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45 동물고고학 논문 신간 우리 연구실 새 논문이 나와 소개한다. 일본동물고고학회 기관지 "동물고고학"에 게재된 논문으로 조선시대 일기에 보이는 우리나라 닭 소비 양상에 대한 글이다. http://www.zooarch.net/saishinno_zasshi.html 일본의 경우에는 에도시대말까지도 꿩이 닭보다 훨씬 많이 소비되었다는 논문이 이미 보고되어 있다. 조선시대도 이와 비슷한 상황이라 일본 학자들에게 양국 닭과 꿩 소비 양상의 유사성을 알리는 의미에서 집필 투고하였다. 우리 연구실은 그간 논문을 대부분 영자지나 국문 학술지에 투고했지만, 앞으로는 일본, 중국의 학술지에도 많이 투고할 생각이다. 논문에 실린 내용을 학자들끼리 공유하고 토론의 매개로 삼기 위해서라면, 어느 나라 말로 출판하는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2022. 6. 1. 제6차 국제 고대 조직학 심포지움 고대조직학 (Paleohistology)라는 분야가 있다. 고고학 시료의 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는 분야이다. 시료 대상은 무궁무진하다. 공룡화석에서부터 최근 발굴에서 얻은 동식물 시료까지 걸쳐 있다. 이런 시료를 현미경 관찰헤 여러가지 과학적 정보를 얻는데, 현미경은 광학현미경뿐 아니라 전자현미경까지 포함되어 있다. 제6차 대회를 인도 Pune에서 개최하려 했지만 잘 안 되어 100퍼센트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위에 그 초록을 첨부하였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초록을 다운로드 받아 보시기 바란다. 필자는 이 학회 Scientific Committee 멤버로 위촉되었는데, 듣기로는 다음 대회는 내년 (2023)에 호주에서 열리게 되었다고 한다. 관심 있는 분들이 많이 참가하셨으면 좋겠다. 2022. 5. 25. 아시아태평양고병리포럼: 공개시민강좌 일본의 학회에서 우리와 다른 점 중 하나는 시민강좌가 대개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전통은 사실 일본에서 온 것이라 하기는 어렵고 미국 학회는 대개 학회 기간 중 일반 시민을 위한 강좌를 두는 경우가 많다. 아마 일본의 이 전통도 미국 등 서구권에서 들어왔을 것이다. 국가의 연구비에 의해 학회가 돌아가는 것이니 만큼 세금을 납부한 시민에게 연구의 성과를 돌린다는 의미도 있겠다. 이번에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고병리 포럼에서도 시민강좌를 마련한 모양인데, 내가 연자로 참여하게되었다. 상대가 일반 대중이라 영어로 강의할수 없어 못하는 일본어라도 미리 준비해서 일본어로 강의하기로 하였다 (사실 주최측에서는 통역을 준비하겠다고 했는데 짧은 발표 시간에 통역까지 붙으면 전달할 정보의 양이 줄어들것 같아 정중히 거절했다).. 2022. 5. 24. National Geographic Explorer Spotlight: Asia 2022년 6월 6일부터 9일까지 제주 컨벤션 센터에서 NGS가 주최하는 Explorer Spotlight: Asia라는 컨퍼런스가 열린다. NGS에서 지원한 아시아 지역 연구자들이 한데 모여 발표하는 행사인데 필자도 2016년 인도하라파 문명 조사를 인연으로 지원받아 NGS Explorer로 참가하게 되었다. 아마 인터넷에도 녹화 동영상이 올라가지 않을까 싶기는 한데, 혹 당일 제주에 계신 분 있으시면 한번 들려보시는 것도 괜찮지 싶다. TED처럼 진행되는 것 같다. 2022. 5. 23. 중국 역사학-고고학관련 학술지 최근 중국의 역사-고고학 관련 학술지가 정비된것 같아 글을 남겨둔다. 우리에게 학진등재지가 있다면 중국에는 난징대에서 운영하는 CSSCI라는 것이 있는 모양인데 아마도 구미 계열의 SSCI (Social Science Citation Index)를 본딴것으로 보인다. https://lib.cpu.edu.cn/e0/d3/c9615a123091/page.htm 역사-고고학계열에서는 딱 40개를 등재 시켜놨는데 그 중 고고학계열은 7개이다. 아마 이 학술지들을 본격적으로 키울것으로 보이는데, 전부 중문이라 SSCI 등재가 목표는 아닌것 같고 CSSCI라는 중국등재시스템 자체를 키우려는게 목적이 아닌가 한다. 이 잡지들 대부분은 아직 SCOPUS도 등재가 안되어 있는데 SCOPUS는 자국어 저널도 많이 등재시키.. 2022. 5. 17. 문명에 들어오는 순간 야생에 남은 종족은 사라진다 야생동물이 가축화 하는 순간, 모든 경우에 그런것은 아니지만 흥미로운 현상이 하나 있다. 가축화한 동물이 번성하면 원래 야생종이 소멸하는것이다. 이때문에 현재 가축화하여 번성한 동물들 중에는 야생종이 소멸한 경우가 많다. 말과 소는 이미 야생종은 없다. 완전히 소멸했고 사육종 뿐이다. 북미대륙등에 남아 있는 mustang등 "야생말"은 야생말이 아니라 원래 사육되던 말이 야생으로 돌아간 것이다. 한때 야생말로 주목받던 프르제발스키 말 (P horse)도 지금은 원래 사육되었던 것이 다시 야생화 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는 회색늑대에서 왔다고 하지만, 정작 개의 직접 조상격이 되는 회색늑대무리는 이미 소멸하고 없다. 지금 남아 있는 회색늑대는 현존하는 개의 사촌뻘이 되는 회색늑대들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 2022. 5. 13. 이전 1 ··· 373 374 375 376 377 378 379 ··· 4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