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400

파피루스 습지에서 새를 사냥하는 고양이 브리티시 뮤지엄 소장 고대 이집트 벽화 중 한 장면으로, 구체로는 테베, 그리니깐 현재의 나일강 중류 도시 룩소르에서 발견된 기원전 1350년 무렵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네바문Nebamun이라는 사람 묘소 겸 사당에서 출현한 석회판 위 원색화로, 저 그림 조각 전체는 83 x 98 cm다. 사진 출처는 ©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저 장면은 Nebamun이 습지에서 주로 새들을 사냥하는 장면을 묘사한다. 저처럼 생생한 회화 자료들이 남았으니 저 시대 문화생활사 미술사를 그렇지 아니한 한반도의 그것에 견주어 얼마나 유리한가? 또 배가 아프고, 또 조상들이 원망스럽지 않겠는가? 저 장면 구체하는 박물관 안내는 다음과 같다. 네바문 무덤 예배당tomb-chapel에 있는 이 벽.. 2024. 9. 19.
떼거리 파이앙스Faience가 빚어내는 이집트 환상 양이 많으면 떼거리 전시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집단주의가 뿜어내는 체조주의 효과를 낸다는 데 있다. 그래서 설혹 개별로는 별품 없어 보여도 일단 양이 많고 봐야 한다.왜?이 장면처럼 명징하게 떼거리주주의 그 위대함을 증명하는 보기 있을까?실상 이런 떼거리주의 전시가 국내 박물관계에도 이젠 드물지 않다. 예컨대 그 지겹디지겨운 토기 전시를 때거리주의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나름 찾았기 때문이다. 미국 메트로박물관 소장 저 고대 이집트 파이앙스 재료 관련 유물들은 뭐 이런저런 고민없이 저런 식으로 훝뿌려놔도 된다. 저 파이앙스 유물이 고대 이집트에는 발길로 챈다. 우리는 단 한 점도 없다. 한반도엔 꼬빼기도 없는 준보석이다.그럴 거면 남들 긁어모을 때 같이 긁어모을 조상님이라도 있었어야 하는데 유감스럽게도.. 2024. 9. 19.
미노아인들의 패셔너블 와인 머그 잔 킬릭스Kylix라 해서 4500~4000년 전 고대 미노아 문명 와인 컵이다. 저 다채로운 도기들을 보면 이미 그리스문명도 고도를 구가했으니 더구나 저 시대 중국을 보면 청동기다운 청동기도 없을 때지만 저 지역은 이미 청동기 문명 절정이었다. 저들은 청동기시대라 우기지만 저 무렵 중국은 엄밀히는 신석기말기인데 놀라운 점은 청동기 발명 전개는 비실비실 늦었지만 도기 문화 발전은 놀랍고 더 특이한 점은 유럽이나 근동 지역에 견주어 그리 늦은 청동기가 일단 불이 붙자 세계 어느 지역 청동기도 따라잡을 수 없는 고도를 이룩했다는 사실이다. 은상, 혹은 주대, 혹은 삼성퇴 단계 청동기 봐라 기가 찬다. 이를 어찌 봐야 하는가? 2024. 9. 19.
오리 뒷다리 바베큐 즐긴 이집트 고대 이집트인은 당연히 맛있는 음식을 좋아했고 개중에서도 거위 요리를 매우 좋아했다. 이 나무 모형은 왼손에 들고 있는 거위 다리를 요리하려고 앉아 있는 한 남자를 묘사한다. 그의 다른 손에는 부채를 들고 있어 앞에서 타오르는 불에 화력을 더하려 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러한 모형들을 무덤에 넣어 죽은 자들한테도 영생을 제공했다. 이 조각상은 제12, 13왕조(기원전 1980~1760년) 통치 기간인 중왕국 시대, 즉 38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탈리아 이집트박물관(투린) 전시 중 저 오리뒷다리 고기를 백성들이 상식했는가는 다른 문제다. 저런 자료가 남았다 해서 모든 이집트인이 오리고기를 즐겼다? 2024. 9. 15.
에포나Epona, 말馬를 수호하는 켈트의 여신 기원전 2세기로 제작 시점이 거슬러 올라가 갈리아Gaul 지방 렌Rennes 출토 이 켈트시대 금 스테이터 Celtic Gold Stater는 켈트족 역사문화 단면을 보여주는데 이에는 여신 에포나Epona를 전사 여왕으로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에포나는 켈트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존재다. 그는 말, 조랑말, 당나귀, 노새의 수호자로 알려졌다. 이 동물들과의 관계 외에도 에포나는 다산의 여신이기도 했다. 그 속성에는 종종 파테라patera(얕은 의식용 접시), 풍요의 뿔(풍요를 상징), 곡식 이삭, 일부 조각품에 등장하는 망아지 등이 포함되는데, 이 모든 것이 다산의 신 역할을 강조한다.이 골드 스테이터가 묘사한 전사 여왕으로서의 에포나는 켈트 판테온pantheon에서 그가 차지하는 막강한 지위를 보여준다.. 2024. 9. 15.
플로라FLORA, 봄과 꽃의 여신 이탈리아 폼페이 근처 스타비아에Stabiae에 있는 아리아나 빌라Villa of Arianna의 헬레니즘 스타일 로마 프레스코화(스타비아에는 AD/CE 79년 베수비오 산 화산 폭발로 파괴되었다), AD/CE 15-45년. 나폴리 국립고고학박물관 소장품이다. 플로라Flora는 로마의 꽃, 봄, 정원의 여신이다. 그는 땅의 비옥함과 봄의 도래와 연관되어 있으며 종종 꽃다발이나 풍요의 뿔(프레스코에서와 같이)을 들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 유래: 플로라는 클로리스Chloris로 알려진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름: Flora라는 이름은 꽃을 의미하는 플로스flos라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2024. 9.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