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950

털려서 유명해진 모나리자! 피카소도 용의선상 올라 무명으로 사라졌다 셀렙으로 화려하게 귀환 루브르 박물관은 압도하는 전 세계 1등 박물관이다. 규모로 보나 관람객 숫자로 보나 1등이다. 브리티시뮤지엄? 근처에도 못간다. 연간 900만이 찾는다는데, 우리네 국립중앙박물관 연간 관람객 500만 넘었다 설레발치지만, 여기에는 허수가 대단히 많다. 이 이야기는 나중에 혹 기회 닿으면 하기로 하고.그 루브르박물관이 저리 된 일등 공신은 그 소장품 하나하나가 명품이기도 하지만 역시 단 한 점이다. 모나리자 없는 루브르? 상상도 못한다. 루르브 가는 모든 사람이 모나리자를 보러 간다. 물론 못 본다. 봐봐야 먼 발치에서 코딱지 만한 그림 잠깐 보고선 나도 봤다 할 뿐이다. 가서 그걸 구경하는 사람 구경할 뿐이다. 물론 나도 봤노라 해서 기념사진 한 장 덜커덩 찍어서.. 2025. 10. 20.
미사흔을 따라 신라를 입성하는 왜국 왕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보면 실성왕 때 왜국에 인질로 간 내물왕 아들 미사흔은 아마 10년? 정도 왜국에서 있다가 박제상의 주선으로 귀국한다.사기와 유사에는 왜국에서의 미사흔 삶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다만 그 구출 과정을 보면 엄격한 감시에 시달리며 실상 죄수와 같은 생활을 한 것으로 묘사 혹은 암시된다.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는가?아무리 인질이라 해도 10년을 저리 쳐박아둘 수는 없다.그리고 볼모랑 죄수는 다르다.그렇다면 미사흔의 실제 왜국생활은 어땠을까?이건 개돼지도 상상 가능하다.이 개돼지도 상상 가능한 삶 그 일부가 화랑세기에서 비로소 풀린다.미사흔에게 여자는 없었을까?십년 동안 홀아비였을까? (2017. 10. 17) *** 화랑세기 및 다른 남당 박창화 문건들을 보면 미사흔은 왜국에서 왜국 왕녀.. 2025. 10. 19.
묵재 이문건이 증언하는 조선 전기 사대부가 아이들 태胎 처리 아래 인용하는 대목은 가뜩이나 태실 태항아리 문제로 미쳐 날뛰는 날더러 참고하라 해서국립제주박물관 강민경 선생이 찾아준 관련 아티클이어니와 묵재일기로 유명한 그 묵재默齋 이문건李文楗(1494~ 1567년)이라는 양반이 정리한 육아일기 양아록養兒錄에 보이는 한 대목이라 하거니와,이에는 당시 양반들이 어떻게 그네들 자녀의 태를 처리했는지를 증언하는 대목이 있다 하거니와, 이는 내가 직접 열람하지 못한 까닭에 이를 논급한 아티클을 인용하기로 한다. "계집종한테 손자의 태를 개울에서 깨끗이 씻게 하고, 이를 황색 사기 항아리에 담아 기름 종이로 덮고 끈으로 묶은 다음, 이를 집으로 가지고 와서 묻어 두었다. 그리고 열이틀 후에 선석산 서쪽 골짜기 태봉 아래에 매장하였다."이를 인용한 김득환 선생은 양아록 이 .. 2025. 10. 19.
성덕대왕 신종 무게를 재던 날 경주시정소식지 "아름다운 경주 이야기" 가을호에 실은 글입니다.가볍게 한 번 읽어보시길...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의 무게는 왜 18.9톤일까?1997년 8월 11일 오후 2시 국립경주박물관 앞마당의 종각 앞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왜냐하면 성덕대왕신종이 만들어진지 1226년만에 처음으로 그동안 막연하게 당시에 통용된 1근(斤)을 200g정도로 추정하여 24톤 정도로만 생각하였던 종의 실제중량을 확인하는 날이었기 때문이었다.성덕대왕신종에 대한 종합학술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이날 측정은 국내 최대의 전자저울 메이커인 ㈜카스의 지원을 받아 특별히 제작한 변형량감지센서가 부착된 첨단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데 측정결과 18,900kg(18.9톤)으로 밝혀졌다... 2025. 10. 18.
미니어처 해골: 로마 연회에서 나온 2,000년 된 유령 같은 파티 기념품 이 으스스한 해골은 로마 연회 참석자들에게 인생이 짧다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이름: 미니어처 해골Miniature Skeleton 정의: 관절이 움직이는 청동 해골 출처: 로마 제국 제작 시기: 기원전 25년경 ~ 서기 100년 이 작은 청동 해골은 2,000년 전 파티 기념품으로 나눠준 고대 로마의 "라바 콘비발리스larva convivalis", 즉 "연회 유령banquet ghost" 조각상 중 12개만 남아 있다. 원래는 팔과 다리가 관절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왼쪽 다리 일부만 남아 있다.두개골에는 크고 둥근 눈구멍과 이빨이 드러난 미소가 새겨졌다.조각 높이는 약 2.6인치(6.6센티미터)이고,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게티 빌라Getty Villa에.. 2025. 10. 16.
애장터와 득달이 혹은 덕달이, 그리고 은중과 상연 '은중과 상연'에 안락사, 존엄사 이야기가 나온다. 내가 어릴적 대략 6,70년쯤 이전에는 시골에는 어린이 사망이 많았다. 작은 마을인데도 '애장터'가 두 곳에 있었다. 아기 시신을 묻어주는 일종의 마을 공동 매장터이다. 조금 자란 뒤에 마을 어른들께 들은 얘기에 따르면, 묻어주는 풍습이 생기기 이전에는 아기 시신을 땅에 묻지 않는 집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내 부모 세대에는 아기들 시신에 대해서는 일종의 풍장 같은 풍속의 여운이 시골에 있었다. 무명베 허연 홋이불 같은 천으로 시신을 싸서 소나무 위에 얹어두었다고 한다. 그것을 '득달이, 덕달이?'라고 했다 하였다. 은중과 상연에 죽음 이야기가 나와서, 득달이가 생각났다. 이 낱말도 내 다음 세대에는 없어질 것이다.***이상은 내 고향 김천 인근 거.. 2025.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