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65 식민사학이란 무엇인가 조선후기에 대해 냉정하게 보자고 이야기하면 꼭 식민사학이라던가 식민지근대화론이라던가 뉴라이트 등등을 이야기 하는 경우를 보는데 필자는 식근론 뉴라이트 따위는 관심도 없고 그것이 다 맞는다고 생각도 않는다. 한번 보자면-. 식민사학이라는 건 일언이폐지하면, 너는 해도 안된다, 이 돌대가리야! 하고 아예 학생의 의욕을 꺾고자 하는것. 이게 식민사학이다. 반면에 성적이 이러면 너는 대학입시 실패한다. 이렇게 이렇게 해야 된다고 해결책을 주는 것. 이게 제정신 박힌 사학이라는 말이다. 문제는 전교 꼴찌를 했는데 지금도 충분하고 여기다 조금만 잘하면 일등하겠다고 무작정 대책도 없이 격려하는 것 이게 지금 조선후기를 보는 우리 사학의 시각이다 그 말이다. 물론 이렇게 격려해서 학생이 이후 잘 될 수도 있겠는데, 문.. 2024. 9. 8. 한국에 복원된 고례古禮가 많은 이유 조선은 중국보다도 복원된 고례古禮가 훨씬 많을 것이다. 이유는 임란 이후 조선의 유학자들이 이에 올인했기 때문이다. 성리철학 자체의 발전은 17세이 이후 지지부진했지만 중국유학에서도 공백으로 남은 예학의 발전에 조선유학자들이 이 시기 들어 올인했고 그 결과가 상고시대 존재했다가 사라졌다는 (사실 정말 있기는 있었는지 그것도 알 수가 없다) 많은 고례가 조선에서 수천년 만에 다시 부활했다. 이 고례란 중국의례를 가져온 것이 아니다. 중국에서도 이미 실전되었고 그래서 중국에도 참고할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은 조선유학자들도 잘 알고 있었다. 따라서 남아 있는 문헌 몇 조각으로 고례의 복원을 시도했는데, 문헌에 남은 것이 별것이 없으니 복원은 논리적으로 최대한 가깝게 복원을 시도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향사례, 향음.. 2024. 9. 8. 사르트르는 핑계다 앞에서 김단장께서 한국학계의 정치 관여에 관련하여 사르트르의 이야기로 문제 제기를 하였지만, 필자가 보기엔 이 경우 사르트르는 한국학계의 핑계다. 베트남의 호치민-. 이 사람은 원래 유학자 출신이다. 그런데 졸지에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이런 사람이 많다. 유학자로 출발하여 아주 간단히 사회주의자로 넘어간 사람이 동아시아 문화권에는 아주 많다. 이게 어떻게 가능한고 하면, 유학의 액시옴에 해당하는 많은 부분이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와 통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맹자를 읽은 사람들은 막시즘과 레닌, 마오이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통하는 바가 있기 때문이다. 한국학계에서 정치 참여의 논리로 사트르트와 구미 철학의 참여론을 드는 것은 이와 똑같은 주장이다. 사르트르가 더 잘 먹히니 그걸 들고 나온 .. 2024. 9. 8. 식민사학 극복와 조선후기의 재검토 식민사학이라는 것이 흔히 이야기하는 대로정체성론, 탸율성론 등이라면필자의 생각으로는 21세기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이미 극복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한국역사에 연구에 의해 된 것이 아니다. 20-21세기 거지국가에서 일약 선진국으로 진입한 한국사가정체성과 타율성론에 대한 생생한 반박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지금 젊은 세대에게 이 이야기를 더 이상 꺼내기는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고 본다. 이제는 조선시대와 구한말을 좀 더 냉정히 분석을 시작할 때다. 거듭 말하지만 조선과 구한말, 식민지시대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주변국가의 이해가 필수적이다. 조선이 왕조의 종말기에 망국을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면, 그 이유를 냉정하게 분석하여 내놓은 것이 역사가의 할 일이라고 본다. 이러한 작업은 필자가 보기엔 자화자찬의 한국사를 .. 2024. 9. 8. 솔니차타Solnitsata, 7천년 전 불가리아의 소금광산 솔니차타Solnitsata는 불가리아어로 "제염소The Saltworks"라는 뜻으로, 현재 불가리아 동쪽 도시 프로바디아 Provadia [프로바디야Provadiya] 근처에 위치하는 선사시대 소금 생산 관련 도시 혹은 마을 유적이다.이곳은 유럽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소금 생산 중심지로 꼽힌다. 그 운영시기는 기원전 5,500~4,200년으로 거슬로 올라가니 말이다. 소금 생산 센터로 구성된 유럽 최초의 선사시대 도시 중심지(기원전 4700~4200년)였으며, 솔니차타는 요새화한 석조 정착지였다.이 정착지는 고대의 중요한 상품인 소금을 보호하기 위해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인구는 350명으로 추정되지만, 고고학자 Vassil Nikolov는 이 도시가 선사시대 도시로서 확립된 기준을 충족한다고 주.. 2024. 9. 8. 에도시대 학문이 분석되어야 실학의 견적이 나온다 필자는 그렇게 생각한다. 에도시대 학문사가 제대로 분석되어야 (난학 포함) 우리나라 실학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견적이 나온다. 이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선성리학의 황혼에 해당하는 다산이 졸지에 근대적 사상가가 되어 교과서에 실리는 것이다. 실학의 정확한 역사상 포지셔닝은 에도시대 학문분석이 끝난 후에 진행해도 늦지 않다. 거듭 이야기 하지만 조선후기 실학은 근대의 선구가 아니다. 가장 빛났던 16세기 조선 성리학 2024. 9. 8. 이전 1 ··· 540 541 542 543 544 545 546 ··· 334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