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21

유학으로 다시 도망간 선무군관選武軍官 학계 이야기를 보면 선무군관은 양인 중 잘 사는 사람들 사이에서 추려낸 것으로 되어 있지만, 호적을 보면 글쎄올씨다다. 왜냐하면 선무군관으로 직역을 받은 사람들 선계를 따라 올라가면 대부분 유학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가 18세기 중엽이므로 (균역법 시행 당시) 18세기 중엽 이전에 유학이라면 아무리 양반 끝자락이라한들 이들이 최소한 스스로를 평민으로 의식하고 있었는가 하면 천만의 말씀일 것으로 본다. 이들은 유학을 어거지로 붙이면서 양반 끝머리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을망정 스스로를 평민이라고 생각했을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이들 선무군관들은 균역법이 시행되면서 이전까지 부담하지 않던 군포 1필을 부담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불만이 없을 수 없으니 당시 정부에서는이들에게 군관이라는 직역명도 붙여주고 비록 형.. 2025. 8. 29.
밍기적대다 결정적인 한 방을 놓친 정조, 삼정 문란을 부르다 물론 호적이란 게 동네마다 달라 일반화하기 이른지 모르겠지만, 균역법 시행후 일반 백성들에게서는 군포 1필을 줄이는 대신 이 모자란 군필을 원래는 양반들에게 부과하는 것이 당초의 계획이었을 것이다. 영조의 균역법은 이 모자란 군액을 수포군관收布軍官, 혹은 선무군관選武軍官이라는 이름으로 원래 군포軍布를 부과하지 않던 이들에게 새로 부과하면서 충당했는데 이들은 양반의 아래 끄트머리, 중인, 부유한 상민층에 해당했다. 문제는 위로 양반들의 면역자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여전히 면세특권이 남아 있었으므로 시간이 흐를수록다시 양반 면세 특권을 향해 사람들이 질주하리라는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었다. 이 시점이 대략 정조연간에 해당한다. 이 정조연간에 양반들에게 군포를 부과하고 서얼 허통이 되어버렸으면 19세기 조선의 .. 2025. 8. 29.
느닷없이 얻어터진 유포遊布, 미래를 호시虎視하다 조선후기에는 이른바 저 유포遊布라는 존재가 있다. 쉽게 말해서 한유자閑遊者, 곧 한가롭게 놀고 먹는자에게 군역軍役을 부과해서 포를 걷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양반의 최하말단으로 호적에는 유학을 업무로 삼는다 해서 업유業儒, 무관을 업으로 삼는다 해서 업무業武, 그리고 균역법均役法 시행 시기에는 이른바 선무군관選武軍官, 수포군관收布軍官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사람들이다. 호적에는 드물지만 사료에 교생[校生 아닌가?]이라 하는 사람들도 여기 들어간다. 이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호적을 따라 내려오다 보면아주 반복무상하다. 어떤 때는 유학을 칭하다가 업유나 업무를 칭하다가균역법이 시행된 직후에는 선무군관이 되기도 한다. 균역법 이전에는 교생이나 업유, 업무라 하여 양반의 말단으로 군역을 원.. 2025. 8. 29.
미워하며 산다는 것, 저주를 퍼붓는 사람 로마 시대 이 바스 저주판Bath curse tablet은 그런 류 130점 중 하나로, 영국 라틴어British Latin로 빌비아Vilbia라는 여자를 뺏어간 놈과 그녀에게 해를 끼친 자를 저주하는 내용을 잔뜩 새겨 놓았다."빌비아를 내게서 납치한 자는 물처럼 녹아 흐믈흐물해지기기를. 그녀를 그토록 음탕하게 잡아먹은 자는 벙어리가 되기를."저주판은 보통 얇은 납판에다가 새겼으며 땅에 묻거나 물에 던지거나 사원에 보관하는 일이 많았다.또한 사랑의 주문과 연관되기도 했는데, 때로는 대상을 닮은 조각상을 묶고는 못으로 뚫기도 했다.이러한 저주판에는 특히 사랑의 주문에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머리카락이나 옷과 같은 개인 소지품이 포함되기도 했다.저주판에 적힌 많은 글귀가 플루토Pluto나 헤카테Hecate와 .. 2025. 8. 29.
프랑스혁명 대공황 공포는 진짜로 바이러스 감염처럼 번졌다 귀족들이 농민들을 굶겨 죽이려 한다는 괴소문 삽시간에 퍼져 프랑스 '1789년 대공황' 지도는 잘못된 정보가 바이러스처럼 확산되는 방식을 보여준다by Krystal Kasal, Phys.org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등장 이후, 사회는 아이디어와 정보(또는 잘못된 정보)의 빠른 확산을 의미하는 "바이랠리티virality"라는 개념을 익히 알게 되었다.비교적 최근 발생한 COVID-19 팬데믹은 현대 사회에 바이러스가 얼마나 빠르게 확산되고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시 한 번 일깨웠다. 정보가 바이러스처럼 확산된다는 개념은 단순한 비유가 아니다. 정보의 바이럴리티는 실제 바이러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과학적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허위 정보의 "바이러스성 유행 viral out.. 2025. 8. 29.
탄소연대로 밝혀낸 예루살렘 실로암 댐 건설은 기원전 800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예루살렘의 실로암 댐Siloam Dam은 기원전 800년에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by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2,800여 년 전, 철기 시대 예루살렘 주민들은 수년간의 가뭄과 갑작스러운 홍수로 점철된 기후 변화에 직면했다.여호아스Jehoash 왕이나 그의 후계자 아마샤Amaziah가 이끈 것으로 추정되는 유다Judah 통치 세력은 예측 불가능한 기상 조건과 물 부족에 대한 대규모 공학적 해결책을 제시했다.도시의 주요 수원인 기혼 샘을 보강하고, 빗물을 모으는 인공 저수지인 실로암 못으로 물을 흘려보내는 것이었다.이 저수지는 기념비적인 실로암 댐 건설로 조성되었다.이 이야기는 이스라엘 유물청(Is.. 2025.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