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0 예수님 오신 날은 가장 값싼 날 이번 여행 막바지는 애들이 합류하는 여정이었으니, 방학기간에 맞추어야 했으므로 이 시점이 되었지, 애초 무슨 목적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테네랑 로마를 중심으로 짠 이유는 물론 교양성을 무시하지 못했으니,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를 어느 정도 친숙하지 않고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고, 그 정수라 할 만한 것은 아무래도 이 두 도시에 집중한 까닭이다. 20일 합류한 애들과는 언제 로마로 넘어오느냐가 문제였으니, 25일 성탄절을 기점으로 삼은 이유는 암것도 없어, 이날이 비행기가 가장 쌌기 때문이다. 성탄절이라 해서 가족과 함께하는 그런 문화 때문인지 뭔지는 몰라도, 이날 비행기는 대체로 한산해서 싸다. 그래서 고르다 보니 가장 싼 날로 점찍은 날이 하필 오늘 성탄절이다. 내가 기독신자도 아닌 마당에, 더구나 .. 2024. 12. 26. 로마 입성 첫 날은 성탄 바티칸 성당 아테네서 로마로 들어오며 좀 곡절이 있었으니 바기지 클레임이 어찌된 셈인지 한 시간 넘게 잡아먹었다.그게 아니었던들 좀 편안히 한두 군데 오후 들릴 만 했을 텐데 말이다.성탄절이니 바티칸 야경 보여준다고 애들을 데리고 나왔다.저기가 교황이 똥폼 잡는 데라 하나 다들 와 하고 장단맞춰주니 보람이 없지는 않다.아테네보단 확실히 춥다.생각보다 사람이 많이 몰리지는 않아 돌 만 했다.기념 사진 몇 방 찍어주고 앞으로 나와 테베르 다리 건너면 산탄젤로 배경으로 다시 몇 방 박았다.풍광이 놀라우니 지들이라고 감흥이 없겠는가?좋아라 난리니 이 얼마나 다행인가 싶기는 하다.다만 다들 허기가 져서 식당을 찾아들어가 요기를 했다.여기선 테노미니 근처 호텔 생활을 하게 되므로 나는 이제 육아에서 해방이다.밥 지을 일 없고 .. 2024. 12. 26. 한국사 일세의 영걸 세 군주 한국사 일세의 영걸이라 할 만한 군주로는 셋이 있으니 1. 신라 문무왕 김법민金法敏 2. 고려 성종 왕치王治3. 조선 세종 이도李祹가 그들이라, 김법민한테서는 분노를 배워야 하고 왕치한테서는 배려를 배워야 하며, 이도한테서는 음모를 배워야 한다.행유여력이어든 저들 셋 평전은 손대고 싶다. (2022년 12월 24일) *** 상술한다. 김법민은 백제 고구려를 멸한 뒤 신라까지 직접 통치하려는 당의 음모에 분노하며 떨쳐 일어나 전쟁을 불사했으며, 그렇게 불지른 전쟁에서 마침내 승전을 구가했다. 그의 분노가 아니었던들 한반도는 지금 중국 어느 省 중 하나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왕치는 회복할 수 없는 병이 들자, 회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으레 하는 일반사면을 거부했다.내가 그 카드를 써 먹으면 내 뒤를 이은.. 2024. 12. 25. 함께라서 기대가 큰 로마여행 닷새 정도라 하지만 앞뒤 빼고 나면 나흘 정도 되는 짪은 그리스 맛보기를 뒤로하고 로마로 향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일단 로마 기반으로 삼아 사흘 정도 짬을 내어 피사 피렌체 베네치아를 다녀오고 하루는 나폴리랑 폼페이를 배정했다.짬이 날지 모르겠는데 애들이 파리를 보고 싶다 해서 어찌 될지 모르겠다.에펠탑 모나리자는 보여줘야 할 듯한데 짬이 날지 모르겠다.로마는 초행자들한테는 필수코스라 할 만한 데가 천지고 무엇보다 먹보들인 애들한테는 젤라또 하나로 통할 곳이라 그리스나 아테네보단 나로서는 안내가 수월하다.애들이랑 함께하는 여행,내가 가이드인 여행이라 나로서도 기대가 크다. 2024. 12. 25. 강항은 후지와라 세이카의 스승인가 강항 선생은 임진왜란 당시 피랍되어 일본에 머물면서 후지와라 세이카라는 일본 성리학의 개조를 만나 성리학을 전수해 주었다고 한다. 강항이 성리학을 전해주었다는 것은 우리 쪽 일방적 주장은 아니고, 일본 교과서에도 그렇게 되어 있으니 어느 정도 양국에서 동의하고 있는 바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기 강항이 전한 성리학이라는 것은 소위 말하는 백제시대에 왕인이 천자문을 전했다던가, 백제가 불교를 전했다던가이런 것과는 상황이 다르다. 강항 선생이 일본에서 후지와라 세이카를 만났을 때는 일본에서는 주자학을 모르고 있던 상황이 아니었다. 알 수밖에 없었던 것이 이 시기가 되면 사서의 주가 모두 주자주로 바뀌어 있고 한당고주漢唐古注는 협주로 밀려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2024. 12. 25. 다산의 논어고금주 다산은 성리학 경전에 대한 자기 주를 남겨 소위 다산경학의 토대를 이루었는데필자는 남아있는 다산 경학의 주를 전부 읽지는 않았다. 다만 옛적에 논어 윤독을 할 때 다산의 논어고금주를 옆에 두고 하나씩 축자로 따라가며 본 적이 있는데다산의 논어고금주 하나만을 읽고 그의 경학을 모두 이야기하는 것은 무리라 할 수도 있겠지만독서기를 겸해 아래에 좀 적어둔다. -----------------------먼저 다산 경학에서 주희는 다산이 절대로 직접 까지 않는다.물론 당시 이미 교조화해버린 조선성리학의 풍토에서 주자에 대한 직접 비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지우리는 잘 알기에 일면 이해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그런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다산 경학은 절대로 주자주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필자는 이 부분은 논어고.. 2024. 12. 25. 이전 1 ··· 359 360 361 362 363 364 365 ··· 33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