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51 경악스런 신석기 습지 통나무 포장도로 무슨 농경 유적 아닌가 하겠지만 꼭 엇나갔다 할 수는 없는 것이 놀랍게도 신석기시대 포장도로인 까닭이다.그때 시멘트나 아스팔트가 나올 수는 없으니 또 저곳은 물이 나는 습지라 나무를 깔아 포장재로 썼다.네덜란드 드렌테Drenthe 주 에먼Emmen 이라는 도시 인근 뉴도르드레흐트Nieuw-Dordrecht 라는 마을에서 1980년대에 집중적으로 발굴된 신석기시대 나무 습지 도로[wooden peat road].이 발굴은 이미 아래 글에서 우리가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했다.네덜란드 습지가 토해낸 신석기 나무고속도로저 사진은 당시 소개하지 못했는데 지금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랑 비교해도 손색 없다.당시는 논문 중심으로 정리했으니 요약 삼아 한층 일목요연하게 추린다.네덜란드 Nieuw-Dordrecht 근처 신석기.. 2025. 2. 17. 직필直筆의 끝은 처참한 인간본성 흔히 언론을 향해 직필하라는 요청이 빗발친다. 진실을 알고 싶다 아우성이다. 이조차 요새는 당파성이 아주 강해서 그 의미는 내가 보건대 심각히 변질해서 내가 보고 싶고 내가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하라는 강요 윽박에 다름 아니지만, 그런 당파성이 상대적으로 옅을 때도 그네가 말하는 진실 혹은 팩트는 있을 수 없다. 직필 혹은 철저한 팩트 기술이 가능할 거라 보는가? 전제 자체가 틀려먹은 형용모순인 까닭에 영원히 그런 일은 있을 수 없다. 오직 내가 보고 싶은 그림만 있을 뿐이며 그 그림은 진실이 아니라 일루션이다. 물론 저 자체 의미를 내가 모를 정도로 바보는 아니다.저에 주린 시대가 있었으니 그런 시대는 아예 그런 일이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은폐되는 일이 비일비지재했다.심지어 그런 일이 초래한 원인은 물론.. 2025. 2. 17. 신라시대 공무원 규모 19세기 조선후기를 살다간 이유원李裕元[1814~1888]이 정리한 수필집 임하필기林下筆記 제12권에는 신라 관원官員의 숫자를 논한 글이 있으니 헌덕왕憲德王 3년(811)에 임금이 비로소 평의전平議殿에 나와서 정사를 들었다. 이때 나라의 관원들이 매달 여섯 번씩 참여하였는데, 문반文班이 710원員이고 무반武班이 540원이었다. 여섯 번 절을 한 다음 춤을 추면서 물러가다가 마루가 끝나는 계단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걸어서 나갔다. 나라 사람들도 지위가 낮은 자가 높은 자를 보면 역시 이와 같이 하였다. 新羅官數 憲德王三年。始御平議殿。聽政。國官月六參。文班七百十員。武班五百四十員。六拜。舞蹈而退。至堂級。乃步。國人卑者見尊者。亦如之。 저것이 어디에 근거한 것인지 언뜻 찾지 못했다. 삼국사기 헌덕왕본기에서는 그 재위 3.. 2025. 2. 17. 마라토너로 순치된 조선인, 그 슬픈 자화상 도로가 없고 그런 까닭에 이용할 마뜩한 교통편도 없어 오로지 발품을 팔아야 하는 전근대 조선인들이 살아남는 방법은 오로지 몸으로 때우기였으니, 이런 민족이 살아남고자 버둥치기 위해서는 죽어나사나 걷거나 달려야 했다. 이른바 줄행랑이 주특기일 수밖에 없으니 조선시대에 마라톤이 있었다면, 요새 에티오피아 같은 아프리카에서 독식하는 마라톤은 조선인이 독식했으리라 본다. 19세기를 살다간 박물학자 이규경李圭景(1788~1863)이 찬술한 방대한 분류식 백과사전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를 보면 이 이야기가 내가 하는 이야기가 거의 그대로 보인다. 그 경사편經史篇5 논사류論史類2 풍속風俗을 보면 아예 소제목 자체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달리는 데 대한 변증설[東人善走辨證說] 이라는 짧은 글 한 편이 있으니 .. 2025. 2. 17. [사금갑射琴匣을 심판한다](보유) 성현이 본 사금갑 지금까지 우리는 사금갑 이야기는 판본이 여러 개임을 봤다. 더욱 간단히 말하면 삼국유사가 유일본이 아님을 확인했다. 사금갑 이야기는 버전이 여러 개였다. 그 일환으로 점필재 김종직(1431~1492)이 말한 사금갑 이야기가 독특함을 이야기했다. 그에서는 왕비와 그의 내연남 내전 분수승이 복주된 이유가 반란, 곧 소지왕을 시해하려 했기 때문임을 지적했다. 한데 내가 빠뜨린 또 하나의 사금갑 이야기가 있다. 그 이전 세대 사가정 서거정 뒤를 이어 성종~연산군 연간 조선 전기 문단의 총수로 군림한 성현成俔(1439~1504) 또한 사금갑 이야기를 남겼으니, 어떤 점에서 그가 말한 사금갑은 다른 사금갑 이야기와 만나며 갈라지는가? 그의 불후한 수필집 용재총화慵齋叢話 권 제2에 보이는 한 토막이다. 신라왕[소지왕.. 2025. 2. 17. 사초史草는 목숨을 건 도박이었다 사초는 간단히 말해 실록을 편찬하는 원재료다. 그런 사초가 초래하는 각종 스캔들은 나라를 말아먹기도 하니, 근자 가장 대표 케이스가 박근혜 시절 청와대 수석을 지낸 안종범 업무수첩이다. 알려지기로 전 57권에 달한다는 이 수첩은 청와대 재직시절 대통령 지시 사항 등을 메모한 것이다. 또 이런 사초류로 이번 계엄 탄핵 정국에 직간접으로 관련된 인사들 메모가 등장하니, 진실성 여부는 차치하고 이것이 바로 사초다. 이 사초는 공문서 성격을 지니기도 하지만, 안종범 수첩이 극명하게 보여주듯이 사적인 비망록 성격이 강해서, 조선시대에도 이걸 개인이 보관했다. 물론 공식으로 제출하는 문건은 따로 있었지만, 이건 세탁을 거친 검열문건이었다. 조선시대 이 사초로 나라를 흔든 사건으로 흔히 김일손에서 초래한 김종직 사건.. 2025. 2. 17. 이전 1 ··· 277 278 279 280 281 282 283 ··· 33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