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55

삼국지 동이전의 "稻"와 도작중심의 사회 삼국지 동이전에는 벼를 뜻하는 稻가 딱 두 군데 나온다. 어디인가 하면 바로 변진과 왜이다. 변진: 土地肥美, 宜種五穀及稻, 曉蠶桑, 作 布, 乘駕牛馬.왜: 種禾稻·紵麻, 蠶桑·緝績, 出細紵· . 흔히 삼국지 동이전에 나오는 "오곡"에 벼가 포함되는가 아닌가 하는 것으로 설왕설래하는 모습을 보는데, 삼국지 동이전에서는 오곡과 벼를 구분해 썼다. 위에 변진조 문구를 보면 알 것이다. 宜種五穀及稻한반도 북부의 여러 나라에는 오곡은 있지만 벼=도는 기록에 없다. 부여: 土地宜五穀옥저:  其土地肥美, 背山向海, 宜五穀, 善田種. 읍루: 有五穀·牛·馬·麻布.여기서 말하는 "오곡"이란 곧 우리의 잡곡을 말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물론 벼 재배가 변진과 왜에서만 있었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특히 한반도 서북부 평양일.. 2024. 5. 22.
공구리의 등장과 함께 물은 통제되기 시작했다 이 공구리가 초래한 혁명을 여러 번 간헐로 지적했지만, 내 경험에 따라 다시금 이 공구리가 얼마나 대단한 혁명인가를 각인하고자 한다. 내가 자꾸 이 얘기를 하는 까닭은 내가 고고학 개설 집필을 생각 중이며 그 시작은 모름지지 바로 저 공구리 혁명과 그것을 기반을 삼은 아파트 혁명으로 시작하려 하기 때문이다. 공구리와 아파트, 그리고 그것을 지탱한 또 다른 힘, 곧 철근이 결합한 철근콘크리트는 인류문화사에서 물을 피해 강믈 범람을 피해 줄행랑을 거듭한 인류가 비로소 물을 정복할 수도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었고 이런 자신감은 마침내 인류 출현 이래 인류가 동굴로, 언덕으로 도망치기에 바빴던 인류를 비로소 평야지대로 내려온 발판이었다. 평야 혹은 평지로 내려오면서 그 터전인 농경지도 같이 내려왔다. 물 없이는.. 2024. 5. 22.
껴안고 묻힌 북위 커플 1천600여 년 전 북위(386-534)로 거슬러 올라가 연인 한 쌍이 서로 껴안은 모습으로 묻힌 무덤에 대한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됐다고. (최근이라 하지만 2021년의 일이다.) 이 무덤은 2020년 중국 산시성 Shaanxi province 다퉁시 Datong city 에서 발굴됐다.연구자들은 이 커플이 서로의 허리에 팔을 감고 있는 상태로 위치해 있고 그 여성 얼굴이 그 남자 어깨에 눌려 있는 것을 발견했다.어찌된 일일까?분명 남자 골격은 그의 오른팔에 치유되지 않은 부상 징후를 보여준다. 이 여성은 다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연구원들은 여자가 그와 함께 묻히기 위해 그 남자가 죽은 후 자살했을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이른바 순사殉死다.순사라 해도 강요된 윤리일 수도 있다.순장殉葬이라 해서 부인을 .. 2024. 5. 22.
황소를 잡아먹으려는 사자를 도안한 리디아 황금 주화 세계 최초의 진정한 금화라 해서 소개하는데 사연인즉슨 이렇다. 일렉트럼 electrum 을 순은과 금으로 분리하는 정제 과정을 개척한 크로이소스 Croesus 왕 치하 리디아인들 Lydians 은 기원전 550년 무렵 혁명적인 바이메탈 주화 시스템 bimetallic coinage system 을 도입한다. 저 사진 금색 크로이소스 스테이터 stater 는 그에 해당하는 은색 스테이터 10개와 같은 가치를 지녔다. 교환 비율이 그랬다는 뜻이다. 저 금화 하나랑 다른 은화 10개를 같은 값으로 쳤단 말이다. 금과 은으로 만든 주화니 액면가와 실제 가격이 대략 일치했으리라 보면 되겠다. 한데 황소를 마주보며 포효하는 사자를 묘사한 저 도안이 흥미롭다. 도대체 뭘까? 아마도 그리스 최고신 제우스를 상징하는 황.. 2024. 5. 22.
비파형동검은 이란에서? 청동단검이란 서부,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2600년경.보스턴 미술관 소장Bronze daggerWestern Iran, Early Dynastic Periodabout 2600 BCE.Now at Museum of Fine Arts, Boston루리스탄 Luristan 언덕에서 발견된 이 단검은 우르 Ur 왕실 묘지에서 발굴한 단검과 거의 동일하다.음..비파형동검이 지금 보니 이란에서 왔군. 루리스탄 청동단검과 그 문화에 대해서는 아래 참조  이란고원 루리스탄 청동기물 Luristan bronzes 속 청동 단검 2024. 5. 22.
'근대 일제'를 몰아낸 참상에서 자란 독버섯들 김제 벽골제가 농경지 농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제방인가, 아니면 바닷물 침수를 제어하기 위한 수갑水閘, 곧 dock인가 하는 논쟁이 대대적으로 붙은 적이 있었다. 내 기억에 후자를 제기한 이는 일본인 고고학도 아니면 농업고고학도였을 것이며 그에다가 제대로 불을 붙인 이는 한국에서 농업경제학도 이영훈이었다. 이 논쟁은 선후관계는 내가 지금 기억에 의존하는 까닭에 자신이 없는데 느닷없는 만경평야 논쟁으로 발전해 다시 이영훈은 느닷없이 소설가 조정래를 끌어들여 두 사람이 대판 맞붙은 일대 논쟁으로 비화했다. 이 벽골제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만경평야 문제도 결단 나니 그 논쟁이 그만큼 치열할 수밖에 없었으니, 나는 이 논쟁이야말로 21세기에 벌어진 제대로 된 논쟁 중 하나로 본다. 물론 양측은 감정싸움으로 발.. 2024. 5.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