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매머드 화석, 그 쏜살로 달린 10년 이 털매머드 뼈 기증에 얽힌 일화는 내가 몇 번에 나누어 정리한 적 있거니와 오늘 천연기념물센터에서 임종덕 과장한테 들으니 벌써 기증 10년이라 한다. 기증자인 박희원 회장은 기증 이후 매년 한 번 이상 꼭 들리신다 하는데 나랑은 계속 길이 엇갈려 기증 이후엔 한 번도 뵙지 못하고 있다. 기증이라는 그의 결단이 있었기에 우리도 그럴 듯한 매머드 온전한 양태 비슷한 실물 화석 자료를 구비하게 되었다. 이 기증은 여타 문화재 기증과는 그런 까닭에 그 의미가 남다르다. 저리 우뚝 선 매머드 보면 감회가 없을 수 없다. 2024. 5. 24.
병마용갱에 물감을 입히면 저 유명한 진시황제릉 병마용갱 사람이나 말 인형들을 보면 언뜻 무색무취하지만, 자세히 살피면 채색이 확인된다. 2천 년이 넘는 장구한 시간이 흐르면서 이른바 박락이 일어나 물감이 벗겨져 아무 색칠도 하지 않았으리라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그렇지는 않았다. 저 무덤이 들어설 당시 병마용갱 인형들이 아래와 같았을 것이라는 그림은 물론 상상도다. 하지만 채색이 들어간 것만은 분명하니 저와 엇비슷한 모습이었음에는 틀림없다. 현재에 이끌려 그것이 과거라 생각하면 안 된다. 2024. 5. 24.
군대라는 폭력으로 지탱한 로마 제국 서기 2세기 무렵 Map of the Legions of the Roman Empire, 곧 로마의 지방 행정구역이라 하는데 유의할 점은 이 지방행정 구역이 실은 철저히 군단 중심으로 편제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로마가 팽창 과정에서 문화를 달리하는 지역을 폭력으로 정복 지배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필연적인 편제라 하겠다. 이 군단을 legion 이라 하거니와, 그 뿌리가 되는 라틴어가 레지오 legiō라, 이는 현대 군사용어에도 legion이라는 말로 살아있다.이 레지오는 로마 군대 조직 중 최상위 단위로 로마 시민 Roman citizens 으로 구성되었다. 공화정에서는 보병 4,200명과 기병 300명이었다. 그 기간인 기원전 107년 이른바 마리안 개혁 Marian reforms 이후 각 군단은 5.. 2024. 5. 24.
단양丹陽이라는 말, 적성赤城이라는 말, 그에 숨은 비밀 석회암 동굴 중에서 울진 성류굴처럼 신라시대 문자 자료가 잔뜩 나올 가장 가능성이 큰 곳은 단양이다. 왜인가? 이 단양을 진흥왕 시대에 이르기를 적성赤城이라 했다. 赤城이란 무엇인가? 신선들이 사는 궁전이 바로 적성이다. 지금 이름이 왜 단양丹陽이겠는가? 단양과 적성 같은 말이다. 丹을 아십니까? 동굴을 알아야 하고 신선을 알아야 하며, 그 신선됨을 궁극하는 수도 목표로 삼는 도교를 알아야 하는 이유다. 왜 성류굴 말고도 구석기로 유명한 제천 점말동굴에 신라시대 각자가 있겠는가? 왜 동굴인가? 왜 현무암 동굴인가? 종유석이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져 불로장생하고 신선이 되는 약물로 간주된 약물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하시라도 잊어서는 안 된다. *** 2019년 5월 24일 글을 보강한다. 2024. 5. 24.
로마서도 쓴 임시다리 부교浮橋 로마시대에도 강은 이런 방식으로 건너기도 한 모양이라 다른 점이라면 저짝에선 이미 그 시절에 시멘트 공구리 쳐서 상시로 수압을 견디는 석교를 건설한데 견즌어 이짝 조선 땅엔 근대 이전엔 그런 기술도 없어 걸핏하면 민간 어부들 고기잡이 어선 동원해 저와 같은 부교浮橋를 만들어야 했다는 사실이다. 시멘트 공구리 앞세운 압도하는 힘에 동아시아는 맥없이 주저앉고 말았다. 그 유일한 예외가 일본이다. 잽싸게 갈아타고선 근대화에 박차를 가했다. 그 종말이 침략제국주의라서 그렇지 저 일본의 재빠른 변신은 인류사 대서특필할 사건이다. 2024. 5. 24.
다른 생산방식은 다른 정치체를 낳는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을 보면, 왜에 대한 기술에서 눈에 띄는 것이 이것을 정치적 성장이라고 보아도 되겠고,뭐라고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본열도에서 보이는 상당한 수준의 정치적 통일이다. 필자가 보기엔 이는 야요이시대 이래 일본열도가 공유한 집적화한 도작 농경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한다. 반면에 한반도의 경우 물론 상당한 정치적 통합과 성장을 이루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지만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와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눈에 들어온다. 필자가 보기엔 이렇게 보이는 것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은 한국사의 배경이 되는 지역에서 보이는 각 지역별 농업생산의 차이에서 기인한 바도 있다고 생각한다. 한반도 북부에서 성립한 위만조선과 한 군현은 그 지역 농업생산 방식에 비슷.. 2024.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