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85 바이킹이 떡대? 그들은 리오넬 메시였다 바이킹들은 정말 키가 얼마나 컸을까? 바이킹이 거대한 거인이었다는 이 모든 생각을 정리해 보자. 주로 할리우드 이야기일뿐이다. 진실은 실제 뼈를 봐야 한다.1. 바이킹 키에 대한 실제 통계고고학자들이 바이킹 매장지를 발굴하고 대퇴골을 측정했을 때, 700년대 후반부터 1100년까지 바이킹 시대 북유럽 남성 평균 키는 약 170cm였다. 북유럽 여성 평균 키는 약 157cm였다. 당시 기준으로는 건강하고 강했지만, 군중을 압도하는 키는 아니었다. 참고로, 영국의 이웃인 앵글로색슨족 평균 키는 약 170cm로 그다지 작지 않았다. 바이킹족은 생선, 육류, 유제품을 많이 섭취했기 때문에 키가 약간 더 컸을지 모르지만, 실제 차이는 없었다.2. 노르만족은 어땠을까?노르망디에 정착한 노르만족Normans은 롤로의.. 2025. 4. 26. 헤드 스트랩 head strap, 혹은 텀플라인tumpline, 그리고 고인류학 지금 다루고자 하는 이야기 핵심 소재가 헤드 스트랩 head strap, 곧 글자 그대로는 머리 끈 정도로 번역되는데, 이걸 부르는 전문용어가 따로 있는 모양이라 텀플라인tumpline이라 하는 모양이다. 그렇다면 텀플라인이란 무엇인가? 그림 혹은 사진으로 그 실체 혹은 의문을 풀어본다. 언뜻 우리네 농촌에서 얼마전까지 흔한 지게로 둥구리를 져 나르는 장면 아닌가 하겠지만, 울러맨 것은 바구니라, 그 바구니 안에 장작감 나무를 잔뜩 넣고는 매고 하는데 아지메다. 한데 어깨에 짊어진 것이 아니라 저 무거운 짐을 오로지 이마에 까지 걸친 머리 끈 하나로 의지하고 간다. 저렇게 오래 생활하면? 볼짝없다. 목디스크 오고 난리난다. 골병 든다는 말 있는데 딱 안성맞춤이다. 셀파 같은 사람들이 험준한 산길을 .. 2025. 4. 26. 조선, 연구자는 단 한 명도 없던 동아시아의 이단아 신동훈 선생도 계속 비슷한 말씀하시는데 근대 이전 조선에는 학문 혹은 연구라 할 만한 흔적 자체가 없었다.이 점이 같은 동아시아 권역 문화권 중에 조선의 이단적 측면인데 서구식 근대 학문을 만나기 전에도 중국이나 일본에는 끊임없는 의심과 그 해결을 위해 매진하는 움직임이 부단했다.한데 조선은 그런 의심 분석 연구 자체가 아예 없다. 모조리 프라퍼갠더라 학문이라 하지만 실은 이해를 위한 정리밖에 없었으니 조금 예외가 될 만한 이가 김정희 금석학 정도가 있을 뿐이었으니 다산?다산 뭐가 연구자란 말인가? 세상 쓸데없는 이야기만 줏어보아 자고로 인간이라면 위정자는 이러해야 한다는 훈시밖에 하지 않았다.강역고니 뭐니 그럴 듯해 보이나 아해들 장난 같아 몇개 찾다 말았으니 단물만 쪽 빨아먹고 이내 버린 껌과 같았다.. 2025. 4. 26. 베네치아, 절박이 만든 도시 베네치아는 단단한 땅 위에 선 것이 아니라 해저에 박은 수백만 그루가 넘는 나무가 버팀하는 도시다.서기 421년 이래 이 떠다니는 도시는 시간과 공학의 법칙을 무시했다.다른 도시들이 바위나 콘크리트 위에 서 있는 반면, 베네치아는 소금물에 잠긴 나무 통나무 위에 있다.나무는 진흙에 묻고 소금에 쩔면약해지지 않고 석화petrified한다수세기가 지나면서 굳어지고, 거의 돌처럼 지지력이 강해진다.이 고대 경이로움이 여전히 마을 전체를 지탱하고 있다.산 마르코스 종탑 San Marcos Bell Tower에는 10만이 넘는 이 나무 파일럿이 박혀 있다.장엄한 바실리카 델라 살루테Basilica della Salute는 백만 주 이상 나무기둥이 필요했다.모든 말목은 인력으로 박았고, 0.5미터마다 간격을 두었으.. 2025. 4. 26. England vs. Great Britain vs. UK, 그 여러 영국들 흔히 우리가 영국英國이라 부르는 정치체 혹은 지역연합체는 여러 층위가 있다. 나아가 발화자가 그 내부이냐 외부냐에 따라 왕청나게 다르다. 본래 영국英國이라는 말은 잉글랜드England를 음차 의역한 것이다. 동아시아 번역사에서 보면 음차냐 혹은 의역이냐는 대개 무 자르듯이 확연히 갈라지지만 이 경우는 그렇지 아니해서 Eng는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상대방을 존중한다는 뜻이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암튼 꽃부리 英자를 썼고, 그 아래 land는 國이라 해서 의역해 버렸다. 영국이라는 번역어는 그래서 좀 독특하다. 이런 짬뽕은 사실 국가나 인명 같은 고유명사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우리가 잘 아는 브리티시 뮤지엄..거기엔 브리티시 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다.서튼후 헬멧 꼴랑 하나 갖다 놓았지만 것도 잉글랜드라는 개념도 .. 2025. 4. 26. 모양 기능별로 농군 그리스 로마 그릇들 좀 더 해상도 좋은 도판 구할 때까지 임시방편이라 여겨 주셨으면 싶다. 유럽 어느 박물관이나 가도 발길에 채는 고대 그리스 로마 그릇들이라, 기형에 따라 실로 다양한 명칭이 있다. 실생활 용품이거나 그에서 발달한 고급 도기인 까닭이다. 아마도 독자분들은 저 중에서 암포라 정도가 익숙할 터이고 나 역시 마찬가지다. 그냥 다 암포라라 해 버리고 말지만, 구분할 필요가 있다. 흔히 다음과 같은 부류들이 있다. 암포라Amphora 두 개 손잡이와 타원형 몸체다. 와인, 물, 올리브 오일 등을 담는 용기로 썼니다.펠리케Pelike 두 개 손잡이가 달린 큰 항아리로, 암포라와 같은 용도로 사용했다.스탐노스Stamnos 손잡이 두 개 달린 큰 항아리로, 암포라와 같은 용도로 사용했다.히드리아Hydria 샘에서 집.. 2025. 4. 26. 이전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33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