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68 [도토리 심판론] (1) 한반도 신석기혁명의 절대지존 한국선사문화, 특히 신석기문화에 관한 글들을 보면 생업경제라는 측면에서 오직 이 하나로 수렴해 오직 이 하나로 끝난다. 그 하나가 무엇인가?놀랍게도 도토리다. 저네들 글을 보면 한반도 신석기인은 오로지 도토리만 주어다가 도토리만 가공해서 오로지 도토리 묵만 해 먹었다. 도토리가 없으면 한반도 신석기문화는 없다!그만큼 도토리는 한반도 선사농경문화 위대한 꽃이요 농경혁명을 주도한 절대지존 언터처블 넘버원이다. 예서 우리는 위대한 결론에 도달한다. 한국 신석기 농경 혁명은 도토리다!이 도토리주의를 해부하고자 한다.한국고고학은 왜 도토리에 혹닉 환장하게 되었는지 그 유래까지 이 참에 폭로하고자 한다. [독설고고학] 토기 타령 집터 타령 도토리 타령, 타령타령타령만 일삼은 암사동 유적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밤[栗.. 2024. 10. 3. 죽천행록, 바다 앞에 발가벗은 사람들 이야기 연전에, 아마도 부산 국립해양박물관 김윤아 아니었나 하는데, 이 죽천행록을 애타게 찾는 전갈이 있었다. 이 책이 분명 나한테는 있었지만, 내 서재를 한 번이라도 본 사람 있다면, 내가 소장한 내 책을 왜 찾을 수 없는지 금방 알리라. 저 책이 있다 하셨는데, 꼭 빌려 달라는 읍소였다. 하지만 나는 찾지 못했다. 서재를 뒤진다 했지만, 이럴 때마다 필요한 책은 안 보이는 그 신이한 법칙이 그때도 작동했다. 저 책이 저자 조규익 선생한테도 없었고 출판사 박이정에도 남아 있지 않다 했다. 그러다 우연히 그제 서재를 뒤지는데 뿔싸 저 책이 보인다. 저 책, 아니 더욱 정확히는 저 책이 다루는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이라는 사람을 비롯한 조선 사신단 행적을 기록한 한글 기행문인 죽천행록竹泉行錄은 2001년 세상에 공.. 2024. 10. 3. 한국의 학문이 삼류인 이유 불퇴전의 의지로 끝장을 보고자 하지 않아서 그렇다.연구라는 것이 선승의 수행과 비슷한 바가 많아 득도하고자 함에 있어화두를 잡으면 끝장을 보겠다는 의지가 결국 성과를 만든다. 필자도 마찬가지겠지만, 한국의 학문이 삼류인 이유-. 불퇴전의 의지가 없어서 그렇다. 학문의 초발심과 함께 연구의 화두를 잡으면 제정신인 한은 이를 놓지 않고 끝까지 추적해 결판을 보겠다는 의지가 있어야하다 못해 뭐라도 결과가 나오는 법이다. 한국의 학문이 삼류인 이유는 연구비가 없어서도 아니고 머리가 나빠서도 아니고 바로 이러한 불퇴전의 의지가 없어서 그렇다. 산스크리트어 아위니와르따니야(avinivartanīya) 또는 아위와르띠까(avivartika) 등을 아비발치(阿毘跋致), 아유월치(阿惟越致) 등으로 음사하고 불퇴전(不退轉.. 2024. 10. 3. 헌팅 나간 아버지 네바문을 기다리는 딸 습지에서 네바문Nebamun이 사냥을 하는 유명한 장면의 이 세부 묘사에는 그가 서 있는 배에 그의 딸이 앉아 있는 모습이 보인다.안타깝게도 이름은 알 수 없는 그의 딸은 젊음을 상징하는 옆머리를 머리에 묶고 있다.딸은 아래 강에서 연꽃을 따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네바문 무덤 벽화는 아래에서 상세히 다룬 적 있다. 고대 이집트의 무희와 여성 뮤지션 파피루스 습지에서 새를 사냥하는 고양이 2024. 10. 2. 대규모 대지 만들고 100년 뒤에 성벽을 만들었다는 언어도단 고고학도 집단! 지금 경주연구소가 한창 파고 있는 지점이다. 저곳이 왜 중요한가? 월성 전 구간에서 지대가 가장 낮기 때문이다. 저곳을 신라가 언제 어찌 처리했는지가 관건이다. 그렇담 저 지점을 팠더니 어떤가? 저네들 오늘자 보도자료 구절이다. 이번에 공개되는 구역은 월성 서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지점으로, 남천南川에 접해 있는 연약지반에 모래층이 퇴적된 지형이다. 발굴조사를 통해, 3세기 전~중엽에 이러한 취약한 대지에 취락을 조성하기 위해 1.5m 높이에 가까운 성토 작업이 행해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성토 재료로는 벼의 겉껍질, 식물 종자, 조개껍질 등이 혼입된 유기물질이 작업 공정별로 달리 사용되었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막대한 인력과 물자가 동원되었을 성토 작업이 성벽 축조보다 100여 년 앞선 시점에 이미 진.. 2024. 10. 2. 세상에서 가장 빠른 황금 공장 불가리아에 위치한 바르나 네크로폴리스 Varna Necropolis는 기원전 4,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황금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바르나박물관Varna Museum에 전시된 이 무덤 공양품들에는 정교하게 만든 보석, 도구, 장식품들이 포함되며, 고대 문명의 고급 장인정신과 문화적 세련미를 보여준다. 유물들은 그들의 매장 관행과 사회 계층에서 금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기원전 사천오백년전 신석기시대에 황금을?놀랍지 않은가?메소포타미아 이집트보다 빠르다.우리 도토리 먹을 때 저들이 저리하고 있었다.지구상 가장 먼저 출현한 금은? 솔니차타Solnitsata, 7천년 전 불가리아의 소금광산 트라키아가 불가리아에 아로 새긴 흔적들 2024. 10. 2. 이전 1 ··· 503 504 505 506 507 508 509 ··· 334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