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28

한국의 농경은 일본의 시각으로 봐서는 안된다 한국의 농경은 일본의 시각으로 보고 있다. 무슨 말인고 하니, 도작에 대한 지나친 강조, 도작 이전 잡곡농경을 원시적 수준으로 보는 시각, 농업사회가 세트로 들어와 한국에 정착했다고 생각하는 시각 등 이런 시각들은 모두 일본의 농경 도입기에 유의미한 시각이다. 한국은 다르다. 한국사는 남쪽의 도작부터 북쪽의 잡곡 농경까지 다양한 형태의 문명이 존재했고, 도작에만 일방적 우위를 줄 수 없다. 도작 이전에도 잡곡농경이 상당히 고도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농업사회가 야요이시대처럼 일거에 세트로 들어온 것이 아니라, 부분 요소별로 조각 조각 나뉘어 들어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무슨 말인고 하니, 도작, 조, 수수, 기장, 돼지, 소, 말, 닭 등 농업사회를 이루는 제반 요소가 도입 경로도.. 2024. 7. 3.
제주공원지구 발굴현장 매몰사고에 격발해 다시 주문한다! 제주 매장유산 조사 현장 토사 무너져…2명 매몰됐다 구조(종합) 송고시간 2024-07-02 16:58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백나용 기자 = 제주지역 매장유산 표본조사 용역 현장에서 토사가 무너져 작업자 2명이 다쳤다. 제주 매장유산 조사 현장 토사 무너져…2명 매몰됐다 구조(종합) | 연합뉴스(제주=연합뉴스) 고성식 백나용 기자 = 제주지역 매장유산 표본조사 용역 현장에서 토사가 무너져 작업자 2명이 다쳤다.www.yna.co.kr 중대재해법인지 시행으로 공사현장 죽겠다는 아우성이 터져나오는데, 꼭 그것이 아니라 해도 이 발굴현장 안전문제도 어제오늘 일이 아니어니와 이를 방지하겠다며 문화재청, 아 국가유산청이지 이런 데라든가 한문협이라든가 하는 기관에서 주기발작으로 각종 안정교육이라고 하지만, 그렇.. 2024. 7. 3.
[동부 터키 여행] (12) 아라라트 산과 노아의 방주 구약성서 창세기 Book of Genesis 에 따르면, 노아의 방주 Noah's Ark 는 "아라라트 산 mountains of Ararat"(성경 히브리어: ָרֵי אֲרָרָת, 하레 아라라트 hare ararat)에 착륙했다(창세기 8:4).많은 역사가와 성서 학자들은 "아라라트"가 아르메니아의 지리적 전신인 우라르투 Urartu 의 히브리어 이름이라는 데 동의한다. 그들은 이 단어가 특히 아라라트 산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당시 더 넓은 지역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한다.이 문구는 벌게이트 Vulgate 에서 "아르메니아 산 montes Armeniae"으로 번역된다. 그럼에도 아라라트는 전통적으로 노아의 방주가 정착한 데로 여겨지며, 따라서 성경에 나오는 산으로 간주된다. 아라라트 산은 11.. 2024. 7. 3.
[동부 터키 여행] (11) 동부 아나톨리아의 성산 아라라트 해발 Elevation 5천137m (16,854 ft) 만만찮다. 백두산이 2천744미터이니 그보다 딱 두 배이며, 한라산이 1950m라 그 높이를 짐작한다. 당연히 그 지역에서는 성산聖山이다.   GeoHack - Mount AraratJavaScript disabled or out of map range. Photos Wikipedia articles Other information North America Canada Service Other GPS Visualizer Topo National Atlas of Canada Topo (Indirect link) TopoQuest Topo Europe A–M Austria Service Map Satellite Austrian mapgeohack.to.. 2024. 7. 3.
밀비우스 다리 전투, 나와바리 쟁탈 조폭 쌈박질 서기 312년 10월 28일, 로마 제국 패권을 둔 조폭 내전이 벌어졌으니, 이 전쟁에서 콘스탄티누스가 이끄는 군대가 막센티우스 대군을 로마 근교 밀비우스 다리에서 사생 결단을 벌여 일망타진한다.이 승리로 콘스탄티누스는 사두정치체제라는 공동통치체제를 끝내고 1인 독재 시대를 화려하게 개막한다. 다만 이 기억이 싫어서였는지, 콘스탄티누스는 이후 로마가 싫다 해서 냅다 콘스탄니노플이라는 행정수도를 건설하기 시작하고는 기어이 그쪽으로 도읍을 옮기니, 이렇게 해서 로마시대는 비잔틴시대로 넘어간다. 로마사 분수령을 이룬 저 양아치 쌈박질을 그것이 일어난 장소를 따서 밀비우스 다리 전투 Battle of the Milvian Bridge 라 하거니와, 저 다리를 라틴어나 그 후신 이탈리아가 저리 부를 리는 없을 테.. 2024. 7. 3.
[왕밤 : 또 하나의 이야기] 원효스님 탄생담 한반도 남부에 밤이 크다는 이야기는 삼국지 동이전 외에도 있다. 삼국유사 원효전에는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사라수에 관해서는 민간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성사의 집은 본래 이 골짜기 서남쪽에 있었는데, 어머니가 아이를 가져 만삭이 되어 마침 이 골짜기 밤나무 밑을 지나다가 갑자기 해산하고 창황하여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우선 남편 옷을 나무에 걸고 그 안에 누워 있었으므로 [그] 나무를 사라수라고 하였다. 그 나무 열매도 보통 나무와는 달랐으므로 지금도 사라밤[裟羅栗]이라고 한다.註 200 예부터 전하기를, [사라사의] 주지가 절의 종 한 사람에게 하루 저녁의 끼니로 밤 두 개씩을 주었다. 종은 관가에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를 이상하게 생각한 관리가 [그] 밤을 가져다가 조사해보았더니 한 개가 .. 2024. 7. 3.
반응형