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송은의 뮤지엄톡톡458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공예마을(3층 옷 공방) 2021.07.29.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박물관 공예마을은 2층 그릇공방, 가구공방, 철물공방 3층 옷공방, 모두공방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제욱선생님의 배려로 3층 옷 공방을 볼 수 있었습니다. 공예마을을 보면서 “공예박물관 스러운 어린이 체험 전시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사실 저는 어린이들을 위한 공간(전시, 체험 등)을 볼 때두근두근 합니다. 박물관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주제를 어린이들의 시선에 맞게 어떻게 재탄생시켰는지 궁금하기 때문입니다. 또 멋지게 풀어낸 모습을 보면 짜릿하기도 하고, 부럽기도 합니다. 만약 저라면 어떻게 했을까 상상도 해보고요. 서울공예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을 보면서 참 부러웠습니다. 특히 이런 멋진 체험을 할 수 있는 어린이가 가장 부러웠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른 공예마을.. 2021. 8. 3.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개방형수장고 전시부터 박물관 만들기 상상까지! 2021.07.31.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개방형 수장고란 유물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장소인 수장고를 관람객들이 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오픈한 것을 말합니다. 혹 오픈되었다고 하면 유물을 만져 볼 수 있을 거라 오해 하실 수 있지만, 그건 아니고 유물이 어떤 모습으로 수장되고 관리되고 있는지 최대한 가까이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해마다 늘어나는 유물을 수장할 곳이 부족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렇게 유물을 수장도 하고, 전시도 하고, 일석이조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일석삼조?! 개방형수장고 전시로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진행 할 수 있고, ‘오, 우리 유물이 이렇게 잘 관리되고 있구나.’ 하는 신뢰감도 쌓을 수 있고요. 아카이빙된 자료를 어떻게 전시하고 관람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는지 참고할 부분이 있었습니다.. 2021. 8. 1.
개방형수장고 유물 이야기-국립민속박물관 파주관 (수장고 문 열리는 소리) 철커덩 끼익. 줌돌 꼬마 : 꺄~~~수장고 문이 열렸다. 이번에는 학예사가 나를 선택해 줄까? 아니 왜 만날 멧돌형들은 데려가면서 나는 안 데려 가냐고~~! 작기는 하지만 나도 곡물 잘 갈 수 있는데! 나좀 전시 해달라고~~제발제발~~ 개 모양 연적 : 멍멍!! 나도나도! 여기 수장고에 들어와서 5년 동안 빛을 보지 못했어~! 내가 사람들을 얼마나 좋아하는데~~! 이번에는 꼭 전시장에 나가서 사람들을 만나고 싶다고~~! 멍멍! 목 빠진 자라병 : 고작 5년가지고 왜이래? 나는 10년이 넘었다고! 전시실 나가길 목 빠지게 기다리다가 정말 목이 쭉~~마져버렸다구~~! 제기 가족 : 쉿 조용해! 학예사들 지나간다! 이번에 선택되고 싶으면 웃어~~최대한 예쁘게 웃으라고! 픽미! 픽미!.. 2021. 8. 1.
스토리텔링된 향나무-서울공예박물관 옆 카페 기호철선생님과 유제욱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박물관을 둘러 보고, 시원한 차 한 잔 하러 찾은 곳. 유제욱 선생님 : 여기 단장님 단골집이예요~! 향나무집. 나 : 네? 향나무집이요? (차 마시러 왔는데 고기집인가?) 오잉??? 정말 어마어마한 향나무가 떡 하니 있었습니다. 단장님 단골집이라 하니 단장님 처럼 나무를 찍어 보았습니다. 오….! 나무 껍질 굴곡에서 세월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저는 멋진 향나무도 향나무인데, 향나무를 설명하는 설명글이 더 눈에 들어 왔습니다. 이렇게 쉽고 재밌게 향나무를 설명하다니요? 설명을 읽고 향나무를 한 번 안아보았습니다. 향나무의 좋은 기운을 받은 것 같아 기분이 업업! 스토리텔러가 따로 있을까요? 카페 주인분이 멋진 스토리텔러였습니다. ***** 혹시 향나무가 있는 카.. 2021. 7. 30.
문화유산 활용 현장 <북악산 문화유산 AR콘텐츠 기획 중간보고회> 2021년 7월 29일 종로구청에서 가 있었습니다. 문화유산 크리에이터 자격으로 저 자리에 있었는데, 별다른 직함이 없던 나에게 저런 과분한 직함을 달아 준 강영식주무관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솔직히 말하면 다들 이름표에 어마어마한 소속 혹은 직함이 적혀 있어 살짝 쫄았었거든요.ㅎㅎ 이번 사업의 내용은 북악산을 개방하면서 안전하고 쾌적한 등산로 조성하는 것과 더불어 북악산의 문화유산을 AR컨텐츠를 활용해 설명해 주는 것입니다. 이런 큰 사업에서 제가 맡은 부분은 문화유산을 설명해 주는 시나리오 작성입니다. 평소 문화유산의 전문적인 부분과 대중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싶었는데, 이번 프로젝트가 딱 그런 역할이었습니다. 기획한 결과가 바로 대중과 바로 맞닿을 수 있는! 그래서 즐겁게 프로젝트를 .. 2021. 7. 30.
공간이 아름다운 서울공예박물관 2021.07.29. 서울공예박물관 최근 핫하다는 서울공예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전시를 보며 느낀 점은 ‘공간이 참 아름답다’ 였습니다. 고개를 돌릴 때마다 보이는 순간순간 공간들이 참 아름다웠습니다. 학교 건물이 주는 친금함도 있었고, 공간과 어우러진 공예작품도 참 좋았습니다. 제가 공예박물관에서 반한 뷰입니다. 모래색 건물때문일까요? 아니면 약간 엉성한 나무때문일까요? 또 아니면 거친 모래를 뭉쳐 놓은 듯한 스툴 때문일까요? 모든 것이 어우러져 어느 독일 영화속 같은 묘한 느낌을 줍니다. 분청사기 스툴. 제가 분청을 좋아해 더 애정이 가나 봅니다. 모양도 색도 모래소용돌이를 똘똘똘 뭉쳐 놓은 것 같아 재밌습니다. 다양한 문양을 띠는 암석 같기도 하고요. 왠지 사진 프레임 밖으로 파란 바다가 있을 것 .. 2021.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