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49

하기萩市 (2): 덴노에 대한 일편단심 야마구치 현과 이곳에 있었던 죠슈번은 야요이시대 초창기에 한반도로부터 건너온 사람들이 처음으로 정착한 곳이다. 대륙에서 건너온 사람들은 큐슈 전체에 퍼져 나가 산 것이 아니라 큐슈 북부 지역 일부와 야마구치 현 일대에 먼저 나누어 살며 도작촌을 건설하였고, 그 이후에 세토내해를 따라 동진하며 서일본 일대에 야요이문화를 퍼뜨려 나갔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야마구치현 일대에는 한국인과 비스무리 하게 생긴 사람이 많다. 대개 대륙계 야요이인이라고 하면 바로 이들 야마구치 현 일대의 사람들의 얼굴형을 가리킨다. 그렇다고 해서 이 지역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특별히 더 우호적일 이유는 없다. 오히려 이 지역은 막말 시기 막부에 맞서 덴노를 옹립하여 메이지정부를 수립하는 데 가장 격렬한 지지를 보인 번으로 .. 2024. 5. 25.
조슈번長州藩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막말-메이지 시기에 조슈번長州藩은 일본사에서 본다면 유명인이라 할 만한 이들을 수두룩하게 낳았는데 무엇보다 조슈번이 메이지유신 1등공신으로 사쓰마번薩摩藩과 함께 사실상 유신 이후의 일본사를 좌지우지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인물은 우리 한국인들은 당연히 모르고 조슈번 인물 중 가장 우리에게 알려진 사람은 바로 이토 히로부미다.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에서 출판된 책을 보면 그 얼굴이 "처음 보는 사람들이 조선인인 줄 아는 사람이 많았다"라는 기술이 나온다. 우리가 보기엔 일본인 얼굴인데, 일본인들이 보기엔 이토 얼굴은 조선인처럼 보였는지, 그를 처음 본사람들은 "조선인이 아닌가?"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꽤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조선인 얼굴을 가진 이는 사실 이토 히로부미만이 아니고, 조슈번 .. 2024. 5. 25.
하기萩市: 메이지유신의 배태지 (1) 에도막부를 사실상 결정한 세키가하라 싸움関ヶ原の戦에서 완전 몰락하지 않고 서쪽 구석에 쳐박아버린 도자마 영주 外様大名 중 유명한 이들이 바로 지금의 야마구치현山口縣의 조슈번長州藩, 가고시마현鹿児島県의 사쓰마번薩摩藩인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에도막부를 쓰러뜨린다면 틀림없이 이 두 번 중의 하나가 될 거라고 예측한 바 있다고 한다. 실제로 메이지 유신은 이 두 번의 봉기에 의해 이루어졌고, 일본에서 삿조薩長 라고 하면 사쓰마-죠슈.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 정관군계를 석권한 벌열을 의미한다. 이 중 조슈번은 한반도 바로 대안에 존재하는 번인데, 일본인이 두 가지 유형, 곧, 조몽계 야요이인과 대륙계 야요이인둘이 있다고 할 때 한반도에서 들어간 대륙계 야요이인의 대표적인 예로 바로 이 조슈번의 사람들을 드는 경우가.. 2024. 5. 25.
동계 평균 기온 0도와 난대림 지역 한반도 남해안 일대에는 겨울철 평균기온 0도, 그리고 난대림이 존재하는 지역이 있다. 전라도와 경상도 남해안 지역을 따라 존재하는 좁은 벨트인데 이곳 기온과 식생은 중국의 진령 회하선 이남과 거의 방불하다. 필자는 바로 이 지역이라고 본다. 북방에서 남하한 혼합농경에서 도작 비율이 비약적으로 올라가 논의 밀도가 북방과는 비교가 안 되게 높아 진 곳이. 바로 이곳에서 만들어진 고도화한 도작농경이 현해탄 건너편 북큐슈 일대로 이식되어 들어간 것이 바로 야요이 초기 정착촌이 된다고 본다. 일본 야요이 초기 정착촌이 보여주는 고도의 도작 밀도는 그 원형이 아마도 한반도 남해안 일대에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흔히 소위 말하는 삼한 지역은 벼농사 관련하여 서로간에 별 차이 없었을 것이라 보는 것 같은데, 필자가 보기.. 2024. 5. 24.
학제간 통섭의 어려움 필자의 연구편력 후반기는 학제간 통섭, 혹은 학제간 연구를 해야 되는 것 같은 사회 분위기 아래에서 살았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많은 정부지원 연구비들이 학제간 연구를 지원했으며 실제로 그런 흐름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학제간 통섭은 그런데-. 생각만큼 쉽지 않다. 각 분야 연구자들을 모아 놓는다고 학제간 통섭이 되는 것이 아니다. 1+1=3이 되어야 비로소 학제간 통섭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실제로는 1+1=1.5가 되는 경우도 다반사이며, 각자 자기 이야기만 하다가 끝나는 경우도 많다. 학제간 통섭은 다른 연구분야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연구를 재해석 하는 움직임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 반대로 내 연구의 기조를 가지고 상대편의 연구를 재해석할 수도 있다. 어느 쪽.. 2024. 5. 24.
다른 생산방식은 다른 정치체를 낳는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을 보면, 왜에 대한 기술에서 눈에 띄는 것이 이것을 정치적 성장이라고 보아도 되겠고,뭐라고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본열도에서 보이는 상당한 수준의 정치적 통일이다. 필자가 보기엔 이는 야요이시대 이래 일본열도가 공유한 집적화한 도작 농경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한반도의 경우 물론 상당한 정치적 통합과 성장을 이루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와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눈에 들어온다. 필자가 보기엔 이렇게 보이는 것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은 한국사의 배경이 되는 지역에서 보이는 각 지역별 농업생산의 차이에서 기인한 바도 있다고 생각한다. 한반도 북부에서 성립한 위만조선과 한 군현은 그 지역 농업생산 방식에 비슷.. 2024.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