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91

초점 추린 안휘성 무왕돈묘 중국 전국시대 말, 남방의 패자 초나라를 다스린 고열왕考烈王 무덤으로 확실시되는 안휘성安徽省 회남시淮南市 무왕돈武王墩 1호묘는 보다시피 평원에 봉분을 만든 무덤이다. 주변을 봐도 드넓은 평원이다. 이를 보면 묘역은 환호를 둘렀음을 본다. 주변 배치 양상이 더 확연히 드러난다. 이로써 본다면 경주 분지에 만든 신라 무덤과 비슷한 양상이다. 다만, 신라 무덤은 대체로 평지를 돋우어 그 위에다가 시신을 매장한 데 견주어 이쪽은 봉분을 만들기는 했지마는 땅을 깊이 파고 들어가 그 아래에다가 거대한 묘실墓室을 만들었다는 데서 차이를 보인다. 본래 이 무왕돈묘는 중요한 유적이라 해서 안휘성 문물보호단위로 지정 보호되고 있었다. 보다시피 봉분이 뚜렷하다. 저걸 도굴님들이 건디는 바람에 이번에 대대적인 발.. 2025. 2. 21.
네델란드 박물관 약탈 네번째 용의자 체포 미궁에 빠진 네덜란드 드렌츠박물관 약탈 사건과 관련해 현지 경찰이 네 번째 용의자를 체포했다.보도에 따르면 이 용의자는 옵담Obdam의 히르후고와르Heerhugowaard 출신으로 26세 남성이다. 그는 지난달 25일 토요일 아센Assen의 드렌츠 박물관Drents Museum에서 그곳 대여전시 중이던 고대 루마니아 황금유물 4점을 탈취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이미 다른 용의자 3명을 체포했는데, 모두 아직 구금 중이다. 도난당한 루마니아 보물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체포된 이 네 번째 용의자는 구금된 상태에서 이번 절도에서의 역할에 대해 조사를 받고 있다. 경찰은 진행 중인 수사에서 나온 정보를 바탕으로 그 남자를 체포했다. 이번에 체포한 용의자는 아센의 철물점에서 목격된 사람이 아니며, 경찰이 이.. 2025. 2. 21.
초 고열왕과 춘신군, 그리고 무왕돈 1호묘 周 성왕成王 때 웅역熊绎이 초군楚君으로 봉함을 받으면서 초나라 역사는 시작한다.사료에 따르면, 외딴 형산荆山에서 그는 장작을 몰고 낡은 옷을 입고 산림을 개척했으며, 복숭아나무 활과 가시나무 화살은 그가 주왕에게 바친 공물이다. 주 성왕이 기산岐山 남쪽에서 제후들을 불러모을 때 초나라는 단지 마당에서 화덕을 지킬 수밖에 없었고, 회의에 참석할 자격도 없었다. 그런 초나라가 훗날 점점 강성해지면서 남방 대국이 되었다. 하지만 전국시대 후기가 되면서 초나라를 멸망을 향해 달려간다. 여러 차례 북방 秦나라에 패배하고, 그러면서 수도 또한 오늘날 호북湖北 형주荆州에서 하남성河南성 주구周口로 옮길 수밖에 없었다. 기원전 263년, 오랫동안 진나라 서울 함양咸阳에서 인질로 있던 초 경양왕顷襄王의 아들 웅완熊完은 황.. 2025. 2. 21.
[무왕돈 왕묘] 아래위 세트 시루 언甗 중국 전국시대 말, 남방의 패자 초나라를 다스린 고열왕考烈王 무덤으로 확실시되는 안휘성安徽省 회남시淮南市 우왕돈武王墩 1호묘 출토품 중 일부라, 이른바 청동 제기에 속하는 것들이다. 왼쪽 아래위가 각각 동정铜鼎이요, 오른쪽은 동언铜甗이라 하는 것이라 정鼎이야 말할 것도 없에 세발 솥이지만, 도대체 뜻은 물론이요, 발음조차 알기 어려운 저 언甗이라는 요물은 무엇인가?저 말은 틀림없이 부수일 오른쪽이 와瓦라, 이 부수가 중요한 까닭은 그것이 들어간 글자 의미를 그것으로 제한하는 까닭이다. 저 말을 요새는 흔히 기와라 하지만, 본래는 흙으로 만든 기물 일반을 지칭한다. 흔히 한국고고학에서는 토기라 하는 것들을 포함하는 말이다.따라서 저 말은 흙으로 빚어 구운 모종하는 그릇이라는 뜻이다. 저 말 소리를 일러 당.. 2025. 2. 21.
폼페이가 토해 낸 인도산 상아 조각 An Indian Ivory Statuette (1st Century CE) Unearthed in Pompeii 누가 봐도 인도산 아니면 동남아산이다. 한데 그 출토 지점이 이탈리아 반도 폼페이다. 그 유명한 폼페이 유적, 그러니깐 서기 79년 베수비오산 폭발로 매몰한 그 로마시대 도시 말이다. 1938년 폼페이 발굴에서 드러난 작고 복잡하게 조각한 인도산 상아 조각이다.이곳 부유한 집에서 발견된 이 상아 조각은 기원후 1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며 폼페이 누군가가 수입했을 것이다.받침대에는 세 여성이 선 모습이다. 중앙이자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두꺼운 목걸이, 팔찌, 발찌, 보석으로 장식한 허리띠를 찼다.왼쪽 다리를 오른쪽 위로 교차시킨 우아한 자세로 서 있고, 왼손에는 알 수 없는 물건을 쥐고 .. 2025. 2. 21.
누구나 안다? 누구도 모르더라 앞에서 독설 형식을 빌려 쓰기는 했지만, 또 그에 비추어 나 역시 그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할 수 없지만 진짜로 듣기 싫은 말이 다 알고 있다는 말이다. 그래 진짜로 다 아는 이야기 나만 모를 수 있을 것이요, 그런 점에서 다 안다는 이야기가 모름지기 틀리다 할 수는 없지만 이 학문 세계에서 저 말이 빈발하며 그런 말이 거의 예외없이 다른 분야 학문 종사자가 해당 분야에 끼어들고자 할 때 거의 방어막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실은 저 말은 비아냥이라는 성격을 벗어나지는 못하지만 돌이켜 보면 나와바리 수성 의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일이 허다하다. 신동훈 선생이 전업적 학문종사자일수록 상식에 무너질 수 있다는 말을 자주 하고, 진짜 전문가라면 그런 상식에 언제나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거니와 그 맥락에.. 2025. 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