들이 따로 계실 것이고, 필자가 추구하는 방향도 이런 쪽과는 다르다. 필자가 동식물을 파는 이유는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상태를 규명하는데 먹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전통시대에 현대의학의 발전이 없는 상태에서 결국 사람들의 건강과 죽음을 결정짓는 것은두 가지- 얼마나 잘먹고 사느냐와 주기적으로 창궐하여 사람들을 죽음에 몰아 넣은 전염병. 이 두 가지다. 이 두가 지를 규명하다 보니 팔자에도 없는 동식물을 파고 있는데, 유심히 필자의 글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필자의 글이 단순히 동식물 자체의 규명보다 사람들이 어떻게 이를 이용했는가 쪽에.. 2024.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