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44

쓰던 동전 다 없애자는 이익 앞에 사도광산과 국제무역 이야기를 했지만 이 광산이 일본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에도시대 일본의 급증하는 화폐량을 여기서 제련해 내는 금과 은으로 충당하고 나아가서 서양과 무역을 할 때 결제수단으로도 이용하는 등일본근세사에서 매우 짭잘하게 잘 써먹었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일본 근세에서 서양과의 무역에 있어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 금과 은 제련, 그리고 도자기 제작 등에 있어조선은 기술적으로 대단한 기여를 했는데, 정작 자기 나라에서는 이 두 기술로 별로 재미를 못 보았다. 한국이 20세기 초 식민지로 전락한 이유 중에이 두 가지를 제대로 써먹지 못한 것도 들어가지 않는다고 장담 못한다. 한국에서 금과 은 제련술이 별로 빛을 못본 이유 중에는위정자들이 화폐경제에 대해 도대체 우호적이 아니었다.. 2024. 7. 27.
사도광산과 국제무역 사도광산이 한일간 이슈가 되어 이 부분은 워낙 많이 다루고들 있어 생략한다. 여기서는 사도광산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좀 써보겠다.사도광산은 탄광이 아니다. 금과 은을 캐던 광산으로 전성기는 에도시대이다. 이 사도광산은 일본사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에도시대 전기에 사도광산에서 나오는 금과 은으로일본은 국제무역에서 결재를 했다. 당시 일본도 어차피 서양과 무역에서는 팔 물건이 없었으므로 금과 은을 결제수단으로 하여 거래한 것이다. 사도광산이 없으면일본에는 난학이고 나발이고도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서양 상인들이 가져갈 것이 없으니 무역하러 오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사도광산에서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일본은 원래 금과 은 제련기술이 없었다는 점이다. 여기에 16세기 경 조선에서 금과 은을 제련하는.. 2024. 7. 27.
프랑스의 무관심과 무례 사이 https://www.chosun.com/sports/sports_special/2024/07/27/EG5Q3SBKPFENFIQKMWZMILKKLY/ 한국 나오자 “북한”… 개막식 선수단 소개서 역대급 사고 터졌다한국 나오자 북한 개막식 선수단 소개서 역대급 사고 터졌다www.chosun.com 필자도 이따끔씩 프랑스 쪽 사람들과 같이 일할 때가 있는데 모두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이쪽 사람들과 일할 때 묘하게 불쾌할 때가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 적고 싶지는 않지만, 위에 국명 부르는 것도 그런데, 요즘 같은 세상에 남한과 북한을 헷갈린다는 것은 무관심 무례 이전에 상식 문제를 따져 볼 수준이라 하겠다. 필자가 처음 일을 시작하던 90년대만 해도 북한 남한도 헷갈리는 사람이 많았는데 요즘은 그런 사람은 거의.. 2024. 7. 27.
사약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왕이 사사하는 것은 드물게 그 기원은 상당히 올라갈 수 있겠지만, 적어도 정책적으로 상례화가 시도 된것은 고려 말이 아닐까 한다. 1389년 조준은 다음과 같이 상소한다. 宰相, 人君之貳也, 所與共天位, 代天工者也, 其尊莫有倫比. 不幸有罪, 廢之可也, 退之可也, 賜之死亦可也. 乃令下吏, 縲絏枷鎖, 梟首露體, 棄而不葬, 甚矣. 漢文帝時, 賈誼上䟽謂, ‘刑不上大夫.’ 帝深納之. 自是, 大臣有罪皆賜死, 無加戮辱, 以禮遇下. 故當時士大夫, 恥言人之過失, 以成漢家四百年之禮俗. 願自今, 兩府大臣, 雖有死罪, 其大逆不道外, 法文帝故事, 無加顯戮, 以成國家重大臣之盛典. 재상(宰相)은 임금에 버금가는 사람으로서 하늘이 준 지위[天位]를 함께 누리고 하늘의 일[天工]을 대신하는 자니 그 존귀함이 비할 데가 없습니다. 불행.. 2024. 7. 27.
60에 돌아보는 외국어 필자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그리고 고문(한문)을 공부했는데 네 가지 언어 모두 사전 없이 읽어 낼 수 있는 정도 수준은 된다.  물론 나면서 부터 외국어를 한 것은 아니니 필자도 살아오면서 여기에 나름의 시간을 투자하였는데, 나이 60에 돌아보니 외국어에 시간을 투자한 만큼 얼마나 본전을 뽑았는지 따져보게 된다. 영어: 생업과도 관련이 있으니 가장 시간도 많이 투자했고, 또 거둬들인 것도 많다.투자한 시간 만큼 거둬 들였다고 보고, 전문성과 관련하여 반드시 익혀야 하는 외국어다.앞으로도 영어의 이러한 위치는 당분간은 사라지지 않으리라고 생각하고,지금 이 글을 보는 젊은 분들의 시대에도 비슷하지 않을까. 일본어: 필자가 대학생 때는 대학가에서 일본어가 상당히 유행이었다. 그 여파로 필자도 학창시절에 .. 2024. 7. 26.
사약의 기원과 그 의미 조선시대에 임금이 사사를 신하에게 내리면대개 신하되는 이는 임금이 내린 사약을 먹고 절명한다. 이 임금이 사사하면 사약을 먹고 목숨을 끊는 방식은형벌이 아니다. 그래서 대명률에도 없다. 이는 유교에서 이르는 바,刑不上大夫 禮不下庶人 형벌은 대부 이상을 올라갈 수 없고 예의는 서인 아래로는 내력가지 않는다. 곧 대부 혹은 그 이상은 형벌로 다스릴 수 없고 예의는 서인 이하한테는 따지지 않는다.이라는 사상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임금이 죽음을 내리면 신하는 자살로 답하는 것이니, 사사로 죽는 한 이는 형벌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말이다. 이는 임금이 내린 죽음으로 자살한 것이지 형을 받아 죽은 것이 아니다. 일본도 소위 하라키리 혹은 셋푸쿠, 할복을일본 고유의 미의식으로 이야기하지만 그게 아니고 바로 .. 2024. 7.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