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2929

연극은 3~4회차, 책은 2쇄, 목판은 10회를 넘겨야! 연극쟁이들 하는 말을 들으면 새로운 공연이 오를 때는 대개 몇 회 이상 한 다음에 가야 가장 안정된 공연을 본다 한다. 아무래도 처음 올려서 몇 번 돌려 봐야 배우끼리 호흡도 맞고 여타 음향 장비며 하는 것들이 제대로 구동되기 시작하기 때문일 것이다. 책도 마찬가지라서 가장 안정된 판본은 대개 2쇄 이후다. 초판 1쇄는 아무리 내가 오타 비문 등을 바로 잡는다 해도 어디서 튀어나왔는지 돌발하기 마련이라 저자가 가장 애정을 기울여서 교정하는 쇄가 2쇄다. 2쇄를 넘어가면? 모든 저자가 마찬가지일 텐데, 거개 책이 나오면 하도 진을 빼 버려서 쳐다보기도 싫다. 그래도 2쇄에 들어간다면 나름 정심성의껏 오류를 바로잡아 2쇄에 반영하는데 3쇄 이후는?건성건성이다. 너 같으면 그거 다시 쳐다 보고 싶겠니? 그렇다.. 2025. 9. 11.
양동이 전쟁을 아시나요? 그 뒤에 숨은 진짜 바케스 쟁탈전 양동이 전쟁: 중세 전투 하나가 우리에게 역사와 신화에 대해 말해주는 것들by 케네스 바틀릿Kenneth Bartlett, The Conversation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속담인 "Se non è vero, è ben trovato"(사실은 아니더라도 좋은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인류 역사의 많은 부분을 반영한다. 이러한 다채로운 사건 중 하나는 14세기 이탈리아 볼로냐와 모데나 사이에서 벌어진 양동이 전쟁War of the Bucket이다.수년간의 긴장 끝에 모데나Modena 사람들이 볼로냐에 진입해 마을 우물에서 양동이를 훔쳤다는 이야기다. 볼로냐 사람들은 양동이를 돌려달라고 요구했지만, 모데나 통치자는 거부했고, 전쟁이 발발하여 1325년 차폴리노 전투Battle of Zappolino에서 모데나.. 2025. 9. 11.
폭군 셰프가 매우 난폭하게 쓰는 '기미하거라' https://www.youtube.com/shorts/U4F__UWzfWw 요새 내가 폭군의 쉐프라는 드라마를 시청 중이라는 말을 했거니와, 저 드라마에 매우 자주 나오는 말이 '기미하거라'이거니와 도대체 이 기미하다는 말은 어디에서 온 개뼉다귀인가?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저 '기미'라는 말을 찾아보면 동음이의어가 너무 많지만,암튼 임금이 수라를 들기 전에 독이 들었는지 검사하는 차원에서 상궁이 먼저 해당 음식을 시식할 적에 그런 일을 하라며 연산군이 "먼저 먹어 보아 음식에 독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라"는 맥락으로 쓰는 기미는 다음이라 기미氣味「명사」 「1」 냄새와 맛을 아울러 이르는 말. =취미. 「2」 생각하는 바나 기분 따위와 취미. 형님은 인간의 기미를 몰라서 그러는 겁니다. 이론이야 늘 빈틈없.. 2025. 9. 9.
무릎 꿇은 황소: 5,000년 전 이란의 잡종 신비 생물 인간과 유사한 자세를 취한 이 은제 황소 조각상은 5,000년 전 사원 경계를 표시하는 의식에서 매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이름: 무릎 꿇은 황소Kneeling Bull 내용: 인간과 동물이 혼합된 은제 조각상 출처: 이란 남서부 고대 엘람Elam 제작 시기: 기원전 3,100년~2,900년 이 5,000년 된 은제 조각상은 인간과 유사한 자세로 무릎을 꿇고 주둥이가 있는 그릇을 든 황소를 묘사한다.이란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인 엘람 이전 문화권Proto-Elamite culture 출신 누군가가 남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제작했으며, 의식이나 제례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황소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있다.1970년 당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보존학자 케이트 레퍼츠Kate Lefferts 연구.. 2025. 9. 8.
[김태식 추천도서] 《독약은 입에 쓰다》(성균관대출판부, 2009) 환각의 열풍이 몰아친 고대 중국 송고 2009-02-17 18:48 '독약은 입에 쓰다' 완역 출간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유교의 합리주의 정신에 투철한 당나라 때 지식인 한유(韓愈)는 불교만이 아니라 도교 또한 매섭게 공격했다. 이런 그에게 태학박사를 역임한 형의 손녀사위 이간(李干)이 48세로 죽는 일이 일어났다. 한유는 그를 위한 묘지명을 쓰면서 이간이 죽은 이유를 무분별한 약물 복용에서 찾았다."(이간이) 방사(方士)인 유비(柳泌)를 만나 그에게서 금단(金丹·장생불사의 영약)의 약법(藥法)을 받아 복용했다가 자주 혈변(血便)을 보았다. 지난 4년 동안 병세가 날로 악화하더니 중태에 빠져 죽었다. (중략)금단의 복식(服食.복용)이 언제 시작됐는지 확실치는 않지만, 그 복식이 무수한 사람.. 2025. 9. 8.
한국 터키탕, 그 직접 조상 오스만 함맘은 어떤 곳인가? 무슬림 의례와 공동체 생활 속 터키식 함맘hammām by 샤르자 대학교 University of Sharjah 터키식 함맘hammām은 단순한 신체 정화의 장소가 아니라, 무슬림 사회의 공공 및 종교 생활에 깊이 뿌리내린 제도다. 주로 목욕과 휴식을 위한 장소로 사용한 고대 그리스-로마 목욕탕과는 달리, 터키의 공중목욕탕, 즉 함맘은 역사적으로 무슬림 세계에서 정신적, 공동체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샤르자 대학교University of Sharjah 이슬람 역사 및 문명 교수이자 샤르자 국제 이슬람 및 아랍 과학 역사 재단 Sharjah International Foundation for the History of Muslim and Arab Sciences (SIFHAMS) 이사인 메수트 이드리즈Mes.. 2025.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