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56 writing vs. writing systems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영문 명칭은 보다시피 NATIONAL MUSEUM OF WORLD WRITING SYSTEMS 이다. natiinal과 world가 겹치는 문제가 있었으니 이는 어쩔 도리가 없었다. 국립이냐 아니냐가 세우는 정부 쪽에서도 중요했고 받아들이는 쪽도 나름 민감하게 볼 수도 있는 부분이다. 정작 논란이 좀 심했던 부분이 문자를 어찌 표기할 것이냐였다. 이를 결국은 writing systems라 낙착했는데 나는 systems를 빼자는 의견이었다. 무엇보다 거추장스러워지는 문제도 있었다. 다만 뺄 경우 writing라는 말이 지닌 중의성이 문제였다. 저 말 알다시피 문자라는 뜻도 있으나 글쓰기 전반, 특히 작가 전문박물관으로 비칠 우려가 없지 않았다. 반면 시스템즈가 되면 문자 체계라는 의미가 .. 2024. 10. 7. 구룡산인 김용진의 메시지 구룡산인 김용진(1878-1968)이란 화가가 있었다. 고종대 정승을 지낸 김병국(1825-1905)의 손자로, 시문과 서화에 능한 인물이었다. 그런 그가 작은 편지 한 장을 써서 누군가에게 보냈다. '우석'이란 사람인데, 동시대에 활약했던 '우석'으로는 연극인 박진(1905-1974)과 농학자 이창구(1904-1993) 정조가 있다. 그 둘 중 하나일지, 아니면 다른 사람일지는 모를 일이다. 엎드려 여행이 편안하기를 송축합니다. 오늘 오후 5시에 몸소 찾아주셔서 저와 더불어 회포를 푸시니 조금 위로가 되었습니다. 가거나 머무르는 정을 또한 감히 청하지 못합니다. 예를 갖추어 올리지 못합니다. 제 김용진 머리를 조아립니다. 이 정도로 짤막하면 편지라고 해야 할지 메시지라고 해야 할지, 카톡이라고 해야 할.. 2024. 10. 7. 달맞이가 품은 가을 해돋이 가을이면 어김없는 저 풍경이 나는 좋다. 동산으로 뜬 해가 간밤 이슬 잔뜩 머금은 달맞이꽃 뒤로 스며드는 순간 말이다. 저 경이는 언제나 역광으로 마주해야 제맛이 난다. 이슬은 오래가진 않는다. 다만 하나 이슬 머금은 저 순간만큼은 한바탕 가슴 저 밑을 후벼판다. 살아온 날들에 대한 상념일 수도 있겠고 한탄일 수도 후회일 수도 있으리라. 다만 이때쯤만큼은 그런대로 버틴 나를 위로하고 싶다. 이만큼 견딘 것만으로도 대견하다고 말이다. Bravo my life! 2024. 10. 7. 계관시인 워즈워스, 그리고 발분發憤 책이 없거나 있어도 금전 여력 따위로 엄두가 내기 싫은 시절엔 저것 하나만 해결하면 대작을 쓸 것만 같았다. 다른 일에 시간이 쫓길 적엔 시간만 나면 전무후무한 성과를 낼 것만 같았다. 젊은시절 혁명아였고 절절한 시를 벤딩 머신 찍어내듯 한 윌리엄 워즈워스. 계관시인이 되고 안락의자에 앉자마다 그의 시는 볼품이 없어졌다. 초원의 영광을 부르짖던 시심은 시궁창에 쳐박히고 말았다. 내가 아무리봐도 훌륭한 글은 발분發憤에서 나온다. 똥침맞은 촉급함이 대작을 낸다. (2014년 10월 6일) *** related articles *** 공무원하다 교수질하는 者로 왜 대성한 者가 없는가? 분노가 힘이다, 절망은 구렁텅이다 남의 성공은 아낌없이 박수하되 치욕하라 태사공자서를 읽다가 차기箚記와 발분發憤, 깊은 빡침의.. 2024. 10. 7. [잡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국립세계문자박물관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계우 그 끄터머리에 한 다리 걸친 내 고민? 그게 무에 대수겠냐마는 이를 나로서는 조금은 고민했다는 말을 남겨두고 싶다. 언제인가 이야기한 듯한데, 국립한글박물관이 따로 있고, 먼저 개관을 해서 한창 운영 중인 상황에서, 저 박물관 등단에 표기수단으로서는 한글, 곧 훈민정음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인정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한글의 지나친 침투를 막아야 했으니 그리 되면 자칫 국립한글박물관 아류에 지나지 아니하게 되며, 무엇보다 그리 되면 한글박물관과 차별이 없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와 궤를 같이해서 나로서는 그렇다면 그 자리에 무엇인가를 대타로 밀어넣었어야 했으니, 나 개인으로서는 철저히 한글을 객관화해야 한다는 그런 믿음이 있었다. 이에서 하나 문제.. 2024. 10. 7. [도토리 심판론] (4) 탄닌, 가까이 있다 도토리는 탄닌이라 일컫는 특유한 떫은 성분이 있다. 이걸 그대로 사람이 먹을 수는 없으니 다른 짐승과는 다른 점이다. 이 떫은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한 대표 과실은 실은 도토리가 아니라 감이다. 이 감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홍시를 떠올리겠지만, 이 홍시도 저 익은 정도에 따라 천차만별이라 곶감이라는 게 요물이라, 이건 탄닌 성분 잔뜩 머금은 땡감 상태에서 깎아서 겨울내내 말려 그 성분을 제거한 곶감이 된다. 이 곶감이 언제 등장했는지는 나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이 땅에 감이 등장한 이래 얼마 지나지 않아 나는 우리 조상님들이 그 방식을 알았다고 막연히 본다. 감 사촌 고염 역시 마찬가지였다. 도토리를 채집해서 그 특유한 탄닌 성분을 빼내는 시설이 한반도에서 출현했다 해서 김해 비봉리 신석기시대 유적 발굴 .. 2024. 10. 7. 이전 1 ··· 494 495 496 497 498 499 500 ··· 33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