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97

일본 잃어버린 30년과 많이 닮은 한국 필자가 일본에 처음 갔을 때과 그 다음 방문 때너무 달라져 있었던 것에 의아했던 기억이 있다. 처음 방문 때는 일본의 버블 말기였는데일본의 자신감이 하늘을 찔렀다. 끝도 없는 일뽕에 국가경쟁력도 매우 우수했고, 그런데 그로부터 불과 몇 년 지나고 방문하니너무 상황이 달라져 있었는데 그 분위기가 지금까지 30년을 지속하고 있다는 말이다. 요즘 우리나라 보면 일본의 잃어버린 30년 초기와 매우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이렇게 30년을 계속 하강한다면 필자의 경우 지금부터 죽을 때까지 내리막만 본다는 것인데, 하긴 일본도 그 시대 버블 전성기를 목격한 세대가 지금 죽을 때까지 내리 내리막만 목격하고 있으니, 그쪽 전공투세대가 바로 필자의 세대인 셈이다. 도대체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이런 저런.. 2025. 9. 21.
창녕 비봉리 유적이 똥덩어리를 출토한 그날 (편집자주) 코프럴라이트coprolite, 곧 분석糞石 똥덩이 대변 이야기 나온 김에 한국 고고학에서는 그 신기원을 이룩한 데가 창녕 비봉리 유적이라, 당시 이 소식을 전한 2005년 내 기사를 전재한다. 한반도 최고(最古) 동물그림 발견(종합)2005-06-17 23:00최초 신석기시대 배설물(糞石)도 출토창녕 부곡 비봉리 신석기시대 유적서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한반도에서 지금껏 확인된 그림 중에서 가장 오래된 유물이 확인됐다.또 한반도 최초로 처음으로 배설물 덩이인 분석(糞石)와 칼 모양 목기(검형목기)와 다른 목기(木器)가 같은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밝혀졌다.국립김해박물관(관장 김정완)은 경남 창녕군 의뢰로 2004년 11월 30일 이후 창녕군 부곡면 비봉리에서 확인된 신석기시대 저.. 2025. 9. 21.
호주에서 1,700만년 전 대형 멸종 명금류鳴禽類 화석 호주 부드자물라 국립공원Boodjamulla National Park에서 현재는 멸종된 대형 조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퀸즐랜드 환경·관광·과학·혁신부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Tourism, Science and Innovation 9월 17일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상에 서식하는 이 종, 곧 Menura tyawanoides는 호주 토종 금조lyrebird의 고대 조상이다. 야생동물 전문가들에 따르면 금조는 "전기톱, 경적, 경보음, 기차 소리"까지 거의 모든 소리를 흉내 낼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지녔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흉내 능력이 금조가 자신의 영역을 소리로 확립하고 "다른 금조로부터 영역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 메누라 티아와노이데스Menura t.. 2025. 9. 21.
[독설고고학] 박박 문지르는 세척, 그리고 똥덩이 앞서 신동훈 교수께서 분석, 곧 똥덩이 이야기를 하신지라 이 문제를 포함한 한국 고고학 발굴 심각성을 짚기로 한다.간단히 말해 분석이 나오지 않은 것이 아니라(물론 창녕 비봉리 유적 같은 데서 극히 드물게 찾기도 했지만) 널려 있는 데도 몰라서 수집하지 못한 것이다. 모르니 다 버린 것이다. 또 이런 말하기 싫지만 이건 명백히 문과대 고고학의 한계다. 이 문과대 고고학은 물론 예외가 있기도 하지만 유물은 거개 수습하자마자 아주 깨끗이 씻어버리고는 그 일이 아주 자랑스런 일인양 우리 이리 고생한다는 이미지 메이킹을 하는데 이런 모습 볼 때마다 나는 기가 막힌다. 이는 역사 인멸 행위다. 왜 이런 현상들이 빚어지는가? 발굴현장을 돌아다니며 한국고고학도를 만나 보면 하나 같이 발굴 하나 만큼은 우리가 세.. 2025. 9. 21.
화석화한 대변, 왜 중요한가? 화석화한 대변을 일본에서는 분석糞石이라 부른다. 한국 학계에서도 이를 받아서 똑같이 부르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다. (편집자주 : 한국고고학 또한 이를 수입해 그리 부른다.)영어로는 코프럴라이트coprolite라 한다. 화석화했다고 하지만 실제로 coprolite를 보면돌덩이는 아니다. 아주 딱딱해져 있어서 그렇지 fossilized feces라는 표현에는 좀 어폐가 있다. 돌과 다르기 때문에 이를 분해하는 용액을 처리하면부드러워져서 여러 가지 과학적 검사가 가능해진다. 화석화한 대변, 하니 엄청나 보이지만 발굴 현장을 조금만 주의 깊게 보면 찾을 수 있다. 미국 Four Corners처럼 일년 사시사철 햇볕이 내리쬐는 사막이나 다름 없는 곳에서도coprolite는 잘만 찾아 연구들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지.. 2025. 9. 21.
잃어버린 항구 발견, 클레오파트라 무덤에 한 걸음 더 다가가 https://youtu.be/0LNyzwtz5qQ 수중 고고학도들이 이집트 북부 해안에서 거대한 수몰 항구 잔해를 발굴했다.이는 역사상 가장 오래된 미스터리 중 하나인 클레오파트라 여왕의 마지막 안식처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이 발견은 알렉산드리아에서 서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고대 사원 단지인 타포시리스 마그나Taposiris Magna 근처에서 발견되었다.이곳은 일부 학자들이 오랫동안 이집트 마지막 파라오와 관련이 있다고 여겼다. 지중해 수심 약 12미터(40피트) 깊이에 위치한 이 고대 항구는 6미터가 넘는 높이 석조 건물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짝이는 바닥, 기둥, 시멘트 블록, 닻, 그리고 곳곳에 흩어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 암포라들이 있다.이전에 타포시리스 마그나와 연결된 .. 2025.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