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56

불구대천不俱戴天한 혜석惠石 조동윤趙東潤(1871~1923) 미술사가 오주석(1956~2005) 선생의 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오주석 선생이 간송미술관에 근무할 때, 채색된 난초 그림을 보았단다. "무슨 난이 이렇게 기름지단 말인가?" 그러다 옆에 붙은 화제를 읽고 고개를 끄덕였단다. 그 주인의 친일 행적 때문에. 그 '기름진 난'을 그린 이가 바로 혜석惠石 조동윤趙東潤(1871~1923)이다. 조동윤은 풍양조씨로, 그 유명한 신정왕후 조대비(1809~1890)가 고모할머니뻘이 된다. 그의 부친 혜인惠人 조영하(趙寧夏, 1845~1884)는 조대비의 5촌 조카로, 흥선대원군(1820~1898)과 친해 고종 등극에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10년 만에 대원군과 척을 지고 그 세력을 몰아내는 데 힘을 보탠다. 그래서 정권이 바뀌었음에도 여전히 출세가도를 달렸다. 하.. 2024. 10. 7.
봉건적 학문의 잔재, 그리고 노벨상 일본 학문의 원형은 분명히 한반도에서, 중국에서 전해진 것이지만, 20세기 이전 동아시아-. 근대적 의미에서의 학자와 학문의 탄생은 에도시대 일본 외에는 없다. 동 시기 조선의 소위 "학자"들은 지금 한국의 근대적 학문 전통으로 이어져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그 "봉건적 학문의 잔재"를 완전히 척결 못하고 온 결과가 바로 아직도 한국 대학을 유령처럼 배회하는 "현실참여에의 강박"이다. 왜 한국의 학자들이 "현실참여에의 강박"을 가지고 끊임없이 정계 진출을 노리다 그 욕망이 충족되면 다시 학교나 학문으로 돌아와 학자 코스프레를 하다가 죽음을 맞는가. 한국의 학자들은 조선 유학자들의 정신적 후예이기 때문이다. 이 잔재가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완전히 척결되었어야 했는데 불행히도 그렇지 못했다. 이 잔.. 2024. 10. 7.
오늘 열 번도 더 들은 말 나이 들어 체중 감량은 여러 모로 불편하다. 그래 요즘 이 상황에서 조금만 속이 더부룩하거나 며칠을 먹어대서 배가 불룩하면 참을 수 없을 만치 고통스럽기는 하다만 이왕 빠질 거라면 조금씩 빠졌으면 싶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회사를 그만 둘 무렵 이미 체중은 평소 그에 견주어 5~6킬로그램이 감량한 상태였으니 그에다 근자에는 연이은 요절복통과 다리 부상 사태 여파인지는 모르지만, 그것이 아니라 해도 그만둘 무렵보다 더 빠졌음을 실감한다. 체중이 60킬로그람대로 내려가고선 저울에 올라가지 않는다. 오늘 어떤 자리 갔다가 열 명도 넘는 사람한테도 같은 말을 들었다. 왜 그리 살이 빠졌냐고. 종래 같으면야 그런 말들에 스스로 기뻐했겠지만 요새 저런 말이 미쁘지는 아니한다. 아테나이 가서 좀 찌우고 와야겠다... 2024. 10. 7.
노벨상 못 받는 이유, 조선시대에서 찾아야 이제는 노벨상 받을 만한 여력이 안 된다 포기해서 그런지 몰라도해마다 있던 수상자 설레발도 없다. 필자도 뭐 연구한다고 한 자락 깔아 놓은 사람으로서 필자가 공부한 분야가 노벨상이 있는 건지 없는 건지 그건 모르겠지만, 어쩄건 대학 밥을 먹는 사람으로서 우리나라 연구가 이 모양 이 꼴인데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없겠다. 한 가지 이제 필자의 대학교수 생활도 저 멀리 종착점이 보이는 마당에 한 마디 하자면,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대학의 연구 풍토 자체가 문제다. 뭐가 문제냐 하는 건 그동안 필자가 여기 가끔 써 두었기 때문에 그게 뭐냐 하는 건 다시 부연할 필요도 없겠고, 정말 문제는, 우리나라가 지금 학문의 발전, 대학의 발전이 지지부진한 이유는사실은 일제시대를 넘어 조선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설명 가능.. 2024. 10. 7.
壯途 봉투 언제까지였는지는 기억에 없다. 내가 기자 초년병 시절엔 분명 이런 전통이 언론계에 있었다. 그때야 해외출장이 매우 드물 때라 언론사마다 사정이 다르기도 했겠지만 거개 비슷해서 아무리 초년병 기자라도 출장 가기 전엔 모름지기 편집국장한테 직접 보고를 하면서 다녀오겠습니다 하면 국장이 모름지기 잘 다녀오라며 빼다지를 열어 백 달러짜리 지폐가 된 봉투를 내밀었으니 그 겉봉엔 모름지기 저와 같은 장도壯途라는 글귀가 있었다. 이걸 보면 저 무렵까지 편집국장은 언제나 백달러짜리 지폐를 넣어둔 봉투를 항용 비치하고 있었다. 나한테 저런 봉투를 준 편집국장 대선배로는 이문호 오철호 국장이 기억에 남는다. 같은 발음 같은 뜻임에도 굳이 道자를 쓰지 않고 상대로 드물게 쓰는 途를 쓰는 이유는 오로지 있어보이기 때문이 아니.. 2024. 10. 7.
파주를 파고든 고맙다는 말, 미안하다는 말 장기 출타가 코앞이라 되도록이면 운신의 폭을 줄이고자 하지만 가을바람 쐬자는 유혹 떨치지 못하고 친구들과 서울 가까운 곳으로 행차했으니 마침 절을 좋아하는 친구가 있어 내가 자주 찾는 서울 인근 곳으로야 수종사와 더불어 매양 보광사를 들거니와, 개중 다들 파주 보광사는 본 적 없다기에 올커니 잘됐다 해서 보광사로 길을 몰았다. 근자 같이 움직이는 멤버는 대학 친구 다섯인데, 꼭 한둘은 빵꾸가 나기 마련이라, 어제도 하나가 피치 못할 사정으로 탈락하고 넷이서 내 차로 움직였다. 보광사만 덜렁 둘러볼 수는 없어 이럴 때마다 내가 매양 파주를 찾는 코스를 찾아들었으니 그 대미는 저 오두산전망대였다. 이 오두산전망대는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라, 한국 두물머리 중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축에 속할 것이다.. 2024. 10.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