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44 중국 신석기가 남긴 패셔너블 주전자 중국 신석기 문화 중 하나인양사오 문화 출토 주전자 도기다.저 시대 우리 도기 중에는 폼 나는 게 하나도 없다.빗살무늬토기를 이야기하나 투박 단순하기 짝이 없다.조금 시간을 내려와 홍도로 와야 그나마 패션 디자인을 논할 만 하다.같은 신석기라 하는데 저런 것들이 쏟아지니 같은 고고 박물관이라도 저쪽은 볼 게 있는데이쪽은 볼품이 없다.그래서 죽어나사나 실감으로 갈 수밖에 없다.실감이란 무엇인가?볼품 없음에의 볼품 있음으로의 발악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그래서 우리 고고학박물관은 저짝에 견주어 돈이 훨씬 더 많이 들어간다.그래서 슬프다. 2024. 11. 30. [AllaboutHistory 인터뷰] 이태리 한국학 부흥을 꿈꾸는 안종철 교수 그가 내민 명함을 보니 소속은 베니스 카포스카리 대학 Ca'Foscari University of Venice 이며 그 대학 현 소속 직책은 Department of Asian and North African Studies에서 Associate Professor 라 하는데 앞은 쉽게 말해 아시아북아프리카학과로 이해하되 본인은 저 중에서 북아프리카를 뺀 나머지를 동양학부로 받아들이면 된다 한다.저 Department가 우리 대학 시스템으로 치면 단과대학 칼리지 개념이라 하는데학과 혹은 학부 편제가 우리랑은 아무래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니 우리가 생각하는 학과는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구별된다 한다.현재 저 대학 아시아학부, 곧 동양학에서는 모두 10개 프로그램이 있어 한국학도 개중 하나라 한다.아무래도.. 2024. 11. 30. 스카이 블루로 신성성을 부여한 폼페이 사람들 언제적 발굴소식인지는 확인하지 못했다.어차피 우리한테는 다 새로움이긴 하지만 말이다.고대 도시 폼페이를 덮고 있는 재를 파헤치던 고고학도들이 독특하고 숭고한 하늘색 sublime sky blue으로 벽을 장식한 프레스코화한 방을 발견했다.인술라Insula 10으로 알려진 지역에서 발견된 것에는 화려한 하늘색 사크라리움sacrarium, 의식 장소, 그리고 성물holy artifacts 보존소가 포함되어 있다.8제곱미터 이 방은 제4양식 Fourth Style(c. 60–79 C. E.)으로 꾸몄으니, 이는 이전 양식보다 장식적이지는 않았지만 서사적이고 건축적인 접근을 더 많이 취한 복잡한 미학이다.하늘색azure 배경에 여성 인물들이 바람에 날리는 옷을 입고 우아하게 포즈를 취한다. 여성 중 4명이 각 .. 2024. 11. 30. 천하무적 스키타이 전사 말을 탄 궁수를 표현한 스키타이 황금 공예품이다.Scythian gold archer mounted on horseback appliqué제작시기는 기원전 4세기 말로 본다.헤로도토스Herodotus에 따르면 스키타이인들Scythians은 희생자 두피로 망토를 만들고 두개골로 술을 마시며 전쟁 포로 백 명 중 한 명을 희생시키는 무자비하고 거의 무적에 가까운 전사들이었다. 부유한 스키타이인들은 적들의 두개골 안쪽에 금박을 입혀 술잔으로 사용했다고 한다.스키타이인들은 최초의 진정으로 효과적인 기병대cavalry를 창설하고 전격전blitzkrieg의 고대 버전으로 묘사된 전술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4. 11. 30. 화려한 에트루리아 여신 같은 소재 주제라 해도 동시대 로마랑 에트루리아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이 분은 이탈리아 로마 빌라 줄리아 국립 에트루리아 박물관 소장품이라 Celle 지역 주노 쿠리티스 성소 Sanctuary of Juno Curitis 라는 데서 출토한 주노Juno 테라코타 흉상(기원전 380년)이다.이를 보면 주노는 각종 보석으로 장식했다.왕가에서 쓰는 머리띠 royal diadem를 둘렀고, 어깨에는 부드럽게 접힌 페플럼peplum이 있는 풍성한 드레스를 걸쳤다. 2024. 11. 30. 로마제국 그 최전선 구체로 어딘지는 게재자가 밝히지 않아 알 수가 없다.이를 마일캐슬milecastle? 이라 부르는지 모르겠다만 로마 제국 시대 작은 직사각형 요새라 한다.아마 저런 양태가 로마가 설정한 국경선 요소요소, 일정한 거리마다 설정한 전방 참호였으리라.비슷한 사례를 일전에 소개한 적 있다고 기억한다. (맨아래 첨부 글 클릭!)평면 방형이다.이를 포트fort 라 표현하는데 우리 고고학 관념으로는 보루 정도로 표현하면 좋을 듯하다.보다시피 저 보루는 성벽 밖이 아니라 안쪽에다 지었다,밖으로 튀어나갔다가는 자칫 몰살할 위험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일단 살고 봐야 후일을 기약하지 않겠는가?살아남는 놈이 이기는 법이다.아킬레스는 이겼다지만 죽었으니 진 것이다.로마 요새 그 전형 2024. 11. 30. 이전 1 ··· 675 676 677 678 679 680 681 ··· 36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