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840 hoja, portable men's urine bin This kind of pottery is called Hoja 虎子. The word "#hoja," literally means a tiger cub, is a portable men's urine bin. It's called this because it looks like a tiger. It was widely used in pre-modern times, and has been often found in Korea and China and Japan. Here's how to use it. With one hand, hold the handle on the back of the hoja. Remove the penis, slide it into that porcupine mouth and pe.. 2021. 5. 30. BC 10세기 기하학시대 그리스 어느 전사의 무덤 An Early Geometric Cremation Burial of a Warrior Craftsman About 900 BC This grave illustrates the normal method of adult burial in the Protogeometric and Early Geometric periods. The body was burned on a pyre together with vases containing offerings of food and drink. The ashes were gathered into an urn and set into a small pit in and around were stacked other offerings in this case tools and w.. 2021. 5. 30. 무령왕 부부는 왜 남쪽으로 머리를 두고 잘까? 막상 그림으로 그려놓으면 간단하기 짝이 없지만 그것을 완성하기까지 싸운 분투는 이가 갈린다. 이를 보며 왜 무령왕릉 부부는 머리를 북쪽이 아닌 남쪽으로 두었을까를 끊임없이 물었다. 저네가 바보가 아닐진대 왜 저랬을까? 20년을 투자한 의문은 최종본 교정 중에 실로 어이없게 풀렸다. 인쇄 들어가기 직전..그 대목을 기어이 쑤셔박았다. 난중에 별도 논문으로 발표할까도 생각지 아니한 건 아니나 거꾸로 가든지 아니면 이에서 허비하고 말자고 생각했다. (2016. 5. 29) 2021. 5. 29. [천안 천흥사論] (3) 왕건이 성거산 오색구름을 본 수헐원愁歇院 우리는 앞서 고려 태조 왕건이 지금의 위례산을 바라보고는 신이神異한 오색 구름이 위에 이는 모습을 보고는 신성한 기운이 노니는 곳이라 해서 그 산을 성거산聖居山이라고 부르게 했다는 기록을 접했거니와 그 오색 구름을 본 장소를 신증新增에서 이르기를 직산현 서쪽 수헐원愁歇院이라 했다는 대목이 있음을 기억할 것이다. 이곳에서 그가 동망 산상東望山上, 곧 동쪽으로 산 꼭대기를 바라보았다 했으니, 곧 죽어도 수헐원이라는 데는 이 성거산(위례산)을 기준으로 서쪽에 있어야 하며, 아울러 이곳에서 위례산이 보여야 한다. 이에 수월헌이 분포할 만한 대략의 범위를 지도에서 그리면 아래와 같다. 위례산, 곧 성거산을 기준으로 수헐원이라고 동글배기 친 어드메쯤에 수헐원이 있었을 것이다. 더 범위를 좁힌다면 수월원은 원院이라는.. 2021. 5. 19. [천안 천흥사論] (2) 고려~조선 성거산은 지금의 위례산 직산 성거산 아래 천흥사 존재를 증언하는 문헌으로는 언제나 신증동국승람을 인용하거니와, 그 권 제16 충청도忠淸道 직산현稷山縣을 기술하면서 그 산천山川과 관련해, 이를 둘러싼 산으로는 현縣 서쪽 3리 지점에 있으면서 이 고을 진산鎭山인 사산蛇山을 필두로 성거산聖居山, 양전산良田山, 망해산望海山을 들거니와 양전산良田山은 글자 그대로는 토질이 좋은 산이라는 뜻이며, 망해산望海山은 바다를 조망하는 산이라는 뜻이어니와, 이곳에서 바다를 볼 수 없거니와 그만큼 사방을 조망하기 좋다는 뜻에서 딴 것이 아닐까 한다. 저들 중에서도 성거산聖居山을 일러 다음과 같이 상술한다. 在縣東二十一里。高麗太祖嘗駐蹕于縣西愁歇院,東望山上有五色雲,以爲有神祭之,遂稱聖居山。我太祖、世宗幸溫泉時,亦祭之。 고을 동쪽 21리에 있다. 고려 태조가.. 2021. 5. 19. 70년대에 부활한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증보판 주인공은 무령왕릉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당시 시대상황을 고려하면, 또 지금 봐도 사상 유례없는 호화양장의 거질 조선 고고미술 씨리즈다. 총기획은 조선총독부. 소위 식민사관의 본산과도 같은 뿌리로 분류된다. 조선 식민통치의 부산물이며 그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목적은 하늘이 두쪽 나도 부인할 수 없다. 문화재관리정책 치고 그렇지 아니한게 있던가? 일제 패망과 더불어 뒤안길로 사라진 이 고적도보가 느닷없이 1970년대에 부활한다. 똑같은 표지에 똑같은 양장으로 증보판을 낸 것이다. 총감독은 아리미쓰 교이치..유광교일有光敎一. 조선총독부에서 조선고적조사에 다년간 종사한 자로써 103세인가를 살고는 몇년 전 사망했다. 이 증보판 필자가 누구인지 아는가? 70년대에 부활한 조선고적도보 증보판 필자가 누군 줄 아는가? 이 증보판에.. 2021. 5. 19. 이전 1 ··· 351 352 353 354 355 356 357 ··· 47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