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53 삐까번쩍한 서안시西安市 하가촌何家村 당대唐代 문물 1970년, 섬서성陕西省 서안시西安市 하가촌何家村에서 당나라 시대 교장窖藏 시설 하나가 발견되었다. 이에서는 각종 금제품과 은제품, 옥기와 보석, 약재, 동전 등 각종 문물 1천여 점이 포함된 도자기 그릇陶翁 2점과 은제 항아리银罐 1점이 발굴됐다. 개중 금은 제품은 265점이다. 이 보물은 초기 당나라부터 중후기까지 다양한 훌륭한 제품들이 포함되어 있다.이들 유물은 섬서역사박물관 한 코너를 따로 마련해 전시 중이었는데,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이들 유물은 동서양 교류를 말해주는 증거라 해서 대서특필하며 한국에서 틈만 나면 곶감 빼먹듯이 하나씩 써먹는다. In 1970, a Tang Dynasty cache was discovered in Hejia Village, Xi'an, Shaanxi Pr.. 2024. 9. 2. 요상한 북마케도니아 트레베니시테 철기시대 공동묘지 북마케도니아 트레베니시테 공동묘지 Trebenishte Necropolis 마케도니아어로는 저기를 Trebeništa라 표기하는 모양이라 그 표기를 트레베니슈타 정도로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기는 한데 일단 둘 다 표기해 둔다. 위치는 아래와 같다. Bing 지도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거리 이미지를 보세요.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www.bing.com 기원전 7세기 무렵 철기시대 일리리아Illyria 남동쪽, 오흐리드 Ohrid 호수 북쪽 호안 근처에 위치한 네크로폴리스다. 오늘날 북마케도니아 트레베니슈타 근처에 있다 해서 저리 부른다. 네크로폴리스는 인근 일리리아 마을인 리크니도스Lychnidos 사람.. 2024. 9. 2. 윈저성 디너, 밥맛은? Dinner at Windsor Castle 곧 윈저성에서 디너하는 모습 중 한 장면이라는데 홀이 꽤 길기는 한데 첫째 오야붕 위치는 어디이며둘째 저런 자리에서 밥이 제대로 넘어가느냐? 이런 것들이 궁금하다. 윈저성 평면도가 이렇다 하며 그 구체하는 양상은 Plan of Windsor Castle: A: The Round Tower B: The Upper Ward, The Quadrangle C: The State Apartments D: Private Apartments* E: South Wing F: Lower Ward G: St George's Chapel H: Horseshoe Cloister K: King Henry VIII Gate L: The Long Walk M: Norman Gat.. 2024. 9. 2. [開者即死] (3) 아홉살 수나라 황실 근친 여아의 죽음 이정훈李靜训[600~608]은 자는 소해[小孩, 어린아이라는 뜻], 농서陇西 성기成紀[지금의 감숙성 진안현秦安县) 사람이다. 북주北周의 대장군大将军 이현李贤의 증손녀이며, 광록대부 이민李敏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외할머니 북주 태후 양리화杨丽华의 총애를 받아 줄곧 궁중에서 양육되었다. 수隋 양제炀帝 대업大業 4년(608년), 궁중에서 아홉 살 때 사망했다. 양리화杨丽华가 매우 슬퍼하며, 후한 예물로 장사지냈다. 1957년 서안성西安城 서쪽에서 매우 잘 보존되고 등급이 가장 높은 수나라 무덤인 리징쉰 묘李静训墓가 발견되었다. 이 묘에서는 개자즉사開者即死, 즉 열면 죽는다는 글씨가 확인되었으니 이미 두 차례 걸쳐 우리는 소개했다. 그 연장선이다. 이전 아티클은 맨 뒤 첨부 링크 참조 Li Jingxun 李静训.. 2024. 9. 2. 황하유역의 가축사육 중국의 동물 사육을 보면 흥미로운 것이, 잡곡 기반 황하유역이 도작 기반 장강유역보다 가축사육이 훨신 집약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잡곡 농사를 짓는 황하유역에서는 돼지 등 가축 사육도 장강유역보다 일찍 시작되었고 사육이 시작된 후에도 돼지를 우리에 가두어 길렀다. 쉽게 말해서 돼지를 먹이를 주어 가둬 키웠다는 말이다. 때문에 황하유역 돼지는 집돼지 특징이 더 많이 나타난다. 반면에장강유역은 돼지사육이 시작된 시점도 늦고, 돼지도 가두지 않고 놔서 길렀다. 사방을 돌아다니며 자기가 알아서 줏어 먹고 다녔다는 것으로, 이 때문에 장강유역 돼지는 사육돼지 형태를 덜 갖춘 모습으로 멧돼지와 더 비슷한 모양의 돼지였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가축사육에 관한한 황하유역이 장강유역보다 훨씬 집약적이고, 다양한.. 2024. 9. 2. 잡곡농경과 도작농경 잡곡농경은 이름부터 바꿔야 한다. 우리는 잡곡농경이라고 부르지만 잡곡농경권에 있었던 사람들은아무거나 되는 대로 재배해서 닥치는대로 입에 쳐넣던 그런 사람들이 아니다. 동아시아 잡곡문명권의 주곡은 조와 기장, 그 중에서도 하나만 꼽자면 기장이다. 따라서 잡곡농경이라고 부르기보다는 서직농경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사실에 가깝다고 본다. 기장이라는 곡식을 우습게 보는데 한 번만 쪄서 먹어보면 그 단맛에 이 곡식을 우습게 볼 수 없을 것이다. 기장은 맛이 옥수수와 비슷하다. 쪄 내면 옥수수 향이 난다. 잡곡농경은 되는 대로 아무거나 심어 닥치는 대로 수확해 먹고 사는 그런 화전민 농업이 아니다. 기장을 주력으로 하고 다른 곡식과 채소를 보조적으로 재배하는, 따지고 보면 도작과 별 차이도 없는 농경사회이다. 이 때.. 2024. 9. 1. 이전 1 ··· 549 550 551 552 553 554 555 ··· 334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