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6 조선은 하나라더니 어느날 다른 나라라는 북한 필자 젊은 시절에 북한에서 노상 하는 소리가 조선은 하나다 라는 말이었다. 그래서 UN 동시가입도 영구분단 책동이고올림픽도 분단 영구화의 책동이라 반대하고 그 짓을 하다가 하다가 이제는 자기들이 도저히 감당이 안 될 정도로 남한이 발전하니원래 서로 다른 나라란다. 같은 민족이 아니라 국경을 접한 적대국이라네? 그런데-. 나도 북한하고 지금 당장 통일하는 건 싫다. 내 노후가 아깝다고. 미안하지만 나는 애국자가 아니어서 그런지내 노후를 불쌍한 북쪽 동포하고 나눌 만한 마음의 준비가 없다. 그런데 말이다. 통일을 하고 안하고는 니네가 결정하는 게 아냐. 대한민국이 결정하는 거지. 이쪽 사람들이 하겠다고 하면 하는 거고 아니면 아닌 거지미안하지만 니네는 결정권이 없다. 나라를 그 모양을 만들어 놨으면 미안해서.. 2024. 9. 19. 일 시키고 보수를 줘서 신기했던 청계천 준천 영조가 말년에 당신이 했던 일중에 가장 잘 한 일이라 자평했다는 청계천 준천. 이 사업은 신기하게도 사역한 사람들에게 보수를 줬다. 필자가 알기론 이것도 국고에서 나온 게 아니라 내탕금에서 지급된 것으로 아는데, 아무튼 어쨌건 준천 한 사람들에게 보수를 줬다. 보수를 안주고 일을 시키면 어떻게 될까? 가끔 그런 생각 한 적이 없는가? 조선시대에 만들어 놓은 성벽저걸 성벽이라고 쌓았나 싶은 그런 성벽들 말이다. 죄다 공짜로 부려 먹고 시키려다 보니 만들어진 성벽이 그 모양이다. 얼마전 본 유튜브에서 북한에서 나무 심기 할 때 나무를 어떻게 심는가 설명하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탈북민 이야기로는 빨리 갈 생각에 뿌리를 다 쳐내고 꽂아 놓고 집에 간다는 것이다.당연히 그 나무는 다음 번에 오면 말라죽고 없다. 요.. 2024. 9. 19. 선의는 디테일에서 열매를 맺는다 누군가 악마는 디테일에서 있다고 했던가 같은 이야기를 뒤집으면 선의는 디테일에서 열매를 본다고도 할 수 있겠다. 말로는 무슨 소리든 다 가능하다. 조선시대에 선비마다 한 번씩은 아마 읊어 봤을 민농시 여름 땡볕에 일하는 농부가 불쌍해 죽겠다고 하면서 권력자들은 저런 농부들의 고생을 외면한다고 질타한다. 그런데 사실 알고 보면 그 농부가 여름 뙤약볕에 들에 나가 일하는 이유는 바로 자신 때문일 수도 있다. 왜냐 그 동네 지주는 자신이기 때문이지. 물론 그 시를 쓴 사람은 선의에서 썼을 수도 있다. 그럼 뭐 조선시대 나온 그 많은 민농시가 전부 다 위선이겠는가? 그런데-. 국민을 위한다거나 아니면 농부를 위한다거나 디테일이 없으면 아무 소용도 없다. 실컷 농부가 불쌍하다고 해 놓고는 그 해법이 정전제, 균전.. 2024. 9. 19. 조선정부의 회심의 일격: 일 시키고 돈 안주기 앞에서 직역과 석고를 묶어놔 스스로를 사무라이라고 주장하는 자라면 석고제에 따라 쌀을 받으면 반드시 뭔가 내놔야 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던 일본과 달리 대대로 지주로 살면서도 국가에 대해 어떠한 의무도 지고 있지 않던 조선의 사대부에 대해 이야기 했다. 그렇다면 조선왕조는 어떻게 지탱할 수 있었을까? 토지와 직역을 묶어놔서 유사시 수십 만 병사를 일거에 모을 수 있는 일본과 달리 선비들이 땅은 땅이요 의무는 의무로서 지방의 토지소유자인 선비들이 국가에 어떤 의무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이 조선 후기의 시스템이었다면, 조선정부는 도대체 어떻게 정부를 유지할 수 있었을까? 뭐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간단한 방법이 바로 "백성 일시키고 돈 안주기"다. 조선시대 내내 각종 부역과 노역은 공짜로 사람들을 징발.. 2024. 9. 18. 내놔야 할 의무가 없어 의병이 된 사대부들 앞에서 조선후기 재지 사대부들은 국가에서 녹을 먹지 않고도 충분히 대대로 먹고 살 수 있다고 이야기 하였다. 그리고 그 경제적 기반은 결국 향촌사회의 지주라는 신분에서 나오는 것인데 문제는 이러한 대대로 먹고 살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이 그 어떤 의무 없이도 주어지고 있었다는 점이 문제겠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에도시대 막부이건 번이건 간에 이에 소속된 사무라이들은 대대로 녹을 받아 먹는 대신에 유사시 소정의 군사력을 제공하도록 정의되어 있었다. 유사시 내놔야 하는 군사력의 반대급부로 석고제 하의 녹이 주어지는 것이다. 반면에 한국, 조선후기 사대부들은 이와 비슷한 토지를 소유하고 이로부터 나오는 재부로 대대로 먹고 살지만 그 반대급부로 내놔야 할 부분이 정의된 바 전혀 없었다. 조정에 출사하여 관직에.. 2024. 9. 18. 붕당론과 당쟁 조선시대의 당쟁을 붕당론이라는 이름으로 견제와 균형을 이야기하며 옹호하는 입장이 있는데 애초에 도학자들의 세계관에서 견제와 균형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본다. 조선시대에 당쟁, 붕당정치가 끝도 없이 전개된 이유는 정쟁에서 패배해도 진 쪽도 진 것 같지 않게 세력이 끝없이 유지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우리나라 당쟁의 원인으로 사람은 많은데 관직은 적어서 싸움이 났다는 주장도 봤는데 이것도 어폐가 있는 것이 어차피 과거 급제해봐야 얻을 수 있는 관직도 제한되어 있었고, 우리나라 사대부라는 사람들은 애초에 나라에서 녹봉받아 먹고 사는 사람들이 아니었다. 과거란 자신들이 뼈대 있는 사대부 집안이란 것을 딱 증명하기 위한 정도면 되는 것이었고, 과거 급제한다고 해서 그로부터 먹고 살 기반이 나오는 것이 아.. 2024. 9. 18. 이전 1 ··· 50 51 52 53 54 55 56 ··· 3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