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31

엔클로저 운동과 조선후기의 광작廣作 우리가 나라밖에 무엇이 있는지도 모르는 시절에 다윈은 벌써 나이 스물 몇에 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비면서 종의 기원 아이디어를 현장에서 잡았다고 했거니와 요즘 나라가 좀 먹고 살고 항공권도 가격이 싸지면서 정말 한국인들이 안 가보는 곳 없이 다 가보게 되면서 새삼 한국사를 한 번 돌아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고 해도 좋겠다. 한국사 뿐 아니라 필자는 서양사에서도 영국의 농업혁명 당시 유명한 엔클로저운동. 우리나라 광작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알려진 영국 엔클로저 운동이 이름만 익숙할 뿐 그것이 도대체 뭔지 알 수가 없었다. 우연찮게 영국 어느 학회 초청을 받아 현지로 이동할 때 학회가 개최된 지방 도시까지 버스로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때 비로소 필자는 영국사에서 나오는 엔클로져가 무엇인지 창밖에 보이는 그네들 .. 2024. 11. 11.
코스모스와 오리진, 교양서는 어찌 써야 할까? 필자가 대학생이던 무렵전 세계적으로 히트를 친 과학서적이 있었으니 하나는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그리고 또 하나는 리차드 리키의 "오리진"이다. 이 두 권의 책은 필자가 보기엔 자레드 다이아몬드의 총균쇠와 함께 전공분야에서 성공을 거둔 학자들이 써낸 교양서로 가장 성공적이었던 저작으로 생각한다. 칼 세이건, 리차드 리키, 자레드 다이아몬드는 모두 자기 분야에서 상당한 연구 성과를 축적한 사람들로 학자로서도 부끄러움이 없는 수준에 도달한 사람들이라 하겠다. 이런 "교양서"들은 어떻게 써야 할까. 필자는 요즘 이런 부분에 고민이 있다. 2024. 11. 11.
세계사와 한국사,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 그리고 대중서 지금 한국의 출판계에 필요한 것은 세계사와 한국사의 대화,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 그리고 대중서가 아니겠는가? 물론 이렇게 책을 내도 아무도 안 읽을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인문학 교양서가 장기적으로 이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는 것은 확신한다. 이제 방향은 잡았고, 이 작업을 누군가와 함께해 갈 것이다. *** editor's note *** 필자가 말한 방향성은 확실히 한국출판계도 일정한 경향성을 보인다. 다만 일부 국한한 듯한 느낌이 아직은 강하다. 특출난 대중강연가 중심인 까닭이다. 이런 흐름이 보편화해야 한다. 언제까지 그 학문틀에만 안주하는 글쓰기로 만족할 수는 없딘. 그러다 한국인문학이 망했다. 내가 직간접으로 간여하는 고고역만 해도 이제는 동맥경화를 넘어 질식상태다. 2024. 11. 10.
동학농민혁명은 더 인수분해 해야 한다 동학농민혁명은 인수분해가 제대로 끝나지 않은 수학 식이다. 더 분해할 것이 남아 있다는 말이다.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필자가 생각하는 바 적어보기로 한다. 동학농민혁명 주체는 "농민"으로 퉁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그런 간단한 것이 아니다. 그 안에는 심지어는 진사 급제자들까지 다수 포함되어 있고 사류 중에도 상당히 가담한 자가 많아 "농민혁명"으로 간단히 이야기 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동학농민혁명은 농민 반란의 성격과 함께 일본으로 치자면 하급 무사에 의한 메이지유신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는 전쟁이라 이 둘을 뭉뚱그려 놓고 농민전쟁 혹은 농민혁명으로 불러 버리고 끝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일본의 메이지 유신 역시 혁명의 주도 세력은 하급 무사들이었는데 이 하급무사라.. 2024. 11. 9.
싫던 좋던 다시 써야 할 한국사 현행 한국사는 두 가지 점에서 문제다. 첫째는 이 블로그에서 여러 번 썼지만 민족주의적 색채가 너무 강하다. 이 색채가 너무 강하다 보니 역사 전체의 구조를 일그러뜨릴 정도라고 필자는 본다. 역사 기술이건 뭐건 기본적으로 책이 갖추어야 할 균형과 조화를 무너뜨릴 정도로 편향되어 있다는 뜻이다. 민족주의적 색채를 좀 빼는 대신 민주주의, 인권, 세계와의 협력 등 보편 가치에 대한 이야기가 더 들어가야 한다. 한국사를 교육받은 우리 후세들이 나라 밖에서 만난 사람들과 기껏 나누는 이야기가 금속활자를 아십니까? 팔만대장경을 아십니까? 같은 이야기만 머리 속에 심어놔서 되겠는가? 우리 후세들은 한국 밖에서 활동하고 살아가며 외국인들은 무수히 만나며 살아 간다고 생각해야 한다.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만 가르치는 .. 2024. 11. 9.
AI로 다시 들어가며 60 이후가 되면 그동안 활동하던 조직에서 벗어나 살게 되니 공부를 더 하고 싶어도 이제는 어떤 조직안에서 속해 움직이던 모든 활동과 달리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전부 해결해야 한다. 대개 60 이후 연구활동이 연속되지 못하는 경우 이처럼 조직에서 유리되어 고립됨에서 말미암은 경우가 많은데 필자가 보기엔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60이후 연구자들의 생명을 연장시켜줄 가장 기대주가 바로 AI다. 챗GPT는 처음 소개되었을 때와는 완전히 달라져 최근 병원에 있는 동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거의 연구와 진료의 companion으로까지 발전할 날이 머지않았다고 한다. 이 챗GPT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60이후 연구자의 학자로서의 수명이 결정될 것이라 본다. 2024.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