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283

영화 《말모이》와 조선어학회 지금도 상영 중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 조선어학회를 소재로 하는 근간 영화로 《말모이》가 있었으니, 유혜진이 주연했다 들었다. 난 관람치 못했으니 언젠간 수퍼액션이나 OCN 같은 데서 볼 날 있으리라. 조선어학회 터가 종로 윤보선가 뒤켠, 안동교회랑 도서출판 명문당 옆 동네길에 있는데 이미 건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지번으로는 종로구 130-1번지라 한다. 그 표식엔 다음과 같이 적혔다.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 터 Original site of the Joseon Language Society 조선어학회는 1921년 주시경(周時經: 1876~1914)의 제자들이 한글의 연구와 발전을 목적으로 발족한 조선어연구회의 후신이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다가 광복 후 한글학회로 이어졌다.. 2019. 2. 9.
삼중당문고의 시대 김동인이나 혹은 를 얘기하고자 함이 아니다. 이 김동인 단편집을 포함한 를 잠깐 생각해 봤으면 한다. 이 단편집은 서지사항을 보니 1975년 초판인데 내가 갖춘 것은 1978년 중판본이라, 문고총서본으론 17번째다. 보다시피 세로쓰기라, 내가 대학에 들어가 한창 책을 닥치는대로 읽기 시작한 80년대 중반 무렵엔 이 총서도 변신을 꾀해 디자인도 변화를 주어 가로쓰기로 변하지 않았나 한다. 이 문고총서가 언제 시작했는지는 그 발간사에 연도가 없어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따라서 그 시작점은 이 총서 넘버원인 이은상의 《성웅 이순신》 발간 시점을 보면 될 터인데 지금 내 수중엔 이 책이 없다. 다만 그 열일곱번째인 김동인 단편집이 1975년인 점으로 미뤄 이 총서 시작 역시 이해이거나 그 전해임을 미루어 짐작한.. 2019. 2. 5.
시공사, 전재국, 그리고 운젠에서 죽은 화산학자 이 총서는 도서출판 시공사가 기획한 교양총서이거니와, 프랑스 갈리마르 총서 번역으로 안다. 포켓판이지만, 지질이 두꺼워 무겁다는 점이 단점이요, 더불어 번역 수준이 함량 미달인 듯 싶은 사례가 많다는 점도 아쉽기는 하지만, 교양총서 새 지평을 연 역작이다. 이 총서가 나옴으로써 종래 그 토속 버전이라 할 만한 대원사 총서가 빛을 잃었다. 도판과 디자인, 그리고 무엇보다 콘텐츠 질에서 도대체가 비교 불가능한 까닭이었다. 시공사..보다시피 창립자가 전재국이다. 전두환 아들인 그 전재국이 대주주인 출판사다. 자연인 전재국 전두환 아들 전재국에 대해선 무수한 논란이 있다. 혹자는 그가 무슨 돈 자금으로 저 출판사를 만들었겠느냐, 결국 전두환 정치비자금이 아닌가 하는 눈초리 많다. 하지만 시공사가 기획한 이 총서.. 2019. 2. 4.
조선시대 군인들의 신참신고식-김종철(金宗喆)의 경우 조선시대 신참 공무원 신고식이 광범위하게 행해졌으며, 그것이 자주 사회문제화했다는 소식을 이 블로그에서도 나는 여러 번 소개했거니와, 이번에는 일반행정직 말고, 직업군인 세계에서는 어떤지 양태를 소개하기로 한다. 이 군대신고식이라면, 적어도 내 세대에 군 생활을 한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경험했겠거니와, 이를 보면 그 연원이 참말로 깊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화성시 '해풍김씨 남양쌍부파' 고문서 정리 [2009.06.24 송고]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조선 정조 8년(1784) 무과에 급제해 직업군인이 된 해풍김씨 남양쌍부파 김종철(金宗喆.1759~1812)은 순조 6년(1806)에는 종4품하에 속하는 선략장군 무신 겸 선전관(宣略將軍武臣兼宣傳官)에 임명된다. 이 자리에 임관한 그를 '선진'(先進).. 2019. 2. 3.
도교道敎 공부를 위한 참고 문헌 실로 방대하나, 도교 기초 확립을 위한 참고문헌으로 내가 생각하는 것들은 아래가 있다. 아래 소개하는 것들은 내가 도교 공부할 때 많은 도움을 받은 것들이다. 시중에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도교 개론서로 아래가 있다. 葛兆光, 심규호 옮김 《도교와 중국문화》, 동문선, 1993. 구보 노리타다 저, 최준식 옮김 《도교사》, 분도사, 2000. 酒井忠夫 外 지음, 최준식 옮김: 《道敎란 무엇인가》, 민족사, 1990. 詹石窓 著, 김영수ㆍ안동준 공역: 《도교와 여성》, 창해, 2005. 마노 다카야 저, 이만옥 역 《도교의 신들》, 들녘, 2001장스촹 저, 안동준·언샤오리 역, 《도교문화 15강》, 알마, 2012년 아주 오래된 고전으로는 아래가 있다. 앙리 마스페로 지음, 신하령˙김태완 옮김 《도.. 2019. 1. 21.
사라지는 또 하나의 서울, 세운상가 2019.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