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06 조선시대 사마시 조선시대의 사대부들과 일본 에도시대의 사무라이는 둘 다 士이다. 일본에서 士라고 하면 바로 사무라이를 가리킨다. 공경을 士라고 부르는 경우는 없다. 조선후기 한국의 선비들과 일본 에도시대 사무라이의 가장 큰 차이는 역시 전자는 벼슬 없이도 재지 지주로서 대대로 선비의 자격을 물려줄 수 있는데 반해 후자는 막부건 번이건 소속되어 직역을 받지 않는다면 사무라이로 존재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급제자에서 유심히 봐야 할 부분은 사실 사마시다. 사마시만 통과하면 향촌애서 재지지주이자 유력 사대부 집안으로 계속 존재할수 있었기 때문에.... 향촌에서 사마시만 통과하고 지주로 계속 살아간 이런 계층은 에도시대 일본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계층이다. 2024. 9. 17. 배고프면 학문도 없다 조선후기 그리고 에도시대. 임란 이후 불과 백년만에 홀라당 한일간의 학문수준이 역전되어 버린 것은 딴 것 없다. 조선이 못 살았기 때문이다. 임란 이후 에도시대 저쪽 지식인들을 보면 눈에 띄는 것이 질과 양적으로 독서의 범위가 매우 넓다는 것이다. 왜이겠는가? 돈이 있기 때문이다. 조선의 선비들은 왜 몇 종 되지 않는 책을 읽고 읽고 또 읽었겠는가? 돈이 없어 책 사보기에 넉넉치 않았기 때문이다. 돈이 없고 배고프면 학문도 없다. 이것은 60 이후 공부를 생각하는 우리에게도 마찬가지다. 최소한의 경제적 곤란은 없고 책 사 볼 돈은 있어야 연구고 나발이고 되는 것이지, 먹고 사는 데 바빠서야 60 이후 연구고 나발이고 될 리가 없는 것이다. 미국 연구가 왜 세계 최강이겠는가? 결국 경제적 부인 것이다. 주.. 2024. 9. 17. 부여와 고구려는 휴경을 극복했을까 앞에서 필자는 벼농사는 수전경작 때 외부로부터 매년 새로 유입 유출되는 논물로 인해 연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하였다. 자 그렇다면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일부 수전의 경우 매년 연작이 가능해지고 있었다고 볼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남만주 일대, 부여와 고구려는 어떨까. 여기는 논이 거의 없는 곳이었을 텐데 (고구려의 경우 평양천도 이전) 이들은 농사에서 휴경을 극복했을까. 거의 밭농사 일색일 텐데 휴경과 화전을 매개로 한 윤작을 극복하고 있었을까 부여와 고구려가 한반도를 통일하지 못하고 결국 남쪽의 국가가 승리한 이면에는 논의 연작에서 오는 생산력 제고가 과연 무관했을까 2024. 9. 15. 1966년 4월의 조선일보 기사: 기마민족도래설 이것이 1966년 4월, 일본학계의 소식을 전하는 삼불 선생의 언급인데 이 기사에서 에가미 나미오 선생의 "기마민족도래설"이 소개되었다. 이보다 앞선 소식도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현재 신문 검색으로는 나오는 최초의 기사로 에가미 선생의 이 주장이 대중에 확산되면서 한국인은 기마민족의 후예라는 통념이 1980년대 민족주의 열풍을 타고 급속히 퍼져나갔다. 2024. 9. 15. 기마민족의 신화를 깨야 한반도 말의 역사가 보인다 앞에서도 한 번 썼지만 한국에는 한민족이 기마민족이라는 신화 아닌 신화가 있다. 명백히 에가미 나미오의 주장 기마민족일본정복설에서 기원한 듯한 주장으로사실 한민족을 기마민족으로 본 시각은 20세기 이전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며20세기 들어서도 에가미 나미오 주장이 나온 후 돌연 한국인을 기마민족의 후예로 보는 시각이 유행하기 시작했지 그 이전에는 거의 없었다. 이 블로그에도 썼던 것처럼 한국에서 말의 도입의 시기는 세계사적으로 보면 매우 늦다. 일단 말의 사육 자체가 우리와는 지리적으로 거리가 먼 지역에서 시작된 데다가현재까지 확인된 말의 유존체도 중국보다 시기가 많이 늦다. 일본의 경우 서기 5세기까지도 말의 존재가 잘 확인되지 않는데 일본과 같은 계열의 도작문명의 상류에 해당하는 한국의 경우도 청동기시.. 2024. 9. 15. 조선후기: 한국에는 보가 가득했다 사대강 때 하도 수중보가 유명해져서 보[洑 혹은 湺]라는 것이 사대강 이전에는 없었고 사대강 때 비로소 생겨나 수질 오염을 낳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잘못된 지식이다. 전술한 글에서와 같이 조선후기 들어 17세기가 되면전국적으로 개간 열풍이 불고 수리시설이 폭증하여 이전까지 보편화하지 않은 이앙법이 비로소 완전히 정착하게 되는데 이때 한반도 전역에 폭증한 것이 바로 보다. 물론 사대강 때처럼 콘크리트 수중보가 아니라 돌과 나무로 엮은 허술한 보라 대개 다음번 큰 홍수가 나면 다 떠내려가고 새로 만들어야 했던 것으로 안다. 중요한 것은 이 보가 전국적으로 폭증하여 논 물을 이 보로 대며 개간과 이앙에 혁신이 있었다는 뜻이다. 조선시대 후기 논문만 읽어봐도 이미 그 시대에 우리나라는 전국 곳곳 보가 없는.. 2024. 9. 14.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35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