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70 논문 검색의 회고 (3): 혁명아 앨 고어 당초에 MEDLINE은 원래 전화번호부 만한 INDEX MEDICUS를 보지 않고 간단한 터미널 검색만으로 초록을 확인할 수 있어 이 시스템이 가능해졌을 당시 모두 혁명이라고들 했다. 그런데-. 이 당시까지만 해도 MEDLINE은 공짜가 아니었다. CD는 대학 도서관에 공급되었는데 미국에서 돈을 받고 팔았다. 매년 일정액을 내고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에서도 MEDLNE을 사용했다. 여기서 앨 고어가 나온다. 앨 고어는 아마 미국 부통령 중 가장 유명하고 가장 대단한 업적을 남긴 사람일 것이다. 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평가가 있지만 필자의 전공, 대학에서 연구하는 사람으로 본다면 앨 고어는 혁명아다. 엘 고어는 부통령으로 재직 당시 했던 일중에 여러 가지 중요한 성취를 했는데그 중에서도 필자와 관련하여 가장.. 2025. 4. 27. 논문 검색의 회고 (2): MEDLINE 논문 검색 변천사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터라세세한 부분에서는 오류가 있을 수도 있다는 점 양해 바란다. 아무튼 발행된 논문이 완전히 온라인 상에 숨어버려 사실 의미가 별로 없을 수 있는데 필자가 대학원 학생이던 당시에는 논문 index란 가상의 개념이 아니라 도서관에 있는 index medicus라는 전화번호부 닮은 책, 혹은 도서관에 CD로 비치되어 터미널로 검색가능한 (온라인이 아닌) MEDLINE이 안에 들어 있는 저널들 목록이 index였다. 지금 SCI니 SSCI니 AHCI니 하는 논문 목록 리스트는 (심지어는 우리나라 학진등재지까지도)이제는 수준 있는 학술지 리스트처럼 되어 버렸지만 당초에는 그런 것이 아니라 CD나 단행본 책에 저널 논문이 실리니 만큼매우 제한적인 논문과.. 2025. 4. 27. 논문 검색의 회고 (1) Index Medicus 최근에는 온라인 상에서 논문 원문을 쉽게 구하고, 원문 공개를 안하면 공개적 비난의 대상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젊은 세대에게는 그런 시절도 있었나 싶겠지만, 필자의 대학원 시대는 도서관에서 논문을 찾던 시절에서 메드라인을 검색하는 시대로 넘어가기 직전 단계였다. 필자가 대학원 초년병 때는 대학 도서관 비중이 정말 중요해서 도서관 1층은 단행본, 2층은 국내외 학술지가 빈틈 없이 전시되어 있었다. 필자가 대학원생이던 무렵, 교수님들께서 쪽지에 찾아와야 할 논문을 적어주시면, 필자가 하는 일은 도서관에 가서 학술지에서 해당 부분을 찾아 논문을 복사해 교수님들께 돌려드리는 일이었다. 이 작업이 되어야 기본적으로 연구가 시작될수 있으니, 대학원생 일은 논문 찾기부터 시작하는 것은 당연한 시대였다. 최근에는 병원도.. 2025. 4. 27. 노년의 연구 생산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AI 필자가 보건데, 필자가 대학원 들어올 때와 같은 상황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었다면, 정년과 함께 연구를 접어야 할 것이다. 지금은 그 당시와 많이 다르다. 우선, 연구 성과를 발표할 통로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 필자가 대학원 시절 때만 해도 국제학술지라고 해 봐야 몇 개 되지도 않았다. 특히 그 당시에는 전자투고도 없는지라, 국제학술지 투고를 소포로 했다. 소포 안에는 논문 카피 3부를 출력해서 보내게 되어 있었다. 사진은 도판 3부를 일일히 만들어 레터링을 다해서 보내야 했다. 심사위원 3명에게 보낼 카피를 투고자가 준비해야 했던 탓이다. 이렇게 보내 논문이 채택되면 좋은데 거절이라도 당하면 처음부터 논문 출력, 사진 인화 ( 그당시에는 사진을 인화했다), 레터링 작업을 다시 해야 .. 2025. 4. 27. 그림은 그림일뿐, 그림이라서 간다 유럽 여느 동네에 가도 흔히 마주하는 이런 풍경을 우리는 그림 같다 한다. 그래 그림 맞다. 가서 보면 진짜 좋기도 하다. 하지만 그림은 그림일 뿐이다. 저 그림도 이틀이 지나면 지긋해지기 시작하고 사흘이면 물린다.따분하다. 무료하다. 왜?그림이니깐.신기루가 신기루인 줄 몰라서 찾아가겠는가?신기루인 줄 알면서도 찾아간다. 그림이 그림인 줄 몰라서겠는가?그림인 줄 알기에 갈 뿐이다. 나 역시 하등 예외일 수 없다. 알면서도 간다. 아니 알기에 더 가고자 할지도 모른다. 저기는 이탈리아 그라다라Gradara라 한다는데 난 가 본 적 없다. 더럽기 짝이 없는 가장 아름다운 항구 나폴리https://historylibrary.net/entry/%E3%84%B7-668 더럽기 짝이 없는 가장 아름다운 항구 나폴.. 2025. 4. 27. 생각과 많이 다른 60이후의 연구 패턴 60이후의 연구가 이전과는 다를 것이라 생각은 했지만, 막상 해 보니 더 많이 다르다. 일단 실험실을 버리고 작업해도 연구 실적은 나오고 성과는 계속 나온다. 실험실이 있으나 없으나 별 차이 없는 것 같다. 필자 연구의 상당 부분이 이미 실험실 밖으로 이동한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막상 해 보니 생각과 다르다. 머리속으로 생각한 것과는 달라 60이후 시도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고, 또 생각지도 않았던 방향이 열리기도 한다. 해보지 않고 머리속으로 그리는 인생이란 이래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60이후에도 왕성한 연구를 꿈꾸는 분들은 반드시 퇴직 이전 미리 이전의 연구패턴을 정리하고 새로운 연구패턴을 시도해 보기 바란다. 퇴직 후에 부랴부랴 그때부터 마련하는 연구패턴, 생활 패턴은아무리 평생을 부지런히 살았던.. 2025. 4. 27. 이전 1 ··· 285 286 287 288 289 290 291 ··· 349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