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93 왜 독후감 서평은 각 잡고 쓰야 하는가? 꼭 언론서평 같은 공간公刊 형태가 아니라 해도 서평은 sns 시대에 아예 하지 않으면 몰라도 진짜 저역자를 돕고또 무엇보다 그 내용이 알차고 참신하면 되도록이면 형식을 갖추어 쓰야 한다.이젠 시대가 바뀌어 출판사가 책 파는 시대가 아니요 그 홍보 역시 출판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곳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고 또 열심히 하는 데서는 반박도 하겠지만 그 비중 생각보다 크지 않다.이제는 저역자 본인이 발가벗고 내 책 자랑하며 사달라 구걸하는 시대이며 실상 그걸로 책 생명이 결판난다 해도 틀린 말 아니다.신간은 출간 직후 한 달 혹은 두 달 내로 그 생명이 정해지며 실상 이 기간이 젤로 중요해서이 책이 정말 좋고 그래서 다른 사람이 읽어도 좋겠구나 하는 때는 각 잡고 감상문도 좋고 준엄한 논설 형식도 좋으니 쓰야 한.. 2024. 12. 1. 폼페이 빵쪼가리와 신라무덤 상어 내가 한국고고학을 주로 연구방법론과 주제 의식 관련해 틈만 나면 비판하지만또 그에 반발해 한국고고학 또한 그렇지 아니한 접근도 많다는 반론도 있거니와내가 그걸 모를 정도로 바보이거나 그런 새로운 돌파시도가 있음을 알고도 못본 체 할 정도로 벽창호는 아니다.그러면서 그때마다 몹시도 미안한 게 고고학이 처한 현실이 문화권별로 너무 다르고무엇보다 한국고고학은 재료 혹은 자료 확보라는 측면에서 갖은 악조건은 다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우린 빵이고 나발이고 저런 양태로 고대음식이 출현한 적이 없다.고작 음식문화라 해서 복원한 것들 보면 한심하기 짝이 없어 무덤 파제껴 접새기에 남은 잔해 분석이 실상 다다.그걸 고대음식 문화라 하는데 무덤이 아무리 죽은자가 사는 집이요 그 음식 역시 생전의 그것을 반영한다지만 천만에.. 2024. 12. 1. 스모 선수 같은 신석기 대모신大母神 언뜻 보면 딱 스모 선수다.유럽이나 중동 쪽 신석기시대 대모신이라 일컫는 존재는 거의 다 저런 펑퍼짐이다.이는 대리석을 조각한 신석기 시대 여성 의인화 조각이라 터키 차탈회위크 유적이라는 데서 출현했다.대략 만든 시점은기원전 5500-8000년 무렵으로 본다.구석기 시대가 끝나고 개막한 신석기문화가 한창 꽃을 피울 때라 저쪽은 이 시대를 지나면서 급속도로 청동기시대로 진입한다.청동기 사용이 굉장히 빨라서 기원전 4천년 무렵에는 순동을 쓰기 시작하고 금을 제련한다. 2024. 12. 1. 7년이 앗아간 머리카락 숲 7년전 오늘그러니깐 2017년 12월 1일자 사진이라 뜬다.어릴적부터 새치가 많아 백발이야 그렇다 치고 또 지금 몰골이야 면도도 하지 않고 한달 반 헤어컷을 못한 사정을 고려한다 해도그 7년이 정말로 무서운 점이 머리카락을 뽑아갔다는 사실이다.그러고 보면 집안 내력, 곧 유전학을 고려하건대 우리집은 대머리 계통은 분명 아니고백발도 우리집에선 유독 나만 그러하나 큰집은 모조리 백발 계통이라 그러고 보면 내 백발은 할아버지 혹은 증조에서 물린 격세유전임을 알겠다.새치는 중학생 때 생기기 시작해 이것이 몹시도 나한테는 스트레스였으니 이건 아마도 대머리로 맘고생하는 그 마음과 비슷하지 않을까 한다.젊은 시절에야 그 많은 새치는 주기 혹은 비주기로 뽑으며 버텼지만 훗날엔 자포자기해 버리고 또 한때는 염색을 하기도.. 2024. 12. 1. 7년전 오늘 조유전 선생 꼭 7년 전 오늘, 2017년 12월 1일이라 뜨는데그때 무슨 자리였는지 모르나 조유전 이형구 두 선생이 자리를 함께했다.저 장면을 찍어 탑재하며 내가 이르기를두 뇐네가 스맛폰 켜놓곤 뭐라 주고받는데,첫째 스맛폰 작동법을 아는지 모르겠고둘째 작동법을 논의하는지도 모르겠다.한 냥반은 1942, 다른 냥반은 1944년생이다.조유전 선생이 호적상 1942년 1월 1일 생으로 되어 있다.실제 생년월일을 물어도 얼버무린 기억이 있다.1940년 생으로 서울대 고고인류학과 1년 선배 김병모 선생 말로는 당신과 동갑이라 하던데 본인은 아니라 해서 지금도 헷갈린다.같은 마산 출신 신라대 계시던 안? 갑자기 성함이 기억나지 않는다, 암튼 그 분 말로는 당신과 같은 42년생이라 했는데 좀 아리까리하다.조유전 선생이 반년전쯤.. 2024. 12. 1. 김창일을 키운 건 팔할이 조명치다 이 조명치 특별전이 한국문화사에서 차지하는 독특한 위치를 나는 생선 비린내를 과감히 박물관, 것도 국가가 경복궁에 운영하는 국립박물관에 도입한 일을 꼽았거니와조기 명태 멸치를 앞세운 이 전시 기획은 그만큼 문화계를 넘어 한국사회 일각에 잔잔한 파고를 냈다.이 전시 개막일 그 담당 학예연구사는 갯벌 어부들이 작업용으로 걸치는 갓빠 비슷한 복장을 하고 나와 외빈들을 안내했거니와이에 재미를 붙여 관련 언론인터뷰나 중요 안내 때마다 이 복장을 하고 나타났으니이는 곧 전시 또한 연출의 시대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이었다.이 사건이 문화계로 국한해 어떠한 영향력을 미쳤는가 하면 직후 다른 박물관 전시기획자들한테 나는 무슨 옷을 걸치지 라는 고민을 안겨주었다는 사실 하나에서도 확인한다.김창일. 독특한 친구다.내가.. 2024. 12. 1. 이전 1 ··· 397 398 399 400 401 402 403 ··· 334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