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293

오천 번을 썼다는 圖書集成[도서집성] 아정雅亭 이덕무李德懋(1741~1793)가 규장각 검서관을 지내던 어느 때 당대 명필 송하松下 조윤형曺允亨(1725~1799)을 찾아가 글자를 써달라 했다. 무슨 글자냐 圖書集成 네 글자다. "어째서?" "대감께서 ’도서집성’만 오천 번 넘게 쓰셨으니, 그 글자는 통달하시지 않았겠나이까?" 저 장정이 정조 시절 그것이라면 제목도 송하 선생 글씨겠지. 그 사위 자하 선생이 거니시던 자하연 골짜기와 멀지 않은 곳에서 보자니 감회가 새롭다. (2015. 10. 31) *** 고금도서집성에 관한 글로 아래를 참조하자. 일본은 벌써 사 갔는데 왜 너흰 지금에야? 일본은 벌써 사 갔는데 왜 너흰 지금에야?일본에 대한 밑도끝도 없는 한민족 우월심은 연원이 매우 깊어, 이것이 결국에는 요즘의 한민족 내셔널리즘으로 귀결.. 2023. 10. 31.
[개한테 물려죽은 spinoff] (2) 551년 전쟁에서 무엇을 읽어낼 것인가? 한강 유역을 누가 차지할지를 두고 신라 고구려 백제 3국이 모두 개입한 551년 전쟁은 흔히 신라와 백제 연합군에 의한 한강 유역 탈취 혹은 수복이란 관점에서 역사가들이 대서특필하기는 하나, 내가 볼 때는 이는 원숭이 궁둥이는 빨갛다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단순한 팩트 서술에 지나지 아니한다. 그것이 못내 쪽팔리다 생각했음인지, 이 한강 쟁탈전에서 궁극의 승리자가 되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룩하는 발판을 마련했니 하는 식으로 의미 부여를 하기도 하나, 이 또한 원숭이 똥도 냄새가 난다는 말만큼이나 무의미하기 짝이 없는 췌언에 지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전쟁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먼저 신라의 관점에서 이 전쟁을 분석한다. 신라가 이 전쟁을 일으킨 시점은 540년에 불과 7세로 즉위한 김진흥金眞興이 재위.. 2023. 10. 30.
이규보가 증언하는 대충대충 토목건설 전집 권24를 보면 "계양桂陽의 초정기草亭記"란 글이 있다. 계양, 곧 인천광역시 계양구와 부평구, 서울 구로구 등지를 합친 지역의 부구청장 격이었던 이규보가 거기 있던 초가지붕 정자 하나를 재건하며 적은 기문記文이다. 그걸 보면 이런 대목이 나온다. 내가 오기 전에 이 정자는 뜻밖에 거문고를 불태우고 학鶴을 굽는 자(필자 주: 풍류라고는 모르는 인간)에게 헐리게 되어 황폐하고 쓸쓸한 옛터만 남았을 따름이었다. 내가 그것을 보고 슬프게 여겨 고을의 아전을 불러 말하기를, “이 정자는 이실충李實忠 태수太守가 창건한 것인데, 무엇이 너희 고을을 해롭게 했기에 감히 헐어버렸더냐. 옛사람은 그 사람됨을 사모하여 감당(甘棠, 아가위나무)을 베지 않은 일이 있었거늘, 너희 고을에서는 감히 정자를 헐었느냐?” 라고 .. 2023. 10. 30.
[개한테 물려죽은 진흥왕의 태자] (3) 고구려를 정벌한 대각찬 구진仇珍 재위 기간이 장장 37년에 이르는 진흥왕에게 재위 12년은 획기를 이루는 해였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540년, 조부인 법흥왕이 죽고 즉위할 적에 그의 나이 불과 7살이라 했거니와, 따라서 재위 12년, 서기 551년은 그로서는 비로소 어머니 지소의 품을 떠나 친정親政을 개시하기에 이른다. 삼국사기 해당 본기에 이르기를 신라가 이해 봄 정월에 연호를 개국開國으로 바꿨다고 하거니와, 이 개국은 바로 진흥왕이 막강 배후권력 지소태후의 수렴청정을 마침내 걷어내고, 신라를 직접 통치하기에 이른 사실을 웅변한다. 개국, 글자 그대로 나라를 새로 열었다는 뜻 아닌가? 친정 체제에 들어섰음을 증명하고자 했음인지, 그 개시와 더불어 진흥이 가장 먼저 한 일이 대외 정벌이었다. 정월을 맞아 할아버지 법흥 이래 죽 사용한 .. 2023. 10. 30.
마왕퇴馬王堆에 미친 나날들 (1) 부의를 말하다 이 THE HERITAGE TRIBUNE 맹렬 필진인 신동훈 교수도 그렇고 나 역시 그렇지만, 마왕퇴 한묘 馬王堆漢墓에 혹닉 중이다. 각자 접근 이유는 다르지만, 이를 연구해야만 한다는 사명감에는 다름이 있을 수 없다. 신 교수 쪽이야 아무래도 미라에 대한 관심에서 촉발했고, 시종 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지만, 사람 욕심이 어디 그런가? 내가 의학적 관점에서 관심을 촉발했다 해도 결국은 인문학 총체라, 결국은 문화사학 전반 영역으로 관심이 확장할 수밖에 없고, 그래야 내가 원하는 정보를 폭넓은 시각에서 캐낼 수 있는 까닭이다. 저 마왕퇴 한묘는 나로서는 첫째 그 발굴 과정과 그것을 둘러싼 정치역학이라는 관점에서 위선 관심을 끌었고, 둘째 그 고고학적 성과 자체가 또한 관심이었으며, 셋째 그에서 출토하는 .. 2023. 10. 30.
흑국黑菊, 검은 국화 유득공의 《고운당필기》 권4에 〈검은 국화〔黑菊〕〉라는 글이 있다. 서울에서 이름난 국화의 종류로는 황학령(黃鶴翎), 백학령(白鶴翎), 홍학령(紅鶴翎) 그리고 금원황(禁苑黃), 취양비(醉楊妃)가 있는데 이를 ‘삼학 금취(三鶴禁醉)’라 한다. 이 밖에 또 오홍(烏紅), 대설백(大雪白), 소설백(小雪白), 통주홍(通州紅) 등 여러 가지 색깔이 있다. 황해도 사람이 이르기를 “장연(長淵)의 대청도(大靑島)에 검은 국화가 있는데 원나라 태자 타환첩목이*가 귀양살이할 때 남긴 종류라고 한다.” 하였다. *타환첩목이(妥懽帖木爾) : 원 혜종(토곤 테무르, 재위 1333~1370)이다. 첩목(帖木)은 ‘貼睦’으로도 표기된다. 그는 문종 지순 원년(1330) 고려 대청도에 와서 살다가 1년 뒤 광서성 정강(靜江)으로 .. 2023.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