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54 일본인의 아호 에도 막부 이전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아호가 거의 없다. 어렸을 때의 아명, 성인식 이후의 이름, 그리고 은거하거나 불문에 귀의했을 때 법명이 있겠고, 또 별명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다케다 신겐을 보면, 武田 信玄(たけだ しんげん) / 武田 晴信(たけだ はるのぶ)は、戦国時代の武将、甲斐の守護大名・戦国大名。甲斐源氏第19代当主。武田氏の第16代当主。諱は晴信、通称は太郎(たろう)。正式な姓名は、源 晴信(みなもと の はるのぶ)。表記は、「源朝臣武田信濃守太郎晴信」。「信玄」とは(出家後の)法名で、正式には徳栄軒信玄。 이렇게 되어 있다. 이름이 많지만, 초명과 관례 이후의 이름, 그리고 법명이다. 이름을 수시로 바꾸기도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작은 성의 영주로 태어나 쇼군이 될 때까지 이름을 바꿔 치웠는데, 幼名は竹.. 2024. 4. 10. 범중엄이 숨쉬는 일본 토쿄 고라쿠엔 일본에서 고라쿠엔은 한국에도 잘 알려져 있다. 일본 야구의 메카. 그리고 필자가 어렸을 때 프로복싱 한일전은 항상 "고라쿠엔 경기장..."에서 이루어졌다. 고라쿠엔은 일본에 여러 곳에 있기 때문에 정확한 명칭은 小石川後楽園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며, 에도 막부시대 소위 말하는 도쿠가와 고산케의 하나인 미토번의 번저 후원이 바로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다. 메이지 유신 이후 동경에 있는 미토번 번저는 모두 몰수되어 군사시설로 전용되었다. 지금은 프로야구 도쿄돔 바로 옆에 공원으로 남아 있는 것이 바로 코이시카와 고라쿠엔이다. 고라쿠엔은 한자로는 後楽園으로 쓴다. 무슨 뜻일까? 그렇다. 바로 범중엄의 "악양루기"에서 왔다. 嗟夫!予嘗求古仁人之心,或異二者之為,何哉?不以物喜,不以己悲。居廟堂之高,則憂其民;處江湖之遠,則.. 2024. 4. 8. 논문과 배짱 공부를 해서 먹고 살면서 가장 대하기 어려운 경우는, 우리 논문 까이꺼 안 쓰고 안봐도 그만이라는 배짱을 가진 사람들과 학술지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학술지 논문 한 번 사람들이 더 읽고 인용하게 할까를 밤낮으로 고민하는 이 시대에 출판한 논문 인용에 관심이 없어 무려 구글로 검색해도 해당 논문이 안 뜨는 경우도 있다. 뭐 이런 거야 개인의 판단, 그 학술지의 선택이니 필자가 간섭할 바는 아니긴 한데-. 최소한 대학과 학계에서 이런 경우를 좀 보지 않았으면 한다. 대학이라는 게 어차피 논문 쓰라고 있는 것이고 학술지라는 게 그렇게 쓴 논문 남들에게 보여주게 만들려고 있는 것이니 만큼 이런 관행이 당연하게 되면 그 자체 국가의 경쟁력을 깎는다. 게으른 천재는 쓸 데가 없는 곳이 대학이다. 반면에 부지런한 .. 2024. 4. 8. 교수가 하는 정치 뭐 교수가 정치하는 건 그러려니 할 수 있겠다. 그럴 리는 없지만 열심히 연구하다 보니 알고 있는 것을 사회에 한 번 펼쳐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이거다. 대학에 있다가 정치판에 뛰어드는 자들 열에 아홉은 들먹이는 상투적인 변명이지만 이건 뭐 그렇다고 치고, 한 번 정치판 들어갔으면 제발 학자 흉내 좀 그만 내기를. 정치판에 들어갔으면 정치가인 거지 정치하고 교수 두 가지를 다 할 정도로 양쪽 다 만만할 리가 없다. 그 두 가지가 다 된다면 양쪽 다 제대로 일을 한 것일 리도 없고. 그러니 교수를 하다가 정치판에 들어갔다면 학교는 이제 잊어라. 조선시대 송시열을 봐라. 평생을 정치판에서 뒹굴다가 막판에 후진들이 송자대전을 목판 인쇄까지 해 줬는데 그 분량이 얼마인지 아는가? 목판이 무려 10000장이 남는다.. 2024. 4. 7. 통일 논리로서의 내수시장 1억, 그 허구성에 대하여 언젠가부터인지 한국이 통일되면 내수시장 1억에 근접한 시장이 만들어지며 이 1억 시장이면 완결된 내수시장으로 뭘 좀 해 볼 만한 크기의 시장이라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흘러 나온다. 정말 그런가? 예를 하나 들어보자. https://www.noxinfluencer.com/youtube-channel-rank/top-100-all-all-youtuber-sorted-by-subs-weekly Top 100 Most Subscribed Youtubers - NoxInfluencer Who are the Top 100 YouTube Channels? Check the Top 100 YouTubers list via noxinfluencer.com. This page is updated every day. www... 2024. 4. 7. 메소포타미아를 그리워 하는 한우 한우에 사람들은 한국인의 감정을 곧잘 투영한다. 그래서 한우는 한국인의 얼굴을 가졌다고 이야기 하거나, 한국의 자연을 닮았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한국의 소는 사실 생각만큼 오래된 가축이 아니다. 어마어마한 세월을 한국인과 같이 살았을 것 같지만 청동기시대에 사육소가 한반도에 있었을지 없었을지도 모른다는 게 정확한 팩트다. 확실한 것은 대략 2000년 전 경에는 아마 들어와 있었겠지만, 그 이전으로는 많이 소급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놀랍게도 서기 5세기 이전에는 소나 말이 없었다. 한반도는 이보다는 빨랐겠지만 남부지역의 소 사육은 생각보다 그렇게 오랜 옛날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정확하게는 초기철기시대에도 한반도 남부지역에 소가 사육되고 있었는지 없었는지.. 2024. 4. 6. 이전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37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